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창의적 정보과학교육이 학부모와 초등학생의 정보과학교육에 관한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Elementary Parent and Students' Perceptions of Value on Computer Science after Creative Computer Science Education

초록
용어

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창의적 정보과학교육 이후, 학부모와 학생의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정보교과에서는 많은 연구들은 학생의 교과 내용에 대한 효과에 집중하고 있으며, 학부모에 대한 인식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학부모들이 인식하는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에 집중하였으며, 실질적으로 학부모들이 정보교과 학습 지지에 관련 있는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학부모와 학생의 인식 차이 검증을 실시하지 않았고, 각 집단이 인식하는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다중회귀분석으로 진행하여 보다 구체적인 영향력을 산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분석결과, 학부모가 인식하는 학생의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흥미 및 만족도 변인이며, 학생들은 자기효능감의 변인이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ariables affecting par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value of computer science after creative computer science education, through multiple regression. Many researches on Informatics subject have focused on the effect of the subject contents on students but hardly dealt with parents' recognition. Thereupon,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value of computer science recognized by parents and analyzes variables substantially affecting value variables of computer science related to parents' support for learning Informatics subjects. This paper did not verify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parents and students but calculated more concrete influence by conducing multiple regression o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value recognized by each group. This is one of the reasons why this study is meaningful.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variables affecting the value of parents on computer science the most are interest and satisfaction, and in students' case, self-efficacy is the variable affecting the value of computer science the most.

본문요약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학생 및 학부모의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인식을 높이기 위해 어떤 변인들에 대한 인식을 높여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셋째, 학부모가 인식하는 학생의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학생 스스로 인식하는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인식 변인들이 정보과학교육의 가치에 대한 인식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학생 및 학부모의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인식을 높이기 위해 어떤 변인들에 대한 인식을 높여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학생과 학부모가 인식하는 학생의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인식이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과 학부모가 인식하는 학생의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인식이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독립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표 4>, <표 5>를 고려할 때, 독립변인들의 상관이 .

  • 본 연구에서는 학생과 학부모가 인식하는 학생이 정보과학교육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 지에 대한 기술 통계를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과 학부모가 인식하는 학생이 정보과학교육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 지에 대한 기술 통계를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 인식을 높이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학부모와 학생을 대상으로 정보과학교육 인식 변인이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보교과는 2007 개정교육과정 이후 꾸준히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 인식을 높이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학부모와 학생을 대상으로 정보과학교육 인식 변인이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부모 및 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정보과학교육을 진행하고, 정보과학교육 대한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부모 및 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정보과학교육을 진행하고, 정보과학교육 대한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학부모들이 자녀들의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도출해 봄으로써 향후 정보교육의 발전을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 특히 학부모들이 자녀들의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도출해 봄으로써 향후 정보교육의 발전을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부모 및 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정보과학교육을 진행하고, 정보과학교육 대한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학부모들이 자녀들의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도출해 봄으로써 향후 정보교육의 발전을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키워드에 따른 질의응답 제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 교과
정보 교과는 무엇을 목표로 하는 과목인가?
컴퓨터 과학 기반의 정보 기술을 활용한 논리적 사고력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목표

정보 교과는 2007년 개정 이후 꾸준히 변화된 교육과정을 통해 이전의 형식적이고 도구적 활용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컴퓨터 과학 기반의 정보 기술을 활용한 논리적 사고력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목표로 하는 과목으로 변화하였다[1]. 최근에는 정보 교과의 핵심 영역인 “문제해결 방법과 절차”영역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프로그래밍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초·중등 정규 교육과정에 소프트웨어 교과의 신설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학업 관련 동기
학업 관련 동기가 학습에 대한 흥미나 노력, 끈기와 같은 내재 동기로 교육 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인 이유는 무엇인가?
과제의 선택이나 꾸준한 노력 등의 성취 행동들은 동기, 기대, 그리고 가치의 세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되게 되기 때문이다[6]. 즉, 교과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교과의 중요성에 대한 내재적인 판단과 더불어 향후 교과 학습자들의 성취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치 요인은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학업 관련 동기는 학습에 대한 흥미나 노력, 끈기와 같은 내재 동기로 교육 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5]. 왜냐하면 과제의 선택이나 꾸준한 노력 등의 성취 행동들은 동기, 기대, 그리고 가치의 세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되게 되기 때문이다[6]. 즉, 교과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교과의 중요성에 대한 내재적인 판단과 더불어 향후 교과 학습자들의 성취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치 요인은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학습자의 동기유발 관련 요인
학습자의 동기유발 관련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자기조절학습 성향, 자기효능감, 성실성이나 충동성과 같은 성격특성 등의 개인적 요인과 학생이 속한 사회적 분위기, 즉 가정이나 동료집단의 공부에 관한 견해나 학교 풍토 등

