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운율 층위에 따른 중국인학습자들의 한국어 유기음화 적용 양상
Aspects of Chinese Korean learners' production of Korean aspiration at different prosodic boundarie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9 no.4, 2017년, pp.9 - 17  

윤영숙 (경남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Chinese Korean learners (CKL) can correctly produce the aspiration in 'a lenis obstruents /k/, /t/, /p/, /ʧ/+/h/ sound' sequence at the lexical and post-lexical level. For this purpose 4 Korean native speakers (KNS), 10 advanced and 10 intermediate CK...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기음화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유기음화는 입력부의 두 음소가 출력부에서 하나의 음소로 융합되는 축약현상이며 입력부에서의 두 음소의 음운자질은 출력부에서도 유지된다. 유기음화는 ‘ㅎ’과 평 장애음의 위치에 따라 순행적 유기음화와 역행적 유기음화로 나뉘는데(이문규, 1999) 순행적 유기음화는 ‘어간 말 /ㅎ/+평장애음(/ㄱ,ㄷ,ㅂ,ㅈ/)’ 연쇄로, 역행적 유기음화는 ‘평장애음(/ㄱ, ㄷ,ㅂ,ㅈ/)+/ㅎ/’ 연쇄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넣고[너코]’는 순행적 유기음화, ‘축하[추카]’는 역행적 유기음화로 분류된다.
유기음화란 무엇인가? 유기음화는 ‘ㄱ, ㄷ, ㅂ, ㅈ’ 등 평장애음이 ‘ㅎ’ 앞이나 뒤에서 평장애음과 동일 조음위치의 유기음으로 바뀌는 음운현상을 말한다(이문규, 1999). 유기음화는 입력부의 두 음소가 출력부에서 하나의 음소로 융합되는 축약현상이며 입력부에서의 두 음소의 음운자질은 출력부에서도 유지된다.
유기음화의 유형에 따라 적용단위가 다른 이유는? 곽동기(1992)는 유기음화의 유형에 따라 적용단위가 다름을 밝히고 순행적 유기음화는 음운론적 단어(prosodic word), 역행적 유기음화는 억양단위에서 적용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현대 한국어에서 ‘ㅎ’으로 끝나는 체언이 없으므로 순행적 유기음화의 환경인‘/ㅎ/+평장애음(/ㄱ,ㄷ,ㅂ,ㅈ/)’이 항상 용언어간과 어미의 연쇄, 즉 어중에서만 나타나는 형태론적 한계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유기음화의 최대 적용 단위는 억양구로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um, T. (2013). Comprehension on the phonological process of standard Korean. Seoul: Pakmunsa. (엄태수 (2013). 표준어의 음운현상에 대한 이해. 서울: 박문사.) 

  2. Choi, H. (2008). A study on teaching how to pronounce Korean fortis for Chinese learners. M.A. Thesis, Chungnam University. (최현숙 (2008).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된소리 발음교육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Choi, J. (2013). A study on the glides and syllable structure of standard Chinese. M.A. Thisis, Hanyang University. (최주현 (2013). 표준 중국어 활음과 음절구조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Heo, Y. (2012). A phonological analysis on pronunciation error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 Focusing on phonological processes -. Keimyung Korean Studies Journal, 46, 201-232. (허용 (2012).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에 대한 음운론적 분석-음운 현상을 중심으로-. 한국학 논집, 46, 201-232.) 

  5. Heo, Y., & Kim, S. (2006). Teaching pronunciation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Seoul: Pagijong. (허용.김선정 (200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론. 서울: 박이정.) 

  6. Jun, S.-A. (1993). The phonetics and phonology of Korean prosody. Ph.D.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7. Jun, S.-A. (2000). K-ToBI(Korean ToBI) labeling convention. Retrieved form https://escholarship.org/uc/item/2h69k4m7#page-153 on september 10, 2016. 

  8. Kang, S. (2010). A contrastive study on phonological change of segment phonemes in Chinese and Korean languages. Chinese Studies, 36, 1-29. (강식진 (2010). 중국어와 한국어의 분절음 음운변동 대조 연구. 중국학, 36, 1-29.) 

  9. Kim, M., & Kim, O. (2009). Korean phonology. Seoul: Saemunsa. (김무림.김옥영 (2009). 국어 음운론. 서울: 새문사.) 

  10. Kim, S. (2010).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applying language universals and parameters. Humanities Studies East and West, 43, 65-90. (김선정 (2010). 언어의 보편성과 유표성을 통한 한국어 교육. 동서인문학, 43, 65-90.) 

  11. Kwak, D. (1992). A phonological study on the Korean prosodic structure.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곽동기 (1992). 운율단위에 의한 국어음운 현상의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Lee, M. (1999). /h/ and aspiration in Korean. The Journal of Linguistic Science, 16, 383-402.(이문규 (1999). 음소 'ㅎ'과 유기음화. 언어과학연구, 16, 383-402.) 

  13. Shin, J. (2011). Korean phonetics and phonology. Seoul: Jisikkwakyoyang. (신지영 (2011). 한국어의 말소리. 서울: 지식과 교양.) 

  14. Shin, J., & Cha, J. (2003). Korean sound system. Seoul: Hangukmunwhasa. (신지영.차재은 (2003). 우리말 소리의 체계. 서울: 한국문화사.) 

  15. Shin, S. (2002). A syllable structure of Korean. Poetics & inguistics, 4, 294-329. (신승용 (2002). 연구논문: 한국어의 음절구조. 시학과 언어학, 4, 294-329.) 

  16. Song, J. (2001). An analysis of common phonetic faults by Korean study Chinese.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17, 153-178. (송지현 (2001). 한국인의 중국어 발음상의 문제점-언어 간섭의 복잡성을 중심으로 억양과 음절길이 분석. 중국어문학논집, 17, 153-178.) 

  17. Yun, J. (2012). A study on the Korean interlanguage according to the applicaion of phonological rules. The Institute of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27, 539-561. (윤정기 (2012). 음운규칙 적용에 따른 중간언어 연구. 한어문교육, 27, 539-5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