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9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의 과학사 도입 내용과 과학의 본성 분석
Analysis of the Introduced Contents and the Nature of Science on the History of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39 no.2, 2015년, pp.221 - 238  

박상우 (문장초등학교) ,  정원우 (경북대학교) ,  박경미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의 과학사 도입 내용과 이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요소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우선 2009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 8종을 새롭게 도입된 학년군과 내용 영역에 따라 과학사의 도입 자료와 제시형태를 도출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과학사와 관련된 내용을 박세기, 이기영, 이면우(2011)가 개발한 3차원 조합 분석틀을 이용하여 과학사의 도입 내용을 분석하고, Leite(2002)가 개발하고 최윤희(2005)와 정고은(2013)이 수정한 분석틀을 보완하여 과학의 본성 요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자료는 총 26개로 학년군 및 내용 영역별로 자료의 분포가 고르지 않았다. 둘째, 전체 48개의 3차원 조합 유형 가운데에서 오직 13개 유형만 사용되고 있어 특정 유형에 편중하여 과학사를 도입하고 있었다. 셋째, 과학사 자료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요소가 학년 및 영역별로 고르게 분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과학사를 통해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고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2009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에서의 학년군과 내용 영역을 고려하여 다양한 유형의 과학사 자료를 도입해야 하고, 과학의 본성 요소를 적절히 반영하도록 교과서 도입에 있어 보다 다차원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troduced contents and the nature of science on the history of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the frequency of contents of history of science in 8 kinds of scien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전체에 도입된 과학사 자료를 도출하여 학년군 및 내용 영역별로 과학사 도입 자료와 제시형태를 분석하고 3차원 조합 분석틀을 이용하여 과학사의 도입 내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초등 과학 교과서에 도입된 과학사 자료에 학년군 및 내용 영역별로 과학의 본성 요소가 어느 정도로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과학사를 통해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고 과학적 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개정 교과서가 적절하게 구성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9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의 도입 내용과 이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요소에 대하여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 96의 일치도를 보였다. 모호하거나 의견이 불일치한 부분은 연구자들의 충분한 논의를 거쳐 명확한 분석 기준과 그 합의점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도입에 따라 초등 과학교과서에 도입된 학년군 및 내용영역에 따른 과학사의 도입 빈도, 교과서 제시 형태를 도출하여 과학사의 도입 유형을 심층 분석함으로써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포함된 과학사의 도입 내용을 분석하고, 또한 단순한 과학사 도입 유형 분석을 넘어 교과서에 도입된 과학사 내용이 과학의 본성을 얼마나 반영하고 있으며 어떠한 요소들로 분포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2009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 속 과학사 자료가 초등학생 수준에서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고 과학적 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구성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도입에 따라 초등 과학교과서에 도입된 학년군 및 내용영역에 따른 과학사의 도입 빈도, 교과서 제시 형태를 도출하여 과학사의 도입 유형을 심층 분석함으로써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포함된 과학사의 도입 내용을 분석하고, 또한 단순한 과학사 도입 유형 분석을 넘어 교과서에 도입된 과학사 내용이 과학의 본성을 얼마나 반영하고 있으며 어떠한 요소들로 분포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2009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 속 과학사 자료가 초등학생 수준에서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고 과학적 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구성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적 소양이란?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여 과학 개념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융합적 시각에서 민주화된 과학기술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에게 반드시 요구되는����과학적 소양����에 목표를 두고, 소수의 전문적인 과학자나 기술자를 양성하는 것이 아닌 다수의 미래 일반시민이 갖추어야 할 자질을 지향하며 미래 과학기술 사회가 요구하는 높은 수준의 창의성과 인성을 고루 갖춘 합리적 융합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과학적 소양’이란 학생들이 과학지식과 기술이 형성되고 발전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현실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모든 사회 구성원들이 갖춰야 할 필수적인 이해와 사고방식을 의미한다 (AAAS, 1989). 이 속에는 초․중등학교 과학교육을 통해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가 소수의 전문적인 과학자나 기술자가 아닌 다수의 과학적 소양을 지닌 일반시민을 기르는 ‘모든 이를 위한 과학 (Science for all)’을 지향하고 있음을 말한다.
과거 전통적인 과학수업은 무엇에 치중해 왔는가? 과거 전통적인 과학수업은 과학적 개념의 탐구과정보다는 결과 중심의 과학 개념의 전수에만 치중해 왔다. 하지만 최근 현대사회의 폭발적인 지식과 과학의 발달은 이러한 과학 개념 전수 위주의 과학 교육이 한계에 부딪히게 되었으며,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와 과학 기술 기반의 미래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현재 우리 사회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며 삶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방법 습득으로의 과학교육의 변화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초등학생들의 발달 단계와 흥미를 고려하여 에피소드/일화 유형 자료를 보다 확충할 필요가 있는가? 4%로 제일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선형적 발전(L), 역사적 실험(H), 에피소드/일화(E) 순으로 자료의 빈도를 보였다. 학년군별 비교에서도 발견/고안(D) 유형의 자료는 빈도가 제일 높았으며, 역사적 실험(H) 유형의 자료는 3~4학년 군에서는 제시되지 않고 5~6학년군에만 제시되었다. 학년별로 3~4학년에는 역사적 실험(H) 유형이 제시되지 않았으며, 5학년에서는 에피소드/일화(E) 유형과 선형적 발전(L)유형의 자료가 제시되지 않아 자료의 분포가 고르지 못하고 학년별로 제시유형이 특정 유형에 편중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의 발달 단계와 흥미를 고려하여 에피소드/일화(E) 유형 자료를 보다 확충할 필요가 있는데 특히 5학년에 적합한 에피소드 자료가 없으므로 이를 보충하고, 3~4학년군에도 저학년의 발달과정을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역사적 실험(H) 유형의 자료를 개발하고 도입할 필요가 있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강경희 (2004). 과학사를 활용한 발견적 순환학습 모형과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 강석진, 김영희, 노태희 (2004). 과학사를 이용한 소집단 토론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96-1007. 

