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경부통을 가진 시내버스 운전기사에게 복합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 사례연구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Program to Intra-City Bus Driver With Chronic Neck Pain : Case Report 원문보기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v.21 no.1, 2015년, pp.49 - 56  

안승원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물리치료실) ,  정영준 (구미대학교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lthough many of those who drive for a living are exposed to repetitive and awkward posture and whole body vibration which cause them cumulative trauma disorder, therapeutic studies related to the problems from the transport unit are still somewhat inadequate. The purpose of this case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전신진동과 장시간 운전으로 기인한 누적외상성 질환으로 인해 3개월 이상 만성 경부통을 호소하는 운전자들에게 복합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관절가동범위 및 통증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경부장애지수와 피로도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 경추부와 어깨부위를 관찰하였을 때 근육의 경련(spasm)으로 인해 경부관절 움직임에 제한을 보였고, 통증을 호소하였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를 객관적이고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4명의 만성 경부통을 호소하는 버스운전기사들을 대상으로 치료 전과 2주간, 4주간 치료 후를 평가하여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 환자의 치료결과는 아래의 표와 같다(Table 2).
  • 본 연구는 지속적인 진동에 노출되어 누적외상성 질환으로 인한 만성 경부통을 가진 시내버스 운전기사에게 총 4주간의 복합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효과를 보기위해 작성되었다.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관절 가동 범위가 굴곡과 신전이 약 14%, 편측 굴곡은 약 9%, 회전은 약 8% 각각 증가하였다.
  • 반면 요통환자를 대상으로 실험 전후 근 피로도 변화에 대한 보고는 몇몇의 연구에서 확인되었다(Cram, 1988; Blakely, 1989).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 전후 의 근피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일본에서 개발된 설문형 피로 자각증상 조사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테이핑과 관절가동기법을 적용한 대상자에서 피로도가 감소되었다는 것을 확인해 볼 수가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신진동이 인체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전신진동이 인체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근골격계 질환과 관련된 것이었다. 특히 척추와 관련된 신경계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직업적인 전신진동 노출은 요통장애, 좌골신경통, 허리추간판 이상을 포함한 척추조직에 퇴행성 변화의 유해성을 증가시키는 것과 관련성이 있다(Bovenzi와 Hulshof, 1998). 또한 진동으로 인한 누적외상성 질환으로 기인되는 병적 증상 중 만성 경부통증은 반복되는 작업 및 불안정한 자세로의 습관적인 자세고정 등으로 근의 경직화와 만성적 운동부족(chronic hypokinetics) 으로 인해 인구 중 67%가 일생동안 이러한 경부 통증을 경험 하고 있으며, 경부통증과 그에 수반되는 방사통으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개인이 느끼는 불편함으로부터 입원치료를 요하는 심한 경우에 이르기까지 주위에서 흔히 발견되는 질병이다(Griegel-Morris 등, 1992).
누적외상성 질환이란 무엇인가? 그 중 많은 문제가 되고 있는 누적외상성 질환 (cumulative trauma disorders; CTDs)등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은 특정한 신체부위의 반복 작업과 부자연스러운 작업자세, 과도한 힘, 진동 등이 원인이 되어 주로 관절부위를 중심으로 근육과 혈관, 신경 등에 미세한 손상이 생겨 결국 통증과 감각 이상을 호소하는 근골격계의 만성적인 건강장해로 알려져 있다(Erdil와 Dicckerson, 1997).
빠른 운송수단의 개발이 가지는 장단점은 무엇인가? 최근에 운송수단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전 세계 및 지역을 빠른 시간 내에 쉽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런 운송수단을 이용하거나 종사하는 사람들의 숫자도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이다. 현재에도 다양한 빠른 운송수단의 개발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서 이용자 측면에서의 편리성과 유용성은 상당히 진전되었으나 실제 운송수단 인근주변의 생활환경이나 운전자의 작업환경 측면에서는 여러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권영국. 산업인간공학. 형설출판사. 165, 1996. 

  2. 김명종, 이준희, 최원호. 근막통증후군에 대한 경피신경 전기자극과 간섭전류치료의 효과 비교.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 2004;2(1):1-8. 

  3. 김범석. 차량 승차감에 미치는 공차의 영향분석을 위한 해석적 방법.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 김현정, 배성수, 장철. 관절가동운동이 경부통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3;15(3):65-90. 

  5. 민경옥. 전기치료학1. 현문사. 1993. 

  6. 박근상. 인간공학. 청문각. 1997. 

  7. 박창일, 김유철, 신지철 등. 정상 성인의 경추, 요추 운동범위 및 연령에 따른 영향. 대한재활의학회지, 1996;20(2):278-288. 

  8. 산업안전보건연구원(2005). 전신진동 노출특성 연구(I). 한국산업안전공단. 2005. 

  9. 이은우, 신원섭, 정경심 등. 경통 환자 평가를 위한 Neck Disability lndex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7;14(3):97-103. 

  10. 정지연, 진영수, 김희상, 등. 8주간 경부 자가 운동이 만성 경부통증 환자의 통증, 경부기능장애지수, 가동범위 및 경추배열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07;46(4):437-445. 

  11. 한국산업안전공단.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 조사지침. 2011. 

