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포산 산림식생의 군락 구조 및 공간 분포의 경시적 변화
Changes Over Time in the Community Structur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on Mt. Yeompo, Ulsan City,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9 no.2, 2020년, pp.145 - 156  

오정학 (국립산림과학원 도시숲연구센터) ,  김준수 (자연과숲연구소) ,  조현제 (자연과숲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산광역시의 대표적인 고립된 도시숲인 염포산을 대상으로 2000년과 2018년에 산림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를 수행하여 그 구조, 조성 및 공간 분포 변화 경향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총피도(/100㎡)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자연식생에서는 약 9%의 증가율을 보였다. 구성종의 중요치는 그 순위에 있어서는 다소간의 변화가 있었으며 난대성 수종인 비목나무와 오염내성이 강한 때죽나무가 각각 835%, 269%의 매우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종풍부도(S)와 종다양도(H')는 각각 약 22%, 약 8%의 감소율을 보였는데 주로 하층 식생 발달에 따라 임상 식생 구성종이 자연 감소한 결과로 판단되며 모두 인공식생이 자연식생에 비해 다소 높은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생활형 조성 체계는 2000년과 2018년 모두 'MM-R5-D4-e'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전체 산림식생의 유사도(Jaccard 계수)는 약 75%로 종구성적 특성이 거의 동질적으로 나타났다. 지표종은 2000년 16종에서 2018년 7종으로 9종이 감소하였으며 대부분 교란에 민감한 반지중식물(H), 지중식물(G) 그리고 일년생식물(Th) 등 초본식물이었다. 상관식생 유형 간 공간 분포 면적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산림경관 요소인 패치(patch)의 개수는 2000년 537개에서 2018년 721개로 약 25%의 증가율을 보인 반면, 그 평균 크기는 2000년 1.28 ha에서 2018년 1.03 ha로 약 20%의 감소율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2000 and 2018, phytosociological surveys were carried out i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Yeompo, a representative isolated urban forest in Ulsan city. The trends of change in forest structure, composi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were compared between years. Total percent coverage per 100 squar...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향후 도시생태계의 유일한 생산자인 도시숲의 생태계 서비스 기능에 대한 시민들의 다양한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시민 생활환경의 최선단에 자리하고 있는 도시권역 고립림의 산림식생에 기반한 생태적 온전성, 생물적 다양성 그리고 경관적 자연성을 우선적으로 보전 관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울산광역시의 대표적인 고립된 도시숲인 염포산(해발 203.4 m)을 대상으로 산림식생의 체계적인 보 전 및 관리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식생 유형을 구분하고, 2000년과 2018년의 약 18년간 산림식생의 구조, 조성 그리고 공간분포 특성을 비교하였다.
  • 그러나 다양한 교란 영향이 복합적이고 지속적으로 미치고 있는 고립된 도시숲을 대상으로 그들이 수행하는 다양한 생태계서비스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거나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본 연구는 상기의 점을 감안 하여 울산광역시의 대표적인 도시숲이자 고립된 임지인 염포산 산림생태계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보전 및 관리 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2000년 과 2018년에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정밀상관식생도 작성을 통하여 그 성립기반인 산림식생의 구조, 조성 그리고 공간분포의 경시적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 현존군락 유형을 구분하였다. 그 결과, 지난 18년 간 단위면적당 총피도와 구성종의 생활형 조성 체계는 거의 변화가 없 었으나 구성종의 중요치에 있어서 난대성 수종인 비목나 무와 오염내성이 강한 때죽나무가 각각 835%, 269%의 급격한 증가율을, 종풍부도(S)와 종다양도(H’)는 10~ 20% 내외의 다소 낮은 감소율을, 그리고 지표종의 개수 는 도입수종 및 호광성 식물을 중심으로 9종이 감소한것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이는 천이계열상 정상천이에 비해 편향천이가 보다 진행된 결과로 판단할 수 있으나 추후 재논의가 필요해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숲이란 무엇인가? 인위환경이 지배하는 도시권역에 잔존하고 있는 크고 작은 도시숲은 도시생태계의 안정성, 다양성 그리고 건강성을 담보하는 가장 중요한 거점공간으로 경관 보전, 생물종다양성 보전, 도시열섬 효과 감소, 공기와 수질 개선, 어메니티, 레크리에이션 등 다양한 생태계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Achard, 2009). 그러나 도시숲은 자연환경이 지배하는 산지림과 달리 외래생물, 변화된 교란체제, 환경오염물질 등을 비롯한 다양한 내ㆍ외부 교란 요인이 복합적이고 지속적으로 미치고 있는 가변적인 생태계이다(Spies and Cline, 1988; McComb et al., 1993).
2000, 2018년 염포산의 총피도는 어떠한 양상을 보였는가? 울산광역시의 대표적인 고립된 도시숲인 염포산을 대상으로 2000년과 2018년에 산림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를 수행하여 그 구조, 조성 및 공간 분포 변화 경향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총피도(/100㎡)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자연식생에서는 약 9%의 증가율을 보였다. 구성종의 중요치는 그 순위에 있어서는 다소간의 변화가 있었으며 난대성 수종인 비목나무와 오염내성이 강한 때죽나무가 각각 835%, 269%의 매우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도시숲의 생태계 서비스 기능에 대한 시민들의 다양한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향후 도시생태계의 유일한 생산자인 도시숲의 생태계 서비스 기능에 대한 시민들의 다양한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시민 생활환경의 최선단에 자리하고 있는 도시권역 고립림의 산림식생에 기반한 생태적 온전성, 생물적 다양성 그리고 경관적 자연성을 우선적으로 보전 관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울산광역시의 대표적인 고립된 도시숲인 염포산(해발 2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chard, F. 2009. Vital forest graphics. Arendal, Norway: UNEP/GRID-Arendal. http://www.grida.no/_res/site/file/publication/vital_forest_graphics.pdf. (2019.2.15). 