  3. 강유미, 신영준 (2011). 과학사를 활용한 수업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학회지, 30(3), 330-339. 

  4.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5. 교육과학기술부 (2011a).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1]에 따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6. 교육과학기술부 (2011b).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9]에 따른 초중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7. 김경임, 이우붕(2010). 화학사적 교수법을 적용한 공명 개념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과학교육연구지, 34(2), 342-358. 

  8. 김경순, 노정아, 서인호, 노태희 (2008). 중학교 과학 '물질의 구성' 단원에서 과학사 소재를 활용한 명시적.반성적 과학의 본성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1), 89-99. 

  9. 김나연 (2014). 과학교육에서 과학사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0. 김미경 (2001). 과학사를 도입한 국내외 과학교육 연구 경향의 비교 및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1. 김선영 (2008). 과학의 본성 교수를 위한 과학사의 활용.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3), 266-274. 

  12. 김지혜 (2011). 한국, 일본, 미국의 초등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내용 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3. 동효관 (2004). 생물 I 교과서와 생물 II교과서에 도입된 과학사 자료의 유형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1), 27-40. 

  14. 박세기, 이기영, 이면우 (2011). 과학교과서의 과학사 자료 분석을 위한 삼원 분석틀 개발 및 적용: 지구과학사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학회지, 32(1), 92-112. 

  15. 박신규, 박영관, 김중욱, 정원우 (2010).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한국과학사 자료의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과학교육연구지, 34(2), 383-395. 

  16. 신하윤, 신동희 (2012). 초.중등 과학 관련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사건 및 과학자 분석. 중등교육연구, 60(3), 665-698. 

  17. 이봉우, 신동희 (2010). 제7차 교육과정 과학교과서의 과학사 관련 내용 분석. 새물리, 60(5), 488-496. 

  18. 이혜정 (2013).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에 제시된 과학사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9. 양승훈, 송진웅, 김인환, 조정일, 정원우 (1996). 과학사와 과학교육. 서울: 민음사. 

  20. 이면우 (2003). 한국과학사 자료를 이용한 과학교육의 가능성. 초등과학교육, 22(2), 211-225. 

  21. 이현선, 유정문 (2004). 과학사 활용 수업이 과학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학교 '물의 순환과 날씨 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5(7), 565-575. 

  22. 전경문, 박현주, 노태희 (2004).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과학의 탐구 단원에 제시된 과학사 내용 분석 : 6차와 7차 교육과정에서 개발된 교과서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825-832. 

  23. 정고은 (2013).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과학 교과서의 과학사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4. 정원우, 이우붕, 문장수, 김선하, 오동원 (2003). 과학사와 과학철학. 경북대학교 출판부. 

  25. 조희형 (1994). 과학-기술-사회와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26. 최경희 (1996). STS교육의 이해와 적용. 교학사. 

  27. 최경희, 김숙진 (2004). 과학 교과서 선정과 평가에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조사와 과학 교과서 평가 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303-313. 

  28. 최윤희 (2005). 제 7차 초.중등 과학교과서의 과학사에 도입된 과학의 본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9. 최준환, 남정희, 고문숙, 고미례 (2009). 과학사를 활용한 과학수업 적용을 통한 중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2), 221-239. 

  30. 최취임, 여상인, 우규환 (2005). 7차 교육과정의 화학 II 교과서에 도입된 과학사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820-827. 

  31.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Washington, D.C: The auther. 

  32. Conant, J. B. (1953). On understanding science: An historical approach. Yale University Press. 

  33. Jenkins, E. (1991). The History of Science in British School: Retrospect and prospect, History, Philosophy, and Science Teaching.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4. Leite, L. (2002). History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hecklist for analysing the historical content of science textbooks. Science and Education, 11(4), 333-359. 

  35. Matthews, M. R. (1994). Science teaching: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Toronto &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6. Meichtry, Y. J. (1992).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Data from a case of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89-407. 

  37.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8.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NSTA) (1971). NSTA position statement on school science education for the 70's, The Science Teacher, 38, 46-51. 

  39. Rutherford, F. J., & Alhlgren, A. (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New York: Dover Publications. 

  40. Rutherford, F. J. (2001). Fostering the history of science in American science education. Science & Education, 19(6), 569-580. 

  41. Seker, H. (2007). Levels of connect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ith pedagogical knowledge of history of science.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history, philosophy, and science teaching conference. Calgary, CANADA. 

  42. Wang, H. A. (1998). Science in historical perspectives: A content analysis the history of science in secondary school physics textbook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