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복합 시대의 리더 감독 유형이 창의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Leader Supervisory Style to Creativity and Job Involvement in the age of Converge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9, 2015년, pp.149 - 159  

설렁거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  이선규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  강은구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  김홍철 (금오공과대학교 컨설팅대학원) ,  김은경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융 복합 시대의 리더 감독 유형이 조직구성원의 창의성과 직무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들 변수간의 관계에서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가 어떠한 조절역할을 하는가를 동시에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리더 감독 유형의 주요 요인들을 선행연구를 통해서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 감독 유형의 지원적 리더와, 통제적 리더는 조직구성원의 창의성에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 구성원의 직무 몰입에도 같은 결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의 조절효과는 리더 감독 유형의 두가지 모두 창의성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리더 감독 유형의 통제적 리더와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이론적 실무적으로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der Supervisory Style, Creativity and Job Involvement in the age of convergence.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Leader-Member Exchange.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e main factors of the Leader Supervisory Style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리더 감독 유형을 지원적 리더와 통제적 리더로 구분하며, 구성원의 창의성과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LMX의 조절효과를 검토함으로써, 이들 변수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측정도구의 타당성이 없다면 그 개념의 속성을 정확히 반영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사한 요인으로 축소하는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조직 구성원들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 Zhou and George(2001)가 사용하였던 ‘나의 팀의 목적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 리더 감독 유형이 리더십 연구와 조직행동분야에서 차지하는 중요성과 관련하여 인사조직 분야에서는 다양한 논의가 있어왔으며, 리더 감독 유형에 따른 조직구성원들의 조직유효성을 파악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이론적, 실증적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리더 감독 유형이 리더의 리더십과 구성원의 적합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될 수 있는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LMX)를 조절변수로 조직구성원의 창의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통해 나타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가설 3은 LMX의 조절효과에 관한 것이다. 즉, 리더 감독 유형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LMX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 리더 감독 유형은 조직 구성원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 리더 감독 유형은 조직 구성원의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 리더 감독 유형과 창의성과의 관계에서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는 조절 역할을 할 것이다.
  • 가설 3-1 : 지원적 리더와 창의성과의 관계에서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는 조절 역할을 할 것이다.
  • 가설 3-2 : 통제적 리더는 창의성과의 관계에서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는 조절 역할을 할 것이다.
  • 가설 4 : 리더 감독 유형과 직무몰입과의 관계에서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는 조절 역할을 할 것이다.
  • 가설 4-1 : 지원적 리더와 직무몰입과의 관계에서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는 조절 역할을 할 것이다.
  • 가설 4-2 : 통제적 리더는 직무몰입과의 관계에서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는 조절 역할을 할 것이다.
  • 본 연구의 가설 3은 LMX의 조절효과에 관한 것이다. 즉, 리더 감독 유형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LMX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더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리더십 연구의 흐름은 전통적 리더십 연구에서 간과했던, 리더와 구성원 사이의 실질적인 영향 관계를 파악하려는 보다 획기적인 변화와 혁신 중심의 리더십 이론들을 등장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리더는 조직 구성원에게 일정한 형태의 리더십을 발휘하며, 이를 통하여 개인의 성과 및 조직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친다.
1980년대 이후 리더십 이론으로는? 사회과학분야의 주요 이슈였으며, 역사상 가장 오래된 연구 분야 중 하나인 리더십 이론은 1980년대 이전까지 리더십의 전통적인 이론인 특성론, 행위론, 상황론이 지배적이었다. 1980년대 이후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리더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변혁적 리더십, 카리스마적 리더십, LMX(leader member exchange) 이론 등 특정 형태의 리더십 이론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리더의 역할과 역량이 기업 경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조직 내에서 리더의 역할과 역량은 기업 경영 성과에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효과적인 리더십의 형성은 구성원의 창의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이는 생산성의 향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조직 관리상의 주요 과제로 다루어져왔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혁신을 이루기 위한 노력을 하며, 혁신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창의성을 핵심 역량으로 인식하고, 조직의 리더들은 구성원의 창의성을 이끌어 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mabile & Gryskiewicz, Creativity in the R & D laboratory, Center for Creative Leadership. Technical Report No.30, 1987. 

