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왕산국립공원의 탐방로 훼손현황과 환경피해도 평가
Assessment of Impact Rating Class and Deterioration Condition on the Trails in Juwang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9 no.4, 2015년, pp.605 - 614  

남엽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유주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  허상현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주왕산국립공원의 주요 탐방로의 물리적 상태, 훼손 유형 및 환경피해도를 평가함으로써 탐방로의 유지관리와 복원을 위해 수행되었다. 주요 탐방로는 주봉 구간, 가메봉 구간, 장군봉~금은광이 구간, 월외 구간 등 4개 구간이다. 노선길이의 경우 주봉 구간 4.6km, 가메봉 구간 3.6km, 장군봉~금은광이 구간 5.6km, 월외 구간 5.9km이다. 물리적 상태의 경우 노폭은 주봉 구간이 가장 넓었고 장군봉~금은광이 구간이 가장 좁았다. 나지폭은 주봉 구간이 가장 넓었고 장군봉~금은광이 구간이 가장 좁았다. 침식깊이는 가메봉 구간이 가장 깊었고 월외 구간이 가장 얕았다. 경사는 장군봉~금은광이 구간이 가장 급했고 가메봉 구간이 가장 완만하였다. 토양경도는 가메봉 구간이 가장 높았고 월외 구간이 가장 낮았다. 훼손유형 출현 횟수의 경우 주봉 구간 71회, 가메봉 구간 62회, 장군봉~금은광이 구간 63회, 월외 구간 78회로 나타났다. 환경피해도의 경우 노면침식은 I등급과 II등급이 유사하였으며, 나머지는 I등급이 대체적으로 많기 때문에 건전한 상태인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탐방로의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요소를 고려한 종합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훼손된 탐방로는 주변 환경과 생태계를 고려한 복원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aintain, manage and restore the trails by assessing the physical conditions, the patterns of deterioration and the impact rating class of the major trails of Juwangsan National Park. The major trails followed 4 routes including Jubong, Gamaebong, Janggunbong~Geumeung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주왕산국립공원은 수달래 축제, 가을철 단풍관광, 순수한 등산 등의 목적으로 많은 탐방객들이 찾고 있으나 탐방로에 대한 연구는 1995년 이후 실시되지 않아 탐방로의 훼손에 대한 자료가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왕산국립공원의 탐방로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와 복원을 위해 탐방로의 물리적 훼손과 그에 따른 환경피해도를 평가 및 분석하여 생태적으로 건강한 탐방로를 유지하기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 이러한 과정을 통해 훼손유형별 환경피해도 등급을 각 구간별 출현빈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는 향후 주왕산국립공원의 탐방로 피해에 따른 복원 및 관리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축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립공원은 무엇인가? 국립공원은 자연생태계, 자연 및 문화경관을 보전하기 위해 환경부장관이 지정․관리하는 지역으로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나 자연 및 문화경관을 대표할 만 지역이며, 1967년 지리산국립공원이 제1호를 시작으로 2013년 무등산국립공원이 제21호로 지정되었다(Kim et al., 2013).
1967년 지정된 우리나라 제1호 국립공원은 무엇인가? 국립공원은 자연생태계, 자연 및 문화경관을 보전하기 위해 환경부장관이 지정․관리하는 지역으로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나 자연 및 문화경관을 대표할 만 지역이며, 1967년 지리산국립공원이 제1호를 시작으로 2013년 무등산국립공원이 제21호로 지정되었다(Kim et al., 2013).
본 연구에서 주왕산국립공원의 주요 탐방로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주왕산국립공원의 주요 탐방로의 물리적 상태, 훼손 유형 및 환경피해도를 평가함으로써 탐방로의 유지관리와 복원을 위해 수행되었다. 주요 탐방로는 주봉 구간, 가메봉 구간, 장군봉~금은광이 구간, 월외 구간 등 4개 구간이다. 노선길이의 경우 주봉 구간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ho, W.(2012) Deterioration status of closed-trail of National Parks on the Baekdudaegan mountains, South Korea. Kor. J. Env. Eco. 26(5): 827-8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i, S.M., H.K. Kweon, J.W. Lee, Y.H. Choi and T.J. Choi(2014) A study on deterioration of ridge trail in Jeongmaek. Korean J. Environ. Ecol. 28(4): 450-4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ung, C.U.(2006) Analysis 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ammals in relation to altitude in Juwangsan National Park. J. Ecol. Field Biol. 29(6): 511-5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oleman, R.(1981) Footpath erosion in the English lake District. Applied Geography 1: 121-131. 

