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자녀 기질 적합성과 자녀의 문제행동간의 관련성 연구
Studies on Relations between Goodness of Fit in Mother-children Temperament Interaction and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27 no.2, 2013년, pp.11 - 19  

하현이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양생기능의학부) ,  정해리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양생기능의학부) ,  이수진 (경일대학교 간호보건대학 심리치료학과) ,  채한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양생기능의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goodness of fit in mother-child temperamental interaction (MCTI) and the child problem behaviors. Methods The behavior problem of 180 child outpatients from traditional Korean medical clinic was measured with Korean version of 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한의원 내원 환아의 신체적인 증상이면에 숨어 있는 정신병리적 특성2)의 발생 원인을 생리심리적인 기질20)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환아의 임상치료에 있어서 어머니와 아동의 기질이 지니는 중요성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양육 및 치료 과정에서의 적절한 개입을 통해 건강한 심신상태로 회복하기 위한 한의학적 임상술기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환아 및 보호자에 대한 사회 인구학적 분석과 함께 모아기질 상호작용에 따른 아동의 문제행동을 분석하기 위한 통계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사회 인구학적 분석에는, 환아의 성별에 따른 환아의 연령, 환아 어머니의 연령 및 교육수준에 대한 빈도분석 및 F-검증을 시행하였다.
  • 을 설명하고자 하였는데, 이는 상호작용이라는 방향성을 설명함에 있어 절댓값을 사용함으로써 내재된 정보를 인위적으로 배제하였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적 기질18) 및 기질과 문제행동간의 상관성19,20), 그리고 유아의 문제행동에서의 기질의 역할19) 등을 분석함에 있어 유용하다고 보고된 기질 및 성격 검사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를 사용하여 기질을 측정하고, CBCL로 측정된 환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환아 및 어머니의 기질, 모아기질 상호작용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에서의 적응 및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유아기에서의 적응 및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3,4)으로서, 선천적 측면에서의 기질 (氣質), 신경심리학적 요인, 지능 등과 함께 환경적 측면에서의 부모의 특성, 또래 관계 등이 제시되어 왔다. 여기서의 기질(temperament)이란 자극에 대해 자동적으로 반응하는 정서적 성향5,6)으로, 한의학에서의 천성 (天性)과 같은 유전적 경향성7)을 지닌 개인적 특성이며, 평생에 걸친 발달 과정과 심리적 적응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위험군 아동이 유아 행동평가 척도상 일반아동에 비해 1.5배~3배 정도 높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 5~3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체적 이유로 한의원에 내원한 환아들이 신체적인 문제와 함께 정신건강 역시 취약한 상태이며, 다양한 문제행동으로 악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는 것이라 하겠다.
유아기의 문제행동은 무엇인가? 유아기의 문제행동은 사회화 과정에 있어서 심리적, 신체적으로 나타나는 적응상의 문제로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소멸되거나 또는 유지되거나 다른 질병으로 발전1)하기도 한다. 이 시기의 정서적 또는 행동적 문제 행동들은 청소년기와 성인기의 문제로 이환되어 사회문제로 확대될 가능성도 지니고 있으므로, 유아기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과 적절한 중재는 소아과에 있어 큰 의미를 지닌다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Mesman J, Koot H. Early preschool predictors of preadolescent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DSM-IV diagnosi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1;40:1029-36. 

  2. Lee SJ, Byun SI, Kim KS, Kim HJ, Yang YJ, Gang KR, Kim MG, Choi H, Chae H.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fant Outpatients and their Parents in Korean Traditional Clinic. J Korean Orient Med. 2009;30(5):88-101. 

  3. Kazdin AE, Kraerner HC, Kessler RC, Kupfer DJ, & Offord DK. Contributions of risk-factor research to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Clin psychol Rev. 1997;17: 375-406. 

  4. Masten AS, Coatsworth JD. The development of copetence in favorable and unfavorable environments. Lessons from research on successful children. The American psychologist. 1998;53:205-20. 

  5. Carver CS, Scheier MF. Perspectives on Personality. Seoul: Hakjisa. 2005:202-4. 

  6. Gillespie NA, Cloninger C. R, Heath AC, Martin NG. The genetic and environmental relationship between Cloninger's dimensions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Personal Individ Differ. 2003;35:1931-46. 

  7. Cloninger CR. A systematic method of clinical description and classification of personality variants. Arch Gen Psychiatry. 1987;44:573-88. 

  8. Yun MY. The Effect of Child's Personality and Parental Attitudes on Life habits. Sowon University. MA thesis. 2012. 

  9. Yu G, Kim LK. Associations between Mother and Child Temperament and Parenting Attitude. J Korean Orient Pediatr. 2012;26(4):38-43. 