  2. Braun-Blanquet, J. 1964. Plant sociology, Essentials of vegetation science. 3rd ed.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USA. pp. 865. 

  3. Brower, J.E. and Zar, J.H.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Iowa, USA. pp. 288. 

  4. Cho, J.H., Park, C.R., Oh, J.H., Kim, J.S. and Cho, H.J. 2016. Changes in vegetation characteristics over time in the isolated forests of the urban areas: A case study on the Mt. Hwangyeong, Bu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5(3): 284-293. 

  5. Curtis, J.T. and R.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2): 476-498. 

  6. Dufrene, M. and Legendre, P. 1997. Species assemblages and indicator species: the need for a flexible asymmetrical approach. Ecological Monographs 67(3): 345-366. 

  7. Hammer, O. 2019. PAST: Paleontological statistics software package for education and data analysis. http://folk.uio.no/ohammer/past/. (2019.8.11). 

  8. Ishida, H. and Hattori, Y. 2000. Relationship between forest area,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composition of laurel forests in central Miyazaki Prefecture. Japanese Journal of Ecology 50: 221-234. 

  9. Ishida, H., Toi, K., Takeda, Y. and Hattori, T. 2002. Relationship between species richness, species composition and forest area of fragmented secondary forests on the Senri Hills in Osaka Prefecture. Vegetation Science 19: 83-94. 

  10. Jaccard, P. 1908. Nouvelles Recherches Sur la Distribution Florale. Bulletin de la Societe Vaudoise des Sciences Naturelles 44(163): 223-270. 

  11. Joints of related ministries. 2011. Government-wide report on abnormal climate in 2011. Presidential committee on green growth. Seoul. pp. 144. 

  12.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portal. 2019. Forest_stockmap_5000(Ulsan sheet). http://data.nsdi.go.kr/dataset/20190716ds00001/resource/57b6c21b-97d2-4cab-af2a-c5482a5388da. (2019.8.10). 

  13. Korea Forest Service. 2019. Korean plant names index. http://www.nature.go.kr/kpni/index.do. (2019.1.12.). 

  14.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20. MGEO, Multiplatform GEOscience information system. https://mgeo.kigam.re.kr/sub01/page02.do. (2020.2.11). 

  1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0. Climatological normal data. http://data.kma.go.kr/climate. (2020.2.20.). 

  16. LaPaix, R. and Freedman, B. 2010. Vegetation structure and composition within urban parks of Halifax Regional Municipality, Nova Scotia, Canad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8(2): 124-135. 

  17. Lee, J.E., Shin, J.K., Kim, D.K. and Yun, C.W. 2018.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for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Area in Heuksando island.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2(3): 289-302. 

  18.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press, Seoul. pp. 910. 

  19. Lee, W.C. and Yim, Y.J.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8: 1-32. 

  20. Maesako, Y. 1987. Species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isolated forests in Kyoto and Nara prefectures. Papers on plant ecology and taxonomy to the memory of Dr. Satoshi Nakanishi(Kobe society for vegetation ecology). pp. 411-424. 

  21. McComb, W.C., Spies, T.A. and Emmingham, W.H. 1993. Douglas-fir forests: managing for timber and mature-forest habitat. Journal of Forestry 91(12): 31-42. 

  22. McCune, B. and Mefford, M.J. 2016.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7.0 for Windows. MjM Software. Oregon, U.S.A. 

  23.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0. High resolution airborne digital ortho imagery(Ulsan sheet).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Suwon, Korea. 

  24. Numata, M. 1947. Ecological judgement of grassland condition and trend: I. Judgement by biological spectra. Grassland Science 11: 20-33. 

  25. Oh, H.K., Gang, B.S., Yu, B.H. and Song, J.Y. 2010. Vegetation Analysis to Detailed Hierarchical Vegetation Map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d Remote Sensing -A case study on the Jirisan National Park-. Proceedings of the 2010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1): 45-48. 

  26. Okutomi, T., Ageishi, Y. and Takasaki, Y. 1973.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vegetation, especially on the composition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urban forests. Basic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ecosystem, report on the Year 1972 (Numata, M. Ed.). Ecology laboratory, Faculty of Science, Chiba University. pp. 55-66. 

  27. QGIS Development Team. 2017. QGIS ver. 2.18.15. http://www.qgis.org/ko/site/forusers/download.html. (2018.1.11). 

  28. Raunkiaer, C. 1934. Life form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Charendon Press, Oxford University, London. pp. 632. 

  29. Shannon, C.E. and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Illinois, USA, pp. 144. 

  30. Spies, T.A. and Cline, S.P. 1988. Coarse wood debris in manipulated and unmanipulated coastal Oregon forests. From the Forest to the Sea: A Story of Fallen Trees. Pacific North-west Research Station, General technical report PNW-GTR-229: 5-23. 

  31. Templeton, L.K., Neel, M.C., Groffman, P.M., Cadenasso, M.L. and Sullivan, J.H. 2019. Changes in vegetation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urban and rural forest patches in Baltimore from 1998 to 2015.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454(15): 177665. 

  32. Tojima, H., Koike, F., Sakai, A. and Fujiwara, K. 2004. Plagiosere succession in urban fragmented forest. Japanese Journal of Ecology 54(3): 133-141. 

  33. Yamamoto, S. 1987. Dynamics of an isolated forest. Biological Science 39: 121-12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