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거 중심의 헬스 리터러시 증진 방안: 학술지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Evidence-based health literacy improvements: trends on health literacy studies in Korea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2 no.4, 2015년, pp.93 - 108  

강수진 (대구대학교 간호학과) ,  이미숙 (대구대학교 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health literacy research and to explore the directions of improvement health literacy in Korea. Methods: A review of literature was conducted via an electronic database and citation tracking reference. A total of 173 ar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용어에 대한 혼란을 피하고 편견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헬스 리터러시’라는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진행된 헬스 리터러시 연구의 측정 도구와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정보이해능력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본 후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증진 방안에 대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 목표를 설정하였다.
  • 즉, 헬스 리터러시를 측정한 연구들이 대표성이 있는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구성 개념이나 평가 기준을 충분히 검증하지 않은 상태에서 외국의 도구를 번역하고, 평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 대상 논문에서 헬스 리터러시의 취약 집단을 선별하는 기준을 제시한 연구는 Newest Vital Sign을 한국어로 번역한 Kim(2012)의 연구와 REALM을 기반으로 개발한 KHLAT에 국한되어 있다. 두 도구는 원 도구에서 제시한 점수 기준을 그대로 연구 결과에 적용하였으나, 최근에는 KHLAT 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점수 기준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 본 연구 대상 논문의 결과를 요약하기 위하여 헬스 리터러시를 종속 변수로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확인하거나, 헬스 리터러시와 종속 변수와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연구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헬스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는 교육 수준, 연령, 성별, 수입, 만성질환의 보유 수, 동거 가족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본 연구는 국내 거주자를 대상으로 수행된 헬스 리터러시 연구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국내 거주자를 대상으로 수행된 헬스 리터러시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 본 연구는 국내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헬스 리터러시 연구 실태와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외 건강관련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수행한 국내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살펴보면 한국에서의 헬스 리터러시 수준은 외국 선진 사회에 비하면 높은 편이지만 연령에 따라 세대 간, 국적에 따라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는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용어에 대한 혼란을 피하고 편견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헬스 리터러시’라는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Son과 Lee(2012)는 저소득 심부전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활용능력 강화 프로그램을 통해 자가간호 수행 능력의 향상을 6개월간 평가한 실험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건강정보활용능력 강화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하여 매체를 중심으로 한 건강정보활용 강화전략, 의사소통강화 전략, 행동변화촉진을 위한 동기화 전략으로 구성하였다고 기술하였다. 그러나 연구자가 기술한 건강정보활용능력 향상 전략이 매체 개발이나 의사소통 전략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지 않아 후속 연구자에게 자세한 지침을 제시해주지는 못하고 있다.
  • 요약한 자료는 짝을 이룬 3인이 다시 검토 분석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합의를 통해 자료를 추출하였고, 최종적으로 연구자 2인이 추출된 자료를 기초로 결과와 내용을 합성하였다.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연구에 활용한 헬스 리터러시 측정 도구의 특성과 관련 변수, 헬스리터러시의 수준을 확인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헬스 리터러시 연구 실태와 동향을 파악한 결과 어떤 문제점을 확인하였는가? 본 연구는 국내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헬스 리터러시 연구 실태와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외 건강관련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수행한 국내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살펴보면 한국에서의 헬스 리터러시 수준은 외국 선진 사회에 비하면 높은 편이지만 연령에 따라 세대 간, 국적에 따라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는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인의 헬스 리터러시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공교육을 중심으로 한 보건교육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개인의 헬스 리터러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우선적이다.
헬스 리터러시란? 측정 도구의 개발과 함께 헬스 리터러시 연구에 대한 양적 팽창으로 ‘health literacy’는 2010년 MeSH 용어로 등재되었고, 독립적인 연구 주제로 자리 잡게 되었다. 헬스 리터러시는 “개인이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때 적절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건강관련 정보를 얻고, 생각하고, 이해하는 능력 (Institute of Medicine〔IOM〕, 2004)”으로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읽고 이해하기 어려운 취약 집단을 규명하는 데에 관심이 있었다. 초기 헬스 리터러시를 측정하기 위한 REALM이나 TOFHLA와 같은 도구들은 건강문제와 관련된 기초적인 문해력을 측정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헬스 리터러시라는 용어는 언제 누구에 의해 소개되었는가? 헬스 리터러시라는 용어는 1974년 Simonds에 의하여 건강 보건분야에 처음 소개되었으나 크게 주목을 받지는 못하였다. 1991년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 〔REALM〕(Davi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3)

  1.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15). Health literacy universal precautions toolkit (AHRQ No. 15-0023-EF). Retrieved August 1, from http://www.ahrq.gov. 