  2. Amabile, T. M., Conti, R., Coon, H., Lazenby, J., & Herron, M. (1996). Assessing the work environment for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5), 1154-1184. 

  3. Amabile, T. M., Conti, R., Coon, H., Lazenby, J., & Herron, M. (1996). Assessing the work environment for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5), 1154-1184. 

  4. Baer, M., & Oldham, G. R. (2006). The curvilinear relation between experienced creative time pressure and creativity: moderating effects of openness to experience and support for creativit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1(4), 963. 

  5. Carson, K. D., Carson, P. P., & Bedeian, A. G. (1995). Development and construct validation of a career entrenchment measur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68(4), 301-320. 

  6. Chen, G., & Klimoski, R. J. (2003). The impact of expectations on newcomer performance in teams as mediated by work characteristics, social exchanges, and empower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6(5), 591-607. 

  7. Cohen, S. (1995). Denial and acknowledgement: the impact of information about human rights violations. Center for Human Rights, Hebrew University. 

  8.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9. Deci, E. L., & Ryan, R. M. (1987). The support of autonomy and the control of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6), 1024. 

  10. Deci, E. L., Schwartz, A. J., Sheinman, L., & Ryan, R. M. (1981). An instrument to assess adults' orientations toward control versus autonomy with children: Reflections on intrinsic motivation and perceived compete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3(5), 642. 

  11. Deci, E. L., Connell, J. P., & Ryan, R. M. (1989). Self-determination in a work organiz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4(4), 580. 

  12. Graen, G. B., & Uhl-Bien, M. (1995). Relationship-based approach to leadership: Development of leader-member exchange (LMX) theory of leadership over 25 years: Applying a multi-level multi-domain perspective. The leadership quarterly, 6(2), 219-247. 

  13. Harackiewicz, J. M. (1979). The effects of reward contingency and performance feedback on intrinsic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8), 1352. 

  14. Kellerman, B. (2004). Bad leadership: What it is, how it happens, why it matters. Harvard Business Press. 

  15. Kolb, J. A., "Leadership of creative teams."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6(1), pp. 1-9, 1992. 

  16. Lawler, E. E., "High-involvement management: Participative strategies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ssey-Bass, San Francisco, 1986. 

  17. Liden, R. C., & Graen, G. (1980). Generalizability of the vertical dyad linkage model of leadership.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3(3), 451-465. Modway & Steers, 1982 

  18. Mumford, M. D., Scott, G. M., Gaddis, B., & Strange, J. M. (2002). Leading creative people: Orchestrating expertise and relationships. The Leadership Quarterly, 13(6), 705-750. 

  19. Oldham, G. R., & Cummings, A. (1996). Employee creativity: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3), 607-634. 

  20. Wolmark, N., Rockette, H., Fisher, B., Wickerham, D. L., Redmond, C., Fisher, E. R., ... & Petrelli, N. J. (1993). The benefit of leucovorin-modulated fluorouracil as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for primary colon cancer: results from National Surgical Adjuvant Breast and Bowel Project protocol C-03.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11(10), 1879-1887. 

  21. Ryan, R. M., & Grolnick, W. S. (1986). Origins and pawns in the classroom: Self-report and projective assessment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children's percep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0(3), 550. 

  22. Scott, S. G., & Bruce, R. A. (1994).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3), 580-607. 

  23. Shanock, L. R., & Eisenberger, R. (2006). When supervisors feel supported: relationships with subordinates'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1(3), 689. 

  24. Zhou, J., & Shalley, C. E. (2003). Research on employee creativity: A critical 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22, 165-218. 

  25. Zhou, J., & George, J. M. (2001). When job dissatisfaction leads to creativity: Encouraging the expression of voi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4), 682-696. 

  26. Zhou, J. (1998a). Feedback valence, feedback style, task autonomy, and achievement orientation: Interactive effects on creative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3, pp 261-276. 

  27. Zuckerman, M., Porac, J., Lathin, D., Smith, R., & Deci, E. L. (1978). On the importance of self-determination for intrinsically motivated behavior.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4, 443-4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