  5. Hwang, S.K. and J.H. Kim(2009) Topographical landscape and their controlling geological factors in the Juwangsan National Park: welding facies and columnar joints. Jour. Petrol. Soc. Korea. 18(3): 195-2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Jeong, W.O. and H.G. Kwon(2008) Trail deteriorations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evaluation in Sobaeksan National Pa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2(1): 51-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J.S., D.H. Jang and H.K. Yang(2013) A characteristics conservation and application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in National Parks,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20(1): 85-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orea Forest Service(2004) The Method of Ecological Maintenance by Deterioration Types of Trail. Korea Forest Service, Korea. 188pp. (in Korean) 

  9.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2008) Investigation on the Natural Resource of the Juwang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534pp. (in Korean) 

  10. Korea National Park Service(2009) Maintenance Manual of Trails i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Korea. 161pp. (in Korean) 

  11. Kwon, T.H., D.W. Kim and J.W. Lee(2005) Trail deterioration in Woraksan National Park. J. Env. Eco. 19(2): 130-1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won, T.H., K.K. Oh and J.W. Lee(1990) User's impact on trail deteriorations and edge vegetation in Sokri Mountain National Park. J. Env. Eco. 4(1): 63-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won, T.H., K.K. Oh and J.W. Lee(1993) Use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in Sobaeksan National Park. J. Env. Eco. 6(2): 168-1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won, T.H., K.K. Oh and J.W. Lee(1994) Use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and campsite in T?kyusan National Park. J. Env. Eco. 7(2): 241-2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won, T.H., K.K. Oh and J.W. Lee(1995) Use pattern and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n and around trails in Chuwangsan National Park. J. Env. Eco. 8(2): 167-1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won, T.H., K.K. Oh and J.W. Lee(1996) Use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n and around trails in Odaesan National Park. J. Env. Eco. 9(2): 211-2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won, T.H., K.K. Oh and N.H. Jeong(1989) Trail and campground deteriorations and use impact on their natural environment in Mt. Kaya National Park. Kor. J. Env. Eco. 3(1): 81-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won, T.H., K.K. Oh and S.D. Kwon(1991) Use impact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and campsite in Chirisan National Park. J. Env. Eco. 5(1):91-1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won, T.H., K.K. Oh and Y.S. Kwon(1988) Trail and campground deteriorations, and their environmental changes of soil and vegetation in Chiak Mountain Nationa Park. Kor. J. Env. Eco. 2(1): 50-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H.C., I.C. Hwang, D.O. Lim and C.U. Chung(2011) The specific plant species and conservation of Juwangs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25(4): 498-5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J.W., K.K. Oh and T.H. Kwon(1997) Use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n and around trails in S?raksan National Park. J. Env. Eco. 10(2): 191-2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Mun, S.J. and J.H. You(2013) Naturalness assessment of trails in urban area of Gyeongju National Park-focused on Sogeumgang, Hwarang and Seoak District-.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2(4): 303-3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Mun, S.J.(2013) The naturalness evaluation of trails in Gyeongju National Park. MS thesis, Dongguk University, Gyeongju, Korea, 140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Mun, S.J., J.H. You, K.P. Hong and S.H. Heo(2013) Analysis of deterioration status on the trails in the Gyeongju National Park-focused on Mt. Toham, Mt. Nam, Mt. Danseok and Mt. Gumi Distric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3): 31-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Nam, Y.(2014) The damage degree evaluation and management method of trails in Juwangsan National Park. MS thesis, Dongguk University, Gyeongju, Korea, 140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Oh, K.K. and S.H. Heo(1992) Environmental deterioration of and around trail in Hallasan National Park. J. Env. Eco. 6(1): 55-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Oh, K.K., T.H. Kwon and Y.J. Jeun(1987) Trail damage and vegetational change of trail side in Bukhan Mountain National Park. J. Env. Eco. 1(1): 35-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Park, E.H., T.I. Kim, W.O. Jeong, H.G. Kwon and P.H. Jeong(2010) Trail characteristics and deterioration type of Jirisan National Park Chilseon Valle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4(2): 9-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Park, J.H.(2010) Analysis on the restoration of visiting roads of stream of Chilsun in Jirisan National Park. J. Korean Env. Res. Tech. 13(2): 105-1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Park, P.H., T.I. Kim, W.O. Jeong, H.G. Kwon and P.H. Jeong(2010) Trail characteristics and deterioration type of Jirisan National Park Chilseon Valley. Journal of the Korena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4(2): 9-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Quinn, N.W., R.P.C. Morgan and A.J. Smith(1980) Simulation of soil erosion induced by human tramping.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0: 155-165. 

  32. You, J.H., S.K. Jeon and J.W. Seol(2013) Flora and conservation plan of Gayasan National Park. J. Korean Env. Res. Tech. 16(1): 109-1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