  2. Arozullah, A. M., Yarnold, P. R., Bennett, C. L., Soltysik, R. C., Wolf, M. S., Ferreira, R. M.,. . . & Davis, T. (200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hort-form,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 Med Care, 45(11), 1026-33. 

  3. Ahn, E. J., & Kwon, I. S. (2014). Health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rch, 20(4), 322-331. 

  4. An, J. S., Kim, H. R., & Yang, S. J. (2013). Factors related with health literacy in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4(4), 377-387. 

  5. Bang, H. A., & Jun, S. I. (2012). A study of risk perception and health literacy on the food-related materials and issues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8(2), 99-108. 

  6. Bass, P. F., Wilson, J. F., & Griffith, C. H. (2003). A shortened instrument for literacy screening.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8(2), 1036-1038. 

  7. Berkman, N. D., Sheridan, S. L., Donahue, K. E., Halpern, D. J., & Crotty, K. (2011). Low health literacy and health outcomes: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nual Internal Medicine, 155(2), 97-107 

  8. Chew, L. D., Bradley, K. A., & Boyko, E. J. (2004). Brief questions to identify patients with inadequate health literacy. Family Medicine, 36(8). 588-594. 

  9. Choi, K. H., & Lee, J. O. (2013). Evaluation on validity of health literacy measurement scale. Journal of the korean Data, 24(2), 257-265. 

  10.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2008). Closing the gap in a generation: health equity through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Final report of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1. Davis, T. C., Long, S. W., Jackson, R. H., Mayeaux, R. G., Murphy, P. W., & Crouch, M. A. (1993).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 a shortened screening instrument. Fam Med 25, 391-395. 

  12. Dewalt, D. A., Berkman, N. D., Sheridan, S., Lohr, K. N., & Pignone, M. P. (2004). Literacy and health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9(12), 1228-1239. 

  13. Dewalt, D. A., Broucksou, K. A., Hawk, V., Brach, C., Hink, A., & Callahan, L. (2011). Developing and testing the health literacy universal precautions toolkit, Nursing outlook, 59(2). 85-94. 

  14. Haun, J. N., Valerio, M. A., McCormack, L. A., Sorensen, K., & Paasche-Orlow, M. K. (2014). Health literacy measurement: an inventory and descriptive summary of 51 instruments,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9(2), 302-303. 

  15. Ishikawa, H., Takeuchi, T., & Yano, E. (2008). Measuring functional, communicative, and critical health literacy among diabetic patients, Diabetes Care, Diabetes Care, 31(5). 874-879. 

  16. Hong, I. H., & Eun, Y. (2012). Health literacy of inpatients at general hospital.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5), 477-488. 

  17. Hong, K. J., Ju, Y. K., Jun, S. I., Yoon, H. J., & You, M. S. (2012).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using public institution's health message for measuring health literacy.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9(3), 53-61. 

  18. Institute of Medicine. (2004). Health Literacy: a prescription to end confusion.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19. Institute of Medicine. (2009). Measures of health literacy: health literacy annual conference workshop summary. Retrieved from http://www.nap.edu./catalog/12690 

  20. Jeong, J. H., & Kim, J. S. (2014). Health literacy, health risk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 of elders.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5(1), 65-73. 

  21. Jeong, J. Y., Park, N. H., & Shin, S. Y. (2014). The influence of health literacy and diabetes knowledge on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in Korean low-income elders with diabetes.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5(3), 217-224. 

  22. Jordan, J. E., Buchbinder, R., Briggs, A. M., Elsworth, G. R., Busija, L., Batterham, R., & Osborne, R. H. (2013). The health literacy management scale (HeLMS): a measure of an individual's capacity to seek, understand and use health information within the healthcare setting, Patient Education & Counseling, 91(2). 228-235. 

