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지구와 달' 단원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TEAM Teaching-Learning Program in 'Earth & Moon' Unit for Science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37 no.2, 2013년, pp.359 - 373  

정상윤 (서남초등학교) ,  손정주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학교영재를 대상으로 '지구와 달' 단원에 대한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한 후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타당도는 3인의 전문가에 의해 검증되었다. 프로그램은 총 8차시로 구성되고, 8일에 나누어 진행 되었다. 녹음 수업, 수업 관찰 일지 및 기록 인터뷰 전사 데이터를 측정 한 후 효과를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상황 제시'가 아주 중요한 단계임이 확인되었고, 주어진 상황에 대한 이해의 정도는 작업 약속, 과학적 개념 창조적인 디자인과 산출물의 형성에서 영향이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to find out the effect afte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TEAM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science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verified by three experts. The program consists of a total of eight classes and eight day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학개념에 대한 이해가 쉬웠다고 대답한 학생들 중에서 학습지의 활동 기록이 저조한 흔적을 볼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할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한 것과 복합적인 내용에 대해 생각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또한 상당히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기록된 흔적과 교사가 제공한 학습 자료 외 추가적으로 정보를 검색한 흔적들이 발견되었다.
  • 본 연구는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지구와 달’ 단원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어떻게 개발해야하는지에 대한 방법적인 측면과 프로그램을 적용한 학생들의 반응을 현상학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을 위한 ‘지구와 달’ 단원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개발해야하는지에 대한 방법적인 측면과 프로그램을 적용한 학생들의 반응을 현상학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에서도 달의 모습에 대한 개념적 이해에 혼선이 있는(손준호& 김종희, 2010) ‘지구와 달’ 단원을 주제로, 조별활동을 통한 STEAM 교수-학습 방식을 적용하여 창의성의 향상을 위한 초등과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으로(신애경 외, 2011) 개발 적용해보고자 한다.
  • 주요 내용은 지구와 달의 운동에 따른 현상들을 알아보는 것으로 자전과 공전, 하루의 길이, 낮과 밤, 태양의 고도와 표면 온도 등이다. 현재 지구에서 달의 뒷면을 보지 못하는 사실과 달의 하루 길이는 얼마나 될지 등과 관련해서 생각하고 달 이주 및 달 주택 건설 프로젝트를 계획할 때 어떠한 사항을 고려해야할 지 토의․토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STEAM 교육은 어떤 부분에 기초하고 있다고 보이는가? 이와 같이 우리나라 STEAM 교육은 미래 과학기술 사회가 요구하는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 등 다양한 분야의 융합적 지식을 기반으로 학생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흥미·잠재력을 제고하여 창의성, 직관력, 감성과 예술적 감각의 신장을 포함하는 총체적인 접근에 기초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TEAM 교육이란 어떻게 정의되는가? STEAM 교육은 과학·기술·공학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융합적 지식, 과정, 본성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여 창의적이고 종합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융합적 소양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이라고 정의되어진다(백윤수 외, 2011). 학습자가 실생활과 연계된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설계기반의 학습이나 문제해결 과정을 통해 새로운 개념을 생성하고 창의적으로 설계하며 더불어 사는 인성, 즉 사회적 감성을 발달하도록 하는 것이다(백윤수 외, 2012).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지구와 달’ 단원 STEAM프로그램의 적용 결과는 어떻게 요약되는가?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지구와 달’ 단원 STEAM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지구와 달’ 단원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STEAM모형 및 학습 준거를 바탕으로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의 특성에 알맞게 개발하였다. 둘째, STEAM 프로그램 적용 결과 학생들은 상황 제시 단계의 주어진 상황을 이해하고 공감한 수준에 따라 과학 개념의 형성, 창의적 설계와 산출물에서 차이점이 나타났다. 즉, 과학영재학생들은 STEAM 학습 준거의 상황 제시단계에서 주어진 상황을 이해와 공감으로 완전히 수용할 때 비로소 과업 수행에 몰입할 수 있었다는 특성이 있었다. 셋째, STEAM 프로그램을 통해 긍정적인 경험을 하게 된 주요 원인은 익숙함, 추억, 흥미, 감성, 의사소통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이며, 난해함과 복작함, 낮은 표현력, 창의적이지 않은, 비관적 윤리관, 불안감은 부정적 요인이었다. 이상의 결론은 STEAM 교육 진행에서의 긍정적인 요인과 부정적 요인을 고려하여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특히 상황제시 단계에서는 과학영재학생들이 완전히 수용할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해야 함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