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공공도서관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for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6 no.3, 2015년, pp.177 - 206  

윤아란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리상용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중 미술 분야의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의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에 관한 문헌연구, 국외 공공도서관에서 수행하는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 사례조사, 국내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 담당자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내용을 토대로 국내 공공도서관의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 운영 개선을 위한 지침을 운영 요소와 내용 요소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공공도서관에서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mprove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led by public libraries. Thus, after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about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and investigating art-related cultural programs of foreign public library cases,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on ma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이 공공도서관에서 갖는 의의는 무엇인가? 첫째, 지역사회의 문화예술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용자는 미술 창작 방법과 활동에 대해 배우고 새로운 재료를 탐구해봄으로 인해 미적기회에 대해 평등하게 접근할 수 있고(Barniskis 2013), 경제적인 이유로 예술 경험에 관한 기회가 제한된 지역의 청소년에게 창의적인 표현 방식과 다른 예술 분야 및 사람들에 대해 배울 수 있게 한다(Benway 2010). 또한, 지역의 아티스트에게 미술 작품을 의뢰하여 도서관에 설치하거나 전시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이용자에게 시각적인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지역의 아티스트를 소개하고 지원함으로 인해서 도서관이 지역사회에 영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Barniskis 2013). 둘째, 지역주민들의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청소년의 경우,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 인해 공감과 소속감, 사회관계, 사회적 참여, 창의성, 경청, 가치, 다른 인지적 정서의 변화 등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청소년들이 즐겁고 안전한 방법으로 감정을 표현하고 시야를 넓히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Barniskis 2012). 또한 어르신들의 경우에도 미술을 통해 대화하고 서로 이야기를 공유함으로 인해 만성적인 고립이나 소극적인 생활을 타파하고 상호간에 새로운 관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동년배들의 작품을 통해 삶의 격려와 영감을 얻을 수 있게 한다(McDonough 2013). 이는 이용자 간에 서로 교류하고 협동하여 소통하게 만들고 다문화 사회에서 서로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게 하여 지역주민의 삶을 변화하게 만든다(Knuth 2002; Benway 2010). 셋째, 지역사회 내에서 도서관의 인식과 영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은 서가나 컴퓨터, 인터넷 자원 등을 넘어서는 강력한 영감을 줌으로써 사람들을 이끄는 지원 방식이 될 수 있으며(Watkins 2011), 도서관에서 주최하는 미술 관련 평생학습과 미술 대회, 전시 등에 참여한 이들을 통해 지역사회에 도서관을 인식시키고, 지역주민들과의 관계를 구축하여 유대를 강화해 나갈 수 있다(Benway 2010; Barniskis 2013; McDonough 2013).
오늘날의 미술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오늘날의 미술은 미적 기술의 줄인 말로, 인간이 조형 의지를 가지고 자신의 내면 감정, 지능, 느낌 등의 표현주제를 시간적·공간적·조형적인 표현방법을 통하여 가시적으로 만들어내는 제작 활동과 이를 이해하고 즐기며 감상하는 향수활동을 의미한다(차지언 2005; 이화식 2007).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이란 무엇인가? 전통적인 개념에서 미술은 아름다움을 다루는 기술이라는 제한적인 틀에서 단순히 그리기와 만들기를 의미했지만, 현대적인 개념에서의 미술은 의사소통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점차 변화하고 확장되고 있다. 그러므로 미술 관련 문화프로그램이란 지역 주민이 자신의 생각을 아름답게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소통하거나 그에 관한 미적 감각을 향유하는 조형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감미아. 2013.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기관의 문화프로그램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Kam, Miah. 2013. A Comparative Study of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and Other Institutions. M.A. thesis,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Dep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공공도서관 주소록 [online]. [cited 2014.9.12].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2009. Public Library Address book. [cited 2014.9.12]. .) 

  3. 김홍렬. 2004. 지역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문화 및 교육적 기능 확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4): 339-360.(Kim, Hong Ryul. 2004. "A Study on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Function of Public Libraries for Regional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5(4): 339-360.) 

  4. 도현주. 2008. 문화프로그램 이용자의 만족도 및 충성도 분석.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Do, Hyeon-Ju. 2008. An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 Loyalty of Cultural Programs. M.A. thesis, Keim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Dep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정 2005. 12. 29. 법률 제7774호].(Suppor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Act. Enactment 2005. 12. 29. Act No. 7774.) 

  6. 문화체육관광부. 2008.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운영매뉴얼. 서울: 계문사.(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08. Library Cultural Programs Manual.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Library Policy Bureau.) 

  7. 박인숙. 2003. 공공도서관의 기능확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Park, In Sug. 2003. A Study on the Function Expansion of the Public Library. M.A. thesis, Chongju University, Dep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8. 윤유라, 이은주. 2014. 도서관문화프로그램에 대한 예비사서의 인식과 참여 실태 연구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2): 311-337.(Youn, You-Ra and Eun-Ju Lee. 2014. "A Study on Participation and Awareness for Library Cultural Program of LIS Student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2): 311-337.) 

