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어 구조적 중의성 문장에 대한 일본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발화양상
Prosodic aspects of structural ambiguous sentences in Korean produced by Japanese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7 no.3, 2015년, pp.89 - 97  

윤영숙 (경남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sodic aspects of structural ambiguous sentences in Korean produced by Japanese Korean learners and the influence of their first language prosody.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structural ambiguous sentences in Korean are different especially in proso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본인 중급 한국어학습자들의 한국어 구조적 중의성 문장의 산출양상을 조사하고 한국어 원어민화자의 발화문과 비교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중의성 해소과정에서 모국어인 일본어(L1)의 운율특성이 한국어(L2) 문장발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문장의 운율 구조와 경계성조 유형 그리고 운율구 피치패턴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본인 중급 한국어학습자들의 한국어 구조적 중의성 문장의 산출양상을 조사하고 한국어 원어민화자의 발화문과 비교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중의성 해소과정에서 모국어인 일본어(L1)의 운율특성이 한국어(L2) 문장발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문장의 운율 구조와 경계성조 유형 그리고 운율구 피치패턴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일본인 중급 한국어학습자들의 한국어 구조적 중의성 문장의 발화정확도를 조사하고 피치곡선의 형태를 중심으로 중의성 문장 발화에서 나타나는 모국어 운율의 전이 양상을 살펴보았다.
  • Mennen(2004)에 의하면 L2 학습에서 나타나는 L1의 운율 전이 현상은 음운론적 요소와 음성적 요소로 나눌 수 있는데 음운론적 요소의 하나로 경계 성조의 형태와 목록이 해당된다고 한다. 본 장에서는 JS의 한국어 중의문 발화에서 나타나는 음운론적 전이 양상을 운율구 경계 성조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후어휘부에서 AP와 IP 두 층위의 운율단위를 가지는데 AP와 IP는 특정한 피치패턴에 의해 상정되며 그 경계성조는 각 단위의 범위를 한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의성 문장 억양 교수에서 필요한 것과 불필요한 것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이처럼 한국어와 일본어는 통사적·운율적으로 차이점과 유사점을 동시에 내포하는데 이러한 차이점과 유사점이 일본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중의성 문장의 억양 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핌으로써 중의성 문장 억양 교수에서 학습이 필요한 요소와 불필요한 요소를 구별할 수 있을 것이다. 더구나 L2학습에서 중의성은 문장의 의미 해석과 관련된 문제로 문장의 내용과 형태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의사소통에 직접적인 장애가 생기게 된다.
중의성 문장이란? 중의성 문장이란 하나의 표층구조에서 둘 이상의 심층구조가 도출됨으로 두 개 이상의 의미가 생성되는 문장을 말한다. 가장 대표적인 구조적 중의성 문장은 피수식어의 범위가 명확하지 않아 생기는데 관형절과 부사어 수식에 의한 중의성으로 나눌 수 있다.
한국어와 일본어 피치곡선의 형태 차이의 예는? 이 외에도 한국어와 일본어는 피치곡선의 형태에서도 많은 차이가 나타난다. 피치악센트 언어인 일본어는 음높이가 단어의 의미 구별에 관여하며 단어의 피치악센트는 문장에서도 유지되어 문장 피치곡선 형태에 영향을 미친다(Venditti et al. 1996). 이는 구조적 중의성 문장 발화에서 운율의 일차적 기능이 한국어에서는 문장의 심층구조를 드러내는 것인 반면 피치 악센트 언어인 일본어의 경우 문장의 심층구조와 더불어 단어의 의미변별 기능까지 수행해야 함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Jun, S. A. (2000). K-IoBI(Korean ToBI) labelling convention. Speech Science, 7(1), 143-169. 

  2. Jun, S. A. (2003). Prosodic phrasing and attachment preferences. J. of Psycholinguistic Research, 32(2), 219-249. 

  3. Jun, S. A. & Kim, S. H. (2004). Default phrasing and attachment preference in Korean. ICSPL. 

  4. Jun, S. A. & Koike, C. (2008). Default prosody and relative clause attachment in Japanese. the 13th japanese-Korean Linguistic Conference, CSLI, Stanford. 

  5. Kwack, D. G. (1999). On the intonational phrase and phonological phrase. Silla university journal, 48, 363-381. (곽동기 (1999). 억양구절과 음운론적 구절에 대하여. 신라대 학교 논문집 48호, 363-381.) 

  6. Lee, H. Y. (1996). Korean Phonetics. Seoul: Taehaksa. (이호영 (1996). 국어음성학. 서울: 태학사.) 

  7. Mennen, I. (2004). Bi-directional interference in the intonation of Dutch speakers of Greek. Journal of phonetics, 32(4), 543-563. 

  8. Min, G. J. (2004). Contrastive acoustic and phonetic study on Korean and Japanese prosody. Seoul: J & C. (민광준 (2004). 한.일 양 언어 운율의 음향음성학적 대조 연구. 서울: 제이앤씨.) 

  9. Venditti, J. (2005). The J_ToBI model of Japanese intonation. Retrieved from http://www1.cs.columbia.edu/-jjv/pubs/jtobi_Ch-07-final.pdf/on January 15, 2015. 

  10. Venditti, J., Jun, S. A., Beckman, M. E. (1996), Prosodic cues to syntactic and other linguistic structures in Japanese, Korean, and English, Signal to Syntax, eds. by J. Morgan and K. Demuth, 287-3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