  23. Kang, S. J. (2011). Development of the Korean health literacy instrument for adults. Unpublished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of Nursing, Seoul. 

  24. Kang, S. J., Lee, T. W., Kim, G. S., & Lee, J. H. (2012). The levels of health literacy and related factors among middle-aged adults in Seoul,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9(3), 75-89. 

  25. Kang, S. J., Lee, T. W., Paasche-Orlow, M. K., Kim, G. S., & Won, H. K. (2014).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Korean health literacy instrument.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9(2), 254-266. 

  26. Kim. J. E. (2011). Measuring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and influence factors: targeting the visitors of a university hospital's outpatient clinic.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1), 27-34. 

  27. Kim, M. S., & Jeong, I. S. (2012). Health literacy level and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Korea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7(2), 78-86. 

  28. Kim, M. T., Song, H. J., Han, H. R., Song, Y., Nam, S., Nguyen, T. H., . . . & Kim, K. B.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high blood pressure-focused health literacy scale. Patientient Educcation Counselling, 87(2), 165-170. 

  29. Kim, N. S., & Lee, K. E. (2014). Factors affecting cancer preventive behavior in middle-aged people.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1(1), 29-38. 

  30. Kim, S. E., Oh, J. A., & Lee, Y. M. (2013). Health literacy: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558-570. 

  31. Kim, S. H. (2009). Health literacy and functional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8(16), 2337-2343. 

  32. Kim, S. H. (2010). Older adults' self-reporte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nd utilizing health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y Society, 30(4), 1281-1292. 

  33. Kim, S. H., & Lee, E. J. (2008). The Influence of functional literacy on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2), 195-203. 

  34. Kim, S. H., & Yu, X. (2010).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iteracy and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a short report. Aging & Mental Health, 14(7), 870-873. 

  35. Kim, S. S., Kim, S. H., & Lee, S. Y. (2005). Health literacy: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2(4), 215-227. 

  36. Kim, Y. J., & Lee, G. E. (2014). Evaluation of readability of health leaflets and health literacy of elderly inpatients in a medical center. Journal of Korean Gerontol Nursing, 16(1), 9-17. 

  37. Kim, Y. S., Park, B. H., & Lee, H. Y. (2014). A study on predicting health literacy of Korean elderly using andersen's health behavior model.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alfare, 65, 35-57. 

  38. Kwon, M. S., Noh, G. H., & Jang, J. H. (2013).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literacy,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compliance to medical recommendations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1), 190-202. 

  39. Lee, H. J., & Choi, K. H. (2012). A comparative empirical study on health literacy. 국어문학, 53, 57-74. 

  40. Lee, J. M., & Lee, E. J. (2013). Factors influencing level of health literacy of migrant worker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3), 269-277. 

  41. Lee, S. A., & Part, M. H. (2010).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literacy, drug knowledge, and drug misuse of rural elderly.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2), 485-497. 

  42. Lee, S. H., Chang, K. H., Han, H. S., Park, B. K., & Kim, S. S. (2012). The relationship of health literacy of female married migrants in Busan with their attitudes toward health. PNU Journals of Women's Studies, 22(1), 165-200. 

  43. Lee, S. H., Choi, E. H. R., Je, M. J., Han, H. S., Park, B. K., & Kim, S. S. (2011). Comparison of two versions of KHLAT for improvement strategies.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3), 57-65. 

  44. Lee, T. W., & Kang, S. J. (2008). Health literacy in the Korean elderly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4), 847-863. 

  45. Lee, T. W., & Kang, S. J. (2013). Development of the short form of the Korean health literacy scale for the elderl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36(5), 524-534. 

  46. Lee, T. W., Kang, S. J., Kim, H. H., Woo, S. R., & Kim, S. H. (2011). Suitability and readability of printed educational materials on hypertens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ursing, 41, 333-343. 

  47. Lee, T. W., Kang, S. J., Lee, H. J., & Hyun, S. I. (2009). Testing health literacy skills in older Korean adults. Patient Education & Counseling, 75(3), 302-307. 