  10. Rubin KH, Burgess KB & Dwyer KM. Predicting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s from toddler temperament, conflict, and maternal Negativity. Dev Psychol. 2003;39(1):164-76. 

  11. Kang JH, Oh KJ. Effects of Temperament on Predicting Development Tragectories of Early Chidhood Externalizing Problem;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with Applied Latent Growth Mixture Modeling. J Clin Psychol. 2010;29(3):875-94. 

  12. Rettew DC, Stranger C, Mckee L, Doyle A & Hudziak JJ. Interaction between child and parent temperament and child behavior problems. Compr Psychiat. 2006;47: 412-20. 

  13. Her MK, Lee S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Mothers' Temperament and Goodness-of-Fit on Young Children's Social Ability. J Korean Assoc Early Child Educ. 2010;15(3):353-73. 

  14. Windle M, Lerner RM. Reassessing the dimension of temperamental indibiduality across the life span: The revised Dimensions of Temperament Survey(DOTS-R). J Adoles Res. 1986;1(2):213-30. 

  15. Buss AH, & Plomin R.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Hillside, N. 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1984. 

  16. Suh JH, Yi SH. The effect of child's temperament, mother's parenting style and goodness of fit on young. Korean children's intelligence. 2009;29(4):47-71. 

  17. Jung HM, Ahn MS. Relationship between Goodness-of-Fit for Mother-Preschool Child and Parenting Stress in Mother. J Korean Acad Nurs. 2009;39(1):53-61. 

  18. Park SH, Kim MG, Lee SJ, Kim JY, Chae H. Temperament and character profiles of sasang typology in an adult clinical sample.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1;794-5. 

  19. Lee JY. T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mother's temperaments and child's behavioral problems. J Clin Psychol. 2012;31(3): 801-22. 

  20. Lee SJ, Sim YM, Kim HJ, Kim HJ, Kim MG, Kim KS, Chae H. Analysis of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Problem Behaviors of Sasang Types in a Child Clinical Sample. J Pediatr Korean Med. 2013;27(1): 7-14. 

  21. Goth K, Cloninger CR, Schmeck K. Das Junior Temperament and Charakter Inventar for das Kindergartenalter- JTCI/3-6. Klinik fur Psychhiatrie und Psychotherapie des Kindes- und Jugendalters der der J. W. Goethe-Universitat Frankfurt. 2003. 

  22. Goth K, Cloninger CR, Schmeck K. Das Temperament and Charakter Inventar Kurzversion fur Erwachsene-TCI R Kurz. Klinik fur Psychhiatrie und Psychotherapie des Kindesund Jugendalters der der J. W. Goethe-Universitat Frankfurt. 2003. 

  23. Min BB, Oh HS, Lee JY.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Seoul: Maumsarang; 2007. 

  24. Min BB, Oh HS, Lee JY.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revised-short. Seoul: Maumsarang; 2007. 

  25. Oh KJ, Kim YA.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1.5-5(CBCL1.5-5). Seoul: Huno consulting, Inc. 2008. 

  26. Ruchikin VV, Eisemann M, Cloninger CR. Behaviour/emotional problems in male juvenile delinquents and controls in Russia: the role of personality traits.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998;98:231-6. 

  27. Luby JL, Svrakic DM, McCallum K, Przyceck TR, CloningerCR, The Junior Temperament and Chatacter Inventory: Preliminary validation of a child self-report measure, Psycholofical Report, 1999;84:1127-38. 

  28. Schmeck K & poustka F, Temperament and disruptive vehavior disorders Psychopathology. 2001;34:159-63. 

  29. Lee JM. Dong-Yi-Soo-Se-Bo-Won. Seoul: Je-Ma Lee. 1894. 

  30. Hwang MW. Lee SK, Kho BH, Song IB. A Study on Inclination of Mind and Nature & Emotion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J of Sasang Const Med. 2004;16(2):17-31. 

  31. Lee SJ, Park SH, Chae H. Temperament profiles of Sasang typology in a child clinical sample. Integrat Med Res. 2012;1(1):21-5. 

  32. Chae H, Park SH, Lee SJ, Kim MG, Wedding D, Kwon YK. Psychological profile of Sasang typology: A systematic review. eCAM. 2009;6(S1):21-9. 

  33. Zhang JB. Jingyuequanshu(Xia). Shanghai:Shang Hai Ke Xue Ji Shu Publishing Co. 1954:701. 

  34. Koo BS. 小兒 精神에 대한 小考. J Korean Orient Pediatr. 1995;9(1):163-83. 

  35. Ahn MS. Effect of a Matern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Temperament Theory on the Temperamental Goodness-of-Fit between Mother and Child. J Korean Acad Nurs. 2005;35(6):1044-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