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병환자에게 적용한 중재프로그램 연구논문 분석
Analysis of Reported Study on Intervention Programs for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9, 2015년, pp.541 - 551  

송갑선 (대동대학교 간호학과) ,  김호진 (대동대학교 간호학과) ,  전점이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에게 적용한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국내 연구논문의 내용을 분석한 연구이며, 검색은 Riss4u, 국회도서관, 국립 중앙도서관 등을 이용하였다. 검색어는 "당뇨병 환자", "당뇨병환자와 교육", "당뇨병환자와 운동", "당뇨병환자와 중재", "당뇨병환자와 교육 또는 운동"이었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53편의 논문을 중재프로그램의 적용방법 및 효과변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유형은 총 8가지이며 사용된 효과변수는 113가지이다. 가장 많이 사용된 유형은 교육과 상담을 동시 적용한 경우 이며 당 대사, 자가 간호, 자기 효능감이 자주 사용되는 종속변수였다. 중재프로그램의 적용방법은 다양하였으며, 효과변수의 결과는 효과가 없거나 상이한 경우도 있었다. 향후 중재프로그램의 기대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디지털 융합 시대에 적합한 체계적인 내용 구성 및 운동이 적극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사회 심리적 변수를 포함한 효과변수의 선정 및 효과변수 측정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a review and analysis of published articles and theses in Korea on Intervention Programs for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 comprehensive search of databases was undertaken(Korean studies, Riss4u). using research terms such as"diabetes", "diabetes and education" "diabetes and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효과변수의 결과는 중재프로그램의 유형 및 적용기간과 적용빈도, 측정방법에 따라 효과가 없거나 상이한 경우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당뇨병환자의 합병증예방과 사망률 감소를 위해 당뇨병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에게 적용한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국내 연구논문의 내용을 분석한 문헌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 국내논문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연구방향 및 바람직한 중재프로그램의 지침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한 문헌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한 선행논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연구방향 및 바람직한 중재프로그램의 지침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제당뇨연맹에서 예측하는 당뇨병 환자는 몇명인가? 국제당뇨연맹에서는 전 세계당뇨병 환자가 전체 인구의 약 8.3%에 해당하며, 2035년에는 당뇨병환자가약 5억 9,200만 명이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1]. 우리나라의 당뇨병 유병률은 2001년 8.
우리나라의 당뇨병 유병률은 어떠한가? 3%에 해당하며, 2035년에는 당뇨병환자가약 5억 9,200만 명이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1]. 우리나라의 당뇨병 유병률은 2001년 8.6%에서 2013년 11.0%로 증가하였고[2], 당뇨병환자는 2030년에는 전체 인구의 14.4%에 해당하는 722만 수준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당뇨병 사망자 수의 경우 1992년에는 10만 명 중 11.
부적절하게 고혈당이 초래되는 특징을 보이는 일련의 대사질환인 당뇨병의 합병증은 어떠한가?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 인슐린 작용 또는 두 가지 모두의 결함에 기인하여 부적절하게 고혈당이 초래되는 특징을 보이는 일련의 대사질환이다[3]. 당뇨병의 합병증으로는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신경병증과 같은 미세혈관 합병증뿐만 아니라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등과 같은 대혈관 합병증이 발생된다.[3] 당뇨병은 평생을 통하여 관리를 해야 하기 때문에 당뇨병 치료의 성공여부는 환자 자신에게 달려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IDF diabetesatlas. 6th ed. Brussels: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13. 

  2. http://Kosis.nso.go.kr 

  3. Kore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treatment guidelines, Seoul: Medical literature, 2007. 

  4. Y. O. Chio, Correlationships between Family Support, Self-Care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Adults with Diabetes Mellitus, Ewha Women University , 2002. 

  5. Y. S. Park, & S. H. Ryu, Factors Influencing Qulaity of Life in Type II Diabetes Mellitus Patients Reistered at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Vol. 13, No. 4 pp. 679-688, 2002. 

  6. Stratton, I. M., Adler, A. I., Neil,H. A. W., Matthews, D. R., S. E., Cull, C. A., Hadden, D., turner, R. C., & Hadden, R. R, Association of glycemia with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of type 2 diabetes: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BMJ, 321(7258) pp. 405-412, 2000. 

  7. J. S. Yoo, & S. J. Lee,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s o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and Cardiac Function in Patients With Type II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Vol. 35, No. 2, pp. 546-554, 2005. 

  8. Y. R. Chin, E .S. So, & H. Y. Lee, A Meta - Analysis of Korean Diabetes Patient Studi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25, No.1 pp.5-16, 2011. 

  9. H. E. Kim, E. J. Kim, & G. E .Kim, The Effects of Diabetes Management Programs using Mobile App: A Systematic Review and a Meta-Analysis, Journal of Contents , Vol. 15, No. 1, pp. 300-307, 2015. 

  10. Brown, S. A, Meta-analysis of diabetes patient education research: Variation in intervention effects across studie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Vol. 15, No. 6, pp. 409-419, 1992. 

  11. Conn, V. S., Valentine, J. C., & Cooper, H. M, Interventions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among aging adults: A meta-Analysis,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Vol.24, No.3, pp. 191-200, 2002. 

  12. Norris, S. L., Nichols, P. J., Caspersen, C. J., Glasgow, R. E., Engelgau, M. M., Jack L.et al, Increasing diabetes self management education in community settings: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22, Suppl. 4, pp. 39-66, 2002. 