  9. 이경민. 2003. 공공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및 독서활동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4): 127-151.(Lee, Kyung-Min. 2003.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Public Libraries Culture Program and Reading Activi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4(4): 127-151.) 

  10. 이소연. 2004.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문화 서비스 활성화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3): 23-43.(Lee, Soyeon. 2004. "Strategies for Improving Cultural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8(3): 23-43.) 

  11. 이정미. 2014.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 유형 분석 및 향후 전망에 대한 고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1): 131-152.(Lee, Jeong-Mee. 2014. "A Study on Analyzing and Prospecting for the Future of the Public Libraries' Cultural Program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1): 131-152.) 

  12. 이혜윤. 2013. 공공도서관 교육문화프로그램 참여와 도서관 이용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Lee, Hye Yun. 2013.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on of Public Libraries'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s and the Library Uses. M.A. thesis,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Dep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3. 이화식. 2007. 미술이론. 서울: 교육과 미래.(Lee, Hwa Sik. 2007. Art Theory. Seoul: Education & Future.) 

  14. 조찬식, 노승희. 2000.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지역간 균형 발전에 관한 연구. 도서관, 55(3): [online]. [cited 2014.10.23]. .(Cho, Chan-sik and Seung-hee Roh. 2000. "A Study on the Cultural Program of Public Libraries for th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Doseogwan, 55(3) [online]. [cited 2014.10.23]. .) 

  15. 차지언. 2005. 우리나라와 프랑스 미술교육의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Cha, Ji Earn. 2005. Comparitive Study for difference of Art Education between Korea and French.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onggi University, Dept. of Arts Education.) 

  16. 최경진. 2010. 도서관 자원을 기반으로 한 문화예술교육 강화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예술경영학과.(Choi, Kyung-Jin. 2010. A Study on the Culture & Arts Education Reinforcement Plan based on Library Resource.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Culture and Art Dongguk University, Major of Performing Arts Management.) 

  17. 한국교육개발원. 2007.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 자료집.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통계자료 SM 2007-6.(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7. Classific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Seoul: KEDI. Statistics Data SM 2007-6.) 

  18.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 2012 문화향수실태조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2012. Survey Report on Cultural Enjoyment.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9.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2012 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실태조사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구보고서.(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2013. 2012 Surve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In Cultural Infrastructures. Seoul: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Research Paper.) 

  20. 황금숙. 2008a. 도서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하계학술발표회, 2008년. 서울: 한국도서관.정보학회.(Hoang, Gum-Sook. 2008a. "A Study on Developing Patterns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in Libraries."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08 Proceedings of the Summer International Conference, Seoul: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1. 황금숙. 2008b. 도서관에서의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3): 73-94.(Hoang, Gum-Sook. 2008b. "A Study on Developing Patterns for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in Libraries."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3): 73-94.) 

  22. 황금숙, 김수경, 박미영. 2008.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현황 분석과 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219-244.(Hoang, Gum-Sook., Soo-Kyoung Kim, and Mi-Young Park. 2008. "A Study 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1): 219-244.) 

  23. Barniskis, S. C. 2012. "Graffiti, Poetry, Dance: How Public Library Art Programs Affect Teens." Journal of Research on Libraries and Young Adults, 2(3) [online]. [cited 2014.10.9]. . 

  24. Barniskis, S. C. 2013. "Teaching Art to Teens in Public Libraries." Teaching Artist Journal, 11(2): 81-96. 

  25. Benway, N. D. 2010. "Fine Art Programs, Teens, and Libraries: Changing Lives One Program at a Time." Young Adult Library Services, 9(1): 28-30. 

  26. Chicago Public Library [online]. [cited 2015.6.15]. . 

  27. Contra Costa County Library [online]. [cited 2015.6.5]. . 

  28. Cumberland County Public Library [online]. [cited 2015.6.8]. , . 

  29. Institute of Museum and Library Services [online]. [cited 2014.9.20]. . 

  30. Knuth, A. 2002. "Drawing Connections. A Librarian-Teacher Partnership Teaches Tolerance Through Art." School Library Journal, 48(2): 50-53. 

  31. McDonough, S. K. 2013. "Lifetime Arts." Public Libraries, 52(3): 29-35. 

  32. Octavia Fellin Public Library [online]. [cited 2015.6.16]. . 

  33. Robertson, D. A. 2005. Cultural Programming for Libraries linking Libraries, Communities, and Culture.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34. Shaler North Hills Library [online]. [cited 2015.6.10]. . 

  35. Watkins, C. 2011. "Art in Public Places: Chicago's Public Art Program." ILA Reporter, 29(2): 12-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