$\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근교에 위치한 도시숲 군집구조 분석
Community Analysis of Urban Forest around city of Seoul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9 no.4, 2015년, pp.599 - 604  

노유미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강희준 (협성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상돈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도시 숲에 속해 있는 불암산, 대모산, 봉화산 3개 산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하였다. 불암산 군집분석 결과 소나무(Pinus densiflora)-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서어나무(Carpinus laxiflora)-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팥배나무(Sorbus alnifolia)로 나왔으며 대모산의 군집은 리기다소나무-일본잎깔나무(Larix leptolepis), 현사시나무(Populus tomentiglandulosa)-물박달나무(Betula davurica Pall)로 구분되었다. 봉화산의 군집분석 결과 소나무-팥배나무와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벚나무(Prunus serrulata)로 구분되었다. 불암산, 대모산, 봉화산의 지역별 유사도에서는 불암산과 대모산의 유사도 지수가 0.634로 높게 나와 비슷한 식생들이 분포하고 있으며 다른 지역보다 대모산 지역의 우점도가 0.166으로 다수의 종이 우점한다. 또한 종다양도 분석결과 대모산이 가장 안정된 상태를 이루고 있으며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 균재도는 불암산, 봉화산, 대모산 지역으로 갈수록 높아지고 우점도는 불암산, 봉화산, 대모산 지역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he vegetation clustering analysis for the 3 mountains of Mt. Bulam, Mt. Daemo, Mt. Bonghwa which were the urban forests of Seou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lated to the vegetation clustering, it was found that the clustering of Mt. Bulam consisted of pine tre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에 속해 있으며 인간 간섭의 빈도가 높은 불암산, 대모산, 봉화산의 3개 산을 대상으로 하여 식물군집 분석을 함으로써 식생의 분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하였다. 또한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 균재도, 우점도를 통하여 식생다양성 및 산림의 안정화된 상태를 알아봄으로써 도시 숲의 식생의 분포 특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도시숲 보전에 기여하고자 수행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에 속해 있으며 인간 간섭의 빈도가 높은 불암산, 대모산, 봉화산의 3개 산을 대상으로 하여 식물군집 분석을 함으로써 식생의 분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하였다. 또한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 균재도, 우점도를 통하여 식생다양성 및 산림의 안정화된 상태를 알아봄으로써 도시 숲의 식생의 분포 특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도시숲 보전에 기여하고자 수행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생의 특징은 무엇인가? 식생은 지역 산림생태계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본 단위로 활용되고 있으며(Lee et al., 2006) 생태계의 보전과 관리에 중요한 종이다(Rubio et al., 2011).
도시림 훼손의 원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도시림은 도시녹지의 주된 공간으로서 생물다양성 유지 등의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Bradley, 1995 ; Miller, 1997). 하지만 도시림은 대기오염, 토양산성화, 인간간섭과 개발로 인하여 많이 훼손되었으며 그로인해 산림의 군집이 변하고 인공림의 비율이 많이 높아 지고 있다. 자연식생이 인간 간섭에 크게 노출되면 생태계교란이 매울 클 수밖에 없으며 건전한 생태계로서 그 유지가 극히 불리한 실정이다(Kim, 2006).
군집별로 조사된 식물의 종 다양성의 출연종 수를 기준으로 무엇의 출연이 가장 많았는가? 군집별로 조사된 식물의 종 다양성을 나타냈다(Table 2). 출연종 수는 현사시나무-물박달나무에서 39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연하였고, 서어나무-리기다나무는 21종이 출연 하였다. 리기다소나무-일본잎깔나무와 상수리나무-벚나무는 19종이 출현하였으며 굴참나무-팥배나무 18종, 소나무- 신갈나무 16종이 출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radley, G.A.(1995) Urban Forest Landscap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Seattle, 224pp. 

  2. Bray, J.R and J.T. Curtis(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gr. 27, 325-49. 

  3. Brower, J.E. and J.H. Zar (1997) Field and laboratory method for general ecology. William C. Brown Company .Publishers. Iowa. pp. 1-184. 

  4. Cox, G. W. (1976) Laboratory manual of general ecology. William C. Brown Company. 232pp. 

  5. Choo, G.C., H.C. An, H.S. Cho, I.K. Kim, E.H. Park and S.B. Park(2009) Vegetation Structure of the Chilseon Valley in the Jiri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3(1): 22-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Groves, R. H and J. D. Williams(1975) Growth of skeleton weed (Chondrillajuncea L.) as affected bygrowth of subterranean clover (Trifolium subterraneum L.) and infection by rust Puccinia chondrillina Bubak and Syd. Australian Journal of Agricultural Research 26: 975-983. 

  7. Kim, G.T. and G.J. Baek(1998) Studies on the of Forest Community at Taech'ong bong-Hangyeryong Area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1(4):397-4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J.W.(2006) Vegetation Ecology. 1-260pp. (in Korean) 

  9. Lee, J. B., K.K. Shim, E.R. Noh and Y.M. Ha (1998) A Study of Ecological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Korean Mountain Ash(Sorbus alnifolia) for Landscape Woody Plan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2): 229-2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J.H., H.J. Cho and T.C. Hur(2006) Spatial Distribution and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 of Forest Vegetation in Ulleung Island, Korea. J. Ecol. Field Biol. 29 (6): 521-5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K.J., W. Cho and B.H. Han(1996) Restoration and Status of Urban Ecosystem in Seoul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Forest Area-.Kor.J.Env.Eco10(1):113-1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H.Y., C.H. Oh, E.S. Kim, Y.W. Son and K.S. Park(2010) The Veget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f Urban Forest as Geological Location in Daejeon, Korea. Kor. J. Env. Eco. 24(5): 566-5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Maarel, E(2004) Vegetation science. John Wiley & Sons. 408pp. 

  14. Miller, R.W. (1997) Urban Forest: Planning and Managing Urban Green spaces. Prentice Hall, Upper River, New Jersey, 502pp. 

  15. Park, B.C., C.H. Oh and C.W. Cho(2009)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of Carpinus laxiflora Communities in Seoul. Kor. J. Env. Eco. 23(4) : 333-34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165pp. 

  17.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09)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urban Forest in forest research on the health and biodiversity(A Comprehensive Report). (in Korean) 

  18.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09)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urban Forest(Forest) life Survey of academic research. (in Korean) 

  19. Rubio, A., Gavilan, R.G., Montes, F., Gutierrez-Giron, A., Diaz- Pines, E., and Mezquida, E.T(2011) Biodiversity measures applied to stand-level management: can they really be useful? Ecological Indicators 11: 545-556. 

  20. Um, T.W. and G.T. Kim(2008)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Songchu to Dobong in the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22(2): 106-1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Whittaker, R.H. (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ogy Monograph. 26:1-80. 

  22. Whittaker, R.H. (1965)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Science 147: 250-2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