  12. 허진강. 목 안정화 운동이 만성 목 통증 환자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리서치. 2006;17(1):121-134. 

  13. Adams JR, O'Brien CJ. Unknown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a review of diagnosis, treatment and outcomes. Asian J Surg. 2002;25(2):188-193. 

  14. ACGIH. Documentation of the threshold limit values and biological exposure indices. ACGIH. 2004 

  15. Blakely WW. EMG diagnostic scanning : a selec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Int J Psychosom. 1989;36(1-4):35-36. 

  16. Boonstra MC, De Waal Malefijt MC, Verdonschot N. How do quantify knee functio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knee. 2008;15(5):390-395. 

  17. Bovenzi M, Hulshof CTJ. An updated review of epidemiologic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whole-body vibration and low back pain (1986-1997).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1999;72(6):351-365. 

  18. Cram JR. Surface EMG recordings and pain-related disorders: a diagnostic framework. Biofeedback Self Regul. 1988;13(2):123-138. 

  19. Erdil M, Dickerson OB. Cumulative trauma disorders, preventive, evaluation and treatment. Van Nostrand Reinhold. 1997. 

  20. Griegel-Morris P, Larson K, Mueller-Klaus K, et al. Incidence of common postural abnormalities in the cervical, shoulder, and thoracic regions and their association with pain in two age groups of healthy subjects. Phys Ther. 1992;72(6):425-431. 

  21. Griffin MJ. Handbook of Human Vibration. Academic Press. 1990. 

  22. Hakkinen A, Salo P, Tarvainen U, et al. Effect of manual therapy and stretching on neck muscle strength and mobility in chronic neck pain. J Rehabil Med. 2007;39(7):575-579. 

  23. Hanten WP, Olson SL, Russell JL, et al. Total head excursion and resting head posture : normal and patient comparisons. Arch Phys Med Rehabil. 2000;81(1):62-66. 

  24. Heikkila, H V, Wenngren BI. Cervicocephalic kinesthetic sensibility, active range of cervical motion, and oculomotor function in patients with whiplash injury. Arch Phys Med Rehabil. 1998;79(9):1089-1094. 

  25. Hudson JS, Ryan CG. Multimodal group rehabilitation compared to usual care for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a pilot study. Man Ther. 2010;15(6):552-556. 

  26. Jull G, Falla D, Treleaven J, et al. Retraining cervical joint position sense: the effect of two exercise regimes. J Orthop Res. 2007;25(3):404-412. 

  27. Kogler A, Lindfors J, Odkvist LM, et al. Postural stability using different neck positions in normal subjects and patients with neck trauma. Acta Otolaryngol. 2000;120(2):151-155. 

  28. Kumar S. Vibration in operating heavy haul trucks in overburden mining. Appl Ergon. 2004;35(6):509-520. 

  29. Lafond D, Champagne A, Cadieux R, et 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traumatic chronic cervical pain associated with unsteadiness: a single case study. Chiropr Osteopat. 2008;16:15. 

  30. Lee H, Nicholson LL, Adams RD. Cervical range of motion associations with subclinical neck pain. Spine. 2004;29(1):33-40. 

  31. Meeus M, Nijs J, Meirleir KD.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in patients with the chronic fatigue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Eur J Pain. 2007;11(4):377-386. 

  32. Miettinen T, Leino E, Airaksinen O, et al. The possibility to use simple validated questionnaires to predict long-term health problems after whiplash injury. Spine. 2004;29(3):E47-E51. 

  33. Shakoor MA, Ahmed MS, Kibria G, et al. Effects of cervical traction and exercise therapy in cervical spondylosis. Bangladesh Med Res Counc Bull. 2002;28(2):61-69. 

  34. Sjolander P, Michaelson P, Jaric S, et al. Sensorimotor disturbances in chronic neck pain-range of motion, peak velocity, smoothness of movement, and repositioning acuity. Man Ther. 2008;13(2):122-131. 

  35. Staines WR, Mcllroy WE, Brooke JD. Cortical representation of whole body movement is modulated by proprioceptive discharge in humans. Exp Brain Res. 2001;138(2):235-242. 

  36. Standridge RK, Kondraske GV, Mooney V et al. Temporal characterization of myoelectric spectral moment changes : analysis of common parameters. IEEE Trans Biomed Eng. 1988;35(10):789-797. 

  37. Taimela S,Takala EP, Asklof T, et al. Active treatment of chronic neck pain : a prospective randomized intervention. Spine. 2000;25(8):1021-1027. 

  38. Teng CC, Chai H, Lai DM, et al. Cervicocephalic kinesthetic sensibility in young and middle-aged adults with or without a history of mild neck pain. Man Ther. 2007;12(1):22-28. 

  39. Vernon H, Mior S. The Neck Disability Index: a study of reliability and validity. J. Manipulative Physiol Ther. 1991;14(7):409-415. 

  40. Wallis BJ, Lord SM, Barnsley L, et al. The psychological profiles of patients with whiplash-associated headache. Cephalalgia. 1998;18(2):101-105. 

  41. Ylinen J, Takala EP, Nykanen M, et al. Active neck muscle training in the treatment of chronic neck pain in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003;289(19):2509-25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