  13. Kibby, M., Tyc, V. L., & Mulhern, R. K,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hronic medical illness A meta 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 18, No. 1, pp. 103-117, 1998. 

  14. H. S. Kim, Effects of Web-based Diabetes Education in Obes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Vol. 35, No. 5, pp. 924-930, 2005. 

  15. C. H. Ko, &, M. O. Gu, The Effects of a Diabetes Education Program for Coping with Problem Situation on Self-efficacy, Self care behaviors, Coping and Glycemic Control in Type 2 Diabete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Vol. 34, No 7 ,pp. 1205-1214, 2004. 

  16. H. S. Park, Y. M. Lee, Y. O. Chio, E. S. Bae, & J. H. Na, M. S. Kim, Effects of Diabetes Education Program on Glucose Metabolism and Lipid Metabolism, Self-efficacy in NIDDM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 4, No 2 pp. 165-178, 2001. 

  17. M. S. Song, The Effects of Diabetes Outpatient Intensive Management Program on Glycemic Control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 Catholic University, 205. 

  18. J. S. Yoo, S. J. Lee, H. C Lee, E. S, Kang, & S. H. Kim, E. J. Park, The Effects Short Term Comprehensive Life Style Modification Program on Glycemic Metabolism, Lipid Metabolism and Body Composition in Type 2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Vol. 34, No. 7, pp. 1277-1287, 2004. 

  19. S. A. Kang, Effects of home program exercise therapy on blood glucose in non-insulin dependent diabetic patients, Dankook University, 2004. 

  20. J. H. Yoo, Effects of an Efficacy- source-based individual Aerobic Exercise Program on the Physiologic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of Postmenopausal Women with Type-2 Diabetes, Kyung Hee University, 2005. 

  21. A. R. Hwang J. S. Yoo, & C. J. Kim, The Effects of Planned Exercise Programs on Metabolism,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Exercise Compliance in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Vol. 31, No 1, pp. 20-30, 2001. 

  22. H. Y. Kang,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Motivational Interviewing Self-manag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Gyeongsang University, 2013. 

  23. M. S. Wang, Effects of a self-help program including aerobic exercise in type 2 diabetic patients, Hanyang University, 2005. 

  24. Norris, S. L., Zhang, ,X., Avenell, A., Gregg, E., Bowman, B., Serdula, M., et al, Long-term effectiveness of lifestyle and behavioral weight loss intervention in adults with type 2 diabetes: A Meta-analysis,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Vol.1, No.17, pp. 762-774, 2004. 

  25. Funnell, M. M., Brown, T, L., Childs, B. P., Haas, L. B., Hosey, G. M., Jensen, B. et al, National standards for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Diabetes Care, Vol.30, No. 6, pp. 413-427, 2004. 

  26. Norris, S. L., Engelgau, M., & Narayan, K. M. V, Effectiveness of self-management trainig in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Vol.24, No.3, pp.561-587, 2001. 

  27. Stratton, I. M., Adler, A. I., Neil, H. A.W., Matthews, D. R., Manley, S. E., Cull, C., et al, The effectiveness of web-based vs non-web-based interventions: A meta-analysis of behavioral change outcome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6, No.6, e40, 2004. 

  28. Isoma, B., Almgren, P., Tuomi, T., Forsen, B., Lahti, K., Nissen, M., et al.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Care, Vol.29, No.3, pp. 155-165, 2001. 

  29. K. S. Paek, The Effects of a Diabetic Education Program on Self-care Behavior and Glucose Metabolism in Type 2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Vol. 12, No. 2 , pp. 390-395, 2001. 

  30. J. S. Yoo, E. J . Kim, & S. J. Lee, The Effects of a Comprehensive Life Style Modification Program on Glycemic Control and Stress Response in Type 2 Diabet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Vol. 36, No. 5, pp. 751-760, 2006. 

  31. Bandura, A, Self -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 84, No. 2, pp. 191-215, 1977. 

  32. Brown, S., & Hedges, L. V. Predicting metabolic control in diabetes; A pilot study using meta-analysis to estimate a linear model, Nursing Research, Vol. 43, No. 6, pp. 362-368, 1994. 

  33. H. J. Lee, K. Y, Park, H.S. Park, & I. J. Kim,The Effects of Programs Solving Nursing Counseling and Intensified Walking Exercise on Diabetes Self-care, Coping Strategies, and Glycemic Control among Clients with DM Type II,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Vol. 35, No. 7, pp. 1314-1324, 2005. 

  34. C. G. Kim, & C. H. Chung, Effects of Telephone Consulting Program on Self-efficacy and Self-care in NIDDM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14, No. 2, pp. 306-314. 2002. 

  35. E. Y. Kim,& A. Y. So, The Effects of a Community-Based Self-Help Management Program for Patient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Vol. 20, No. 3 , pp. 307-315, 2009. 

  36. M. O. Gu, Structural model for self care behavior and metabolic control in diabetic pati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2. 

  37. E. S. Baek, & H. J. Park, Effets of a Case Management Program on Self-efficacy, Depression and Anxiety in Pregnant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Korean J Women Health Nurs, Vol. 19, No. 2, pp.88-98. 

  38. H. S. Kim, & S. Kim, Effects of an Integrated Self-Management Program on Self-Management, Glycemic Control, and Maternal Identity i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Vol. 43, No. 1, pp. 69-80,2013 

  39. Hosoya T, Matsushima M, NuKariya K, Utsunomiya 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and diabetes-related emotional distres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nern Med, Vol. 50, pp. 263-269,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