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문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주제-특이적 PCK 발달과정 탐색 -태양계 행성의 크기와 거리 주제를 중심으로-
Exploring Topic-Specific PCK Progression for Elementary Teachers Instruction of Astronomy: Focusing on the Topic of Planet Size and Distance in Solar Syste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6 no.4, 2016년, pp.629 - 641  

이기영 (강원대학교) ,  이정아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사의 수업 전문성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발달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유효적절한 지원을 제공하는데 있어 기초가 된다. 이와 같은 전제에 근거하여 이 연구에서는 초등 교사의 천문 수업 중 행성의 크기와 거리에 대해 주제-특이적 PCK 발달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교사의 PCK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발달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학생의 학습발달과정(learning progressions; 이하 LPs)이라는 개념틀을 적용하였다. LPs와 마찬가지로 교사의 수업전문성 발달 또한 초보에서 적응적 전문가로 발달하는 가설적인 경로로 기술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 강원, 광주 지역 소재 6개 초등학교 5학년 교사 8명이 참여하였으며, 2013년과 2014년에 걸쳐 '태양계와 별' 단원 '의 수업을 녹화하였다. 녹화된 수업에서 참여 교사의 주제-특이적 PCK를 문서화하기 위해 수업 분석틀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이 연구는 천문 수업에서 행성의 크기와 거리 주제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PCK 발달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긴 하지만, 이와 더불어 개발된 PCK 발달과정의 타당성 근거를 확보하는 것도 또 하나의 중요한 목적이므로 2013년과 2014년에 중복 참여한 4명 교사들의 PCK 변화를 종단적으로 추적하였다. 종단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연구자들과 함께 적응적 교수활동을 개발하는 4주간의 사전 모임에 참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3개 PCK 요소(교육과정, 교수전략, 학생평가)에 대해 4~5수준의 발달과정을 개발하였으며, 1개 천문학적 사고 요소(시스템 사고)에 대해 4수준의 발달 과정을 개발하였다. 참여 교사들은 PCK 요소별로 서로 다른 발달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적응적 교수활동 개발 및 적용을 통해 PCK 수준이 다양한 경로로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특정 주제에 대한 과학 교사의 PCK 발달 수준에 적절한 수업 스캐폴딩을 촉진하는데 있어 경험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derstanding of how teachers change instruction can help predict what kind of educational materials is supportive or appropriate. On the basis of this idea, we explored elementary teachers' PCK progression on specific topics of astronomy: planet size and distance in solar system. To identify the d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erliner는 교사의 전문성의 발달은 어떤 단계로 구분하였는가? 전문가로서 교사가 어떻게 발달하는가는 오랫동안 교사 교육자와 연구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질문이었다(Darling-Hammond &Bransford, 2005). Berliner(2001)는 교사의 전문성의 발달을 초보, 중급초심자, 역량가, 숙련가, 전문가의 5단계로 구분하였는데,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5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단계 이론은 교사 전문성 발달 경로와 지식의 성격을 기술하는 데는 유용하나, 교사의 발달을 선형적인 형태 그리고 고정된 단계로 간주한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PCK란 무엇인가? 교사 지식의 발달과정을 논의함에 있어 가장 적절하고도 유효한 구인(construct)이 되는 것이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이다. PCK는 교사 수업전문성의 요체로서, 다양한 능력과 관심을 가진 학생들에게 교과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조직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표현하여 가르치기 위한 교사의 전문적인 지식을 의미한다(Magnusson et al., 1999; Park &Chen, 2012; Van Driel et al.
과학 교사의 교수 지식의 발달 과정에 대한 이해가 교사의 수업전문성 단계에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과학 교사의 교수 지식의 발달 과정에 대한 이해는 교사의 수업전문성 단계에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필수적이다. 왜냐 하면 수업전문성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발달하는지 알아야 유효적절한 지원(support)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erliner, D. C. (2001). Learning about and learning from expert teachers. Educational Researcher, 35, 463-482. 

  2. Bransford, J., Brown, A., & Cocking, R. (1999). How people learn: Brain, mind, experience, and school.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 Corcoran, T., Mosher, F. A., & Rogat, A. (2009). Learning progressions in science: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reform. Consortium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Report #RR-63. Philadelphia, PA: Consortium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4. Darling-Hammond, L. (1999). Teacher quality and student achievement: A review of state policy evidence. Seattle: Center for the Study of Teaching and Policy, University of Washington. 

  5. Darling-Hammond, L. & Bransford, J. (2005, Eds.). Preparing teachers for a changing world. San Francisco: Jossey-