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과학에서 스마트러닝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태양계와 별 단원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mart Learning Teaching-Learning Program in Elementary Science Class - Focused on the unit of Solar System and Star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39 no.3, 2015년, pp.321 - 332  

윤희건 (정왕초등학교) ,  최선영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태양계와 별' 단원에 대한 스마트러닝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 흥미도,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과학 교과 내용 중 '태양계와 별' 단원을 선정하여 설계한 스마트러닝 수업은 스마트기기의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협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공유하여 교사 및 학생 상호 간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러닝 교수 학습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 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스마트러닝 수업에 대한 설문조사와 개별면담 자료를 통해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하였다. 특히 수업의 '참여도'와 '흥미도' 부분에서 만족도가 높았고 스마트기기의 사용으로 수업을 게임처럼 재미있게 생각하는 반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론에 근거하여 다른 단원, 다른 주제에 대한 스마트러닝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의 필요성, 스마트러닝이라는 새로운 수업방식으로 흥미와 태도를 이끌어 내기 보다는 과학에 대한 본질적인 관심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과 같은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termine how developed Smart learning teaching-learning program on the unit of Solar system and Star affected on science-related attitude, science learning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unit of Solar system and Star was selected among 5th grade science curricul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영재학생이 아닌 일반학생 대상으로 초등과학 5학년 ‘태양계와 별’ 단원을 중심으로 스마트러닝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 흥미도, 학업성취도의 변화와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문헌 고찰과 사전 자료조사를 토대로 초등학교 5학년 과학의 ‘태양계와 별’ 단원에 대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스마트러닝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5학년의 ‘태양계와 별’ 단원을 중심으로 개발하여 적용한 후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 흥미도, 학업성취도에서의 향상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과학의 ‘태양계와 별’ 단원을 중심으로 스마트러닝 수업을 적용한 후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 흥미도, 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5학년 과학 교과의 ‘태양계와 별’ 단원을 중심으로 천문학적 공간개념의 이해를 돕기 위해 풍부한 자료를 활용하며 협동, 협업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학생과 교사 간 상호 작용을 활발히 할 수 있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스마트러닝 수업에 적합한 주제와 적용한 내용을 과 같이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네이티브란 무엇인가? 21세기 스마트시대의 새로운 세대를 가리키는 말로 ‘디지털 네이티브’라는 용어가 있다. ‘디지털 네이티브’는 디지털 원어민을 말하는 것으로 디지털 생활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디지털 언어를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새로운 세대를 지칭하는 용어이다(Prensky, 2001). 이 세대를 인스턴트 메신저 세대, 디지털 키드(Kid), 키보드(keyboard) 세대 등으로도 부르는데, 디지털 언어와 장비를 마치 특정 언어의 원어민처럼 자연스럽게 사용한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것이다.
스마트러닝이란 무엇인가? 그래서 첨단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한 최근의 수업환경인 스마트러닝은 지금까지의 교육적 틀을 탈피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교육환경 또는 방법론으로 부각되고 있다. 스마트러닝은 스마트기기, 어플리케이션, 소셜 네트워크를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습객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극대화시키며 사회적 구성주의를 근간으로 실제적이고 맥락적인 자기 주도 학습이 이루어지는 형식적, 비형식적 학습형태라 할 수 있다(노규성 등, 2011). 이러한 스마트러닝은 첨단기술기반, 사회성, 상시성, 적응적ㆍ맞춤형 학습,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신장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임정훈과 김상홍, 2013).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다른 말로 무엇이라 부르는가? ‘디지털 네이티브’는 디지털 원어민을 말하는 것으로 디지털 생활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디지털 언어를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새로운 세대를 지칭하는 용어이다(Prensky, 2001). 이 세대를 인스턴트 메신저 세대, 디지털 키드(Kid), 키보드(keyboard) 세대 등으로도 부르는데, 디지털 언어와 장비를 마치 특정 언어의 원어민처럼 자연스럽게 사용한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일상생활 속에서 급속하게 스마트폰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교육 환경뿐만 아니라 학습자 환경에도 많은 변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강인애, 손정은, 박정영(2012). SNS 및 스마트폰을 활용한 이러닝 교육모형 연구, 서울: 경희사이버대학교 사회연구소. 

  2. 교육과학기술부(2011).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김명남(2005). 과학영재교육원 초등반 학생들의 과학 태도와 탐구 능력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4. 김미용, 배영권(2013). 스마트교육 수업 설계 모형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 467-481. 

  5. 김연진(2013).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 활동이 중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문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6. 김영록, 정미현, 김재현(2013). 스마트 기기의 교육적 이용 실태 및 활용 방안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지, 14(3), 47-55. 

  7. 김은정(2002). 평가 결과에 대한 피드백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8. 김은지(2008). 4학년 학생들의 공간능력과 별자리를 식별하는 수준 간의 관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9. 김효정(2014). 태양계와 지구 단원에 대한 스마트 러닝 수업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0. 김희수, 서창현, 이홍로(2003).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에 관한 검사도구 개발. 한국지구과학회지, 24(6), 508-523. 

  11. 노규성, 주성환, 정진택(2011). 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구현조건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9(2), 79-88. 

  12. 박상우(2011). 과학과 디지털교과서 적용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와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3. 서창현(2002).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 검사지 개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4. 임정훈, 김상홍(2013). 스마트러닝 기반 개별학습 및 협력학습이 학업성취도, 자기주도학습 및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1), 1-24. 

  15. 임청환, 정진우(1993). 국민학교 자연과 천문분야 내용 분석과 문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247-256. 

  16. 장경익(2012). 스마트러닝의 특성이 학습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7. Keller, J.M. (1983). Development and use of the ARCS model of motivational design. 

  18. Prensky, M. (2001).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part 1. On the horizon, 9(5), 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