학습 동기는 정보교육에서 뿐 아니라 모든 교육에서 학습에 대한 가치를 불어넣을 수 있으며,학습의 원동력을 제공한다[4]. 학습자의 동기유발 관련 요인은 자기조절학습 성향, 자기효능감, 성실성이나 충동성과 같은 성격특성 등의 개인적 요인과 학생이 속한 사회적 분위기, 즉 가정이나 동료집단의 공부에 관한 견해나 학교 풍토 등이 있다[5]. 학업 관련 동기는 학습에 대한 흥미나 노력, 끈기와 같은 내재 동기로 교육 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1. 교육인적자원부(2007). 중학교 재량활동의 선택과목 교육과정 -정보-. 
  2. 2. 이홍우(2008). 지식의 구조와 교과. 서울: 교육과학사. 
  3. 3. Eccles, J., & Wigfield, A. (1985). Teacher expectations and student motivation. Teacher expectancies, 185-226. 
  4. 4. 김아영(2004).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교육방법연구, 16(1), 1-38. 
  5. 5. 김아영(2008). 한국 청소년의 학업동기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문제, 14(1), 111-134. 
  6. 6. 봉미미(2000). 학습동기 관련 연구의 최근 동향. 교육과학연구, 31(3). 
  7. 7. 심미옥(2003). 초등학교 학부모의 자녀 교육지원활동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6(2), 333-358. 
  8. 8. 이순형(2003). 학부모 참여에 의한 학교교육의 혁신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비교교육연구, 13(2). 
  9. 9. Michael L. B., Jason L. Horowitz, Gerald J. August, Chih-Yuan S. Lee, George M. Realmuto., Bonnie Klimes-Dougan(2009). Understanding Parent Participation in a Going-to-Scale Implementation Trial of the Early Risers Conduct Problems Prevention Program.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8(6), 710-718. 
  10. 10. John P. Dolly., D. Paticia Page(1983). The lack of parent participation in rural school. Rural Education, 1(2), 53-54. 
  11. 11. Paul, J. H., Judith, A M(2009). Parent Participation in Schools: Evaluating an Innovative Organizational Model.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ulture and Change Management, 9(6), 113-126. 
  12. 12. 문외식(2005).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교력 및 문제 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과정 모델 - 재량.특별활동시간에 비주얼베이직언어를 중심으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9(4), 595-605. 
  13. 13. 송정범(2008).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학습이 학습자의 동기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2(3). 
  14. 14. 이승헌, 김갑수(2008). 초등학생을 위한 프로젝트기반 프로그래밍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1(2). 
  15. 15. Bandura, A(1977).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NJ:Prentice-Hall. 
  16. 16. Bandura, A(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cognitive view,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7. 17. Bandura, A., Wood, R. E(1989). Effect of perceived controllability and performance standards on self-regulation of complex decision mak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 805-814. 
  18. 18. Bandura, A., Schunk, D(1981). Cultivat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1, 586-598. 
  19. 19. Locke, E. A., Frederick, E., Lee, C., Bobko, P(1984). Effect of self-efficacy, goals, and task strategies on task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9, 241-251. 
  20. 20. Schunk, D. H., Gunn, R. P(1986). Self-efficacy and skill development: Influence of task strategies and attribution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9, 238-244. 
  21. 21. Schunk, D. H(1990). Goal setting and self-efficacy during 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5, 71-86. 
  22. 22. Multon, K. D., Brown, S. D., Lent, R. W(1991). Relation of self-efficacy beliefs to academic outcomes :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8, 30-38. 
  23. 23. Pajares, F(2003). Self-efficacy Beliefs, Motivation, and Achievement in Writing :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ading & Writing Quarterly, 19, 139-158. 
  24. 24. Jhon Dewey(1913). Interest and effort in education, Boston: Riverside Press. 
  25. 25. Thorndike, E. L(1935). The psychology of wants, interests, and attitudes. New York: Appleton-Century. 
  26. 26. Todt, E., Schreiber, S(1998). Development of interests. In L. Hoffmann, A. Krapp, AX. Renninger, & J. Baumert (Eds.). Interest and Learning. Proceedings of the Seeon-Conference on Interest and Gender (pp. 25-40). Kiel: IPN. 
  27. 27. Krapp, A., Hidi, S., Renninger, KA(1992). Interest, learning and development, Hillsdale, NJ: Erlbaum. 
  28. 28. 김정규, 김영수(1988).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 형설출판사. 
  29. 29. 황지희(2003). 집단미술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창의성과 학습흥미에 미치는 효과, The Journal of Play Therapy, 7(1), 105-123. 
  30. 30. 김민정(2005). e-Learning 환경에서 인식되는 사회적 실재감과 성취도, 만족도, 학습 지속도의 관계 규명.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1. 31. Stein, J. J(1997). Asynchronous computer conferencing as a supplement to classroom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 The impact of selected learner characteristics on user satisfaction and the amount of inter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ayne State University, Michigan. 
  32. 32. 추정훈(2005). 가치화의 과정과 가치교육의 문제. 사회과교육연구, 12(2), 237-261. 
  33. 33. Jere, B(1999). Toward a Model of the Value Aspects of Motivation in Education : Developing Appreciation for Particular Learning Domains and Activities. Educational Psychologist, 34(2), 75-85.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 KCI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