  48. Lee, T. W., Lee, S. H., Kim, H. H., & Kang, S. J. (2012).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health outcomes for cardiovascular disease patients with low health literacy skills: a systematic review. Asian Nursing Research, 6(4), 128-36. 

  49. Lee, Y. M., Son, Y. J., & Lee, E. J. (2012). Health literacy, disease-related knowledge,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6), 3087-3101. 

  50. Lee, Y. T., Yoon, T. Y., & Kim, S. H. (2012). Functional health literacy and understanding of explana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patients.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32, 145-171. 

  51. McCormack, L., Haun, J., Sorensen, K., & Valerio, M. (2013). Recommendations for advancing health literacy measurement.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8(1), 9-14. 

  5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09). National Health Statistics -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53.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8). Literacy in Korea (No. 2008-1-57). Seoul: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54. Norman, C. D., & Skinner, H. A. (2006). eHEALS: The eHelath Literacy Scale,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8(4). e27. 

  55. Nutbeam, D. (2008). The evolving concept of health literacy. Social science & medicine, 67(12), 2072-2078. 

  56. Park, H. J., & Hwang, S. K. (2014). Linguistic and functional health literacy among community-dwelling old adults. Global Health & Nursing, 4(2), 49-58. 

  57. Park, J. Y., & June, K. J. (2011). Influencing factors on functional health literacy among the rural elderly.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2(1), 75-85. 

  58. Parker, R. M., Baker, D. W., & Williams, M. V. (1995). The test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adults: a new instrument for measuring patients' literacy skill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0(10). 537-541. 

  59. Schillinger, D., Piette, J., Grumbach, K., Wang, F., Wilson, C., Daher, C., Leong-Grotz, K., . . . Bindman, AB. (2003). Closing the loop: physician communication with diabetic patients who have low health literacy. Achieves of Internal Medicine, 13(1), 83-90. 

  60. Simonds, S. K. (1974). Health education as social policy. Health Education. 2, 1-25. 

  61. Son, Y. J., Kim, S. D., Jang, H. J., Yun, Y. R., Kim, H. M., & Kim, S. H. (2012). Factors influencing health literacy in community-dwelling adults. Korean J Health Promot, 12(2), 100-108. 

  62. Son, Y. J., & Lee, Y. M. (2012). Development and effects of health literacy enhancement program to improve self care adherence in low-income elderly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1), 215-230. 

  63. Son, Y. J., & Song, E. K. (2012). Impact of health literacy on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adherence to self-car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1), 6-15. 

  64. Sorensen, K., Van den Broucke, S., Fullam, J., Doyle, G., Pelikan, J., & Brand, H. (2012). Health literacy and public health: a systematic review and integration of definitions and models. BMC Public Health, 12, 80. 

  65. U.S.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2006). The health literacy of America's adults: Result from the 2003 national assessment of adult literacy. 

  66. Wang, J., Schmid, M. R., & Thombs, B. D. (2012). The Swiss health literacy survey: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a multidimensional instrument to assess compe tencies for health. Health Expect, 17(3), 396-417. 

  67. Weiss, B. D., Mays, M. Z., Martz, W., Castro, K. M., DeWalt, D. A., & Hale, F. A. (2005). Quick assessment of literacy in primary care: the newest vital sign. Annals of family medicine, 3(6), 514-522. 

  68. Weiss, B. D. (2007). Health literacy and patient safety: Help patients understand-Manual for clinicians. Chicago, IL :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69. White, S., Chen, J., & Atchison, R. (2008). Relationship of preventive health practices and health literacy: a national study.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32(3), 227-242. 

  70. Williams, M. V., Baker, D. W., Parker, R. M., & Nurss, J. R. (1998). Relationship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to patients' knowledge of their chronic disease. Archieves of Internal Medicine, 158(2), 166-172. 

  71. Won, A. L., Yoo, S. H., & You, M. S. (2014). Factors related to perceived health statu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1(3), 1-13. 

  72. Yang, J. R. (2014). The effect of health literacy and self-efficacy on medication adherence among the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Nursing Science, 26(1), 29-38. 

  73. Yang, S. J., Chee, Y. K., An, J. S., Park, M. H., & Jung, S. O. (2014). Health literacy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Korean-Chinese and other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8(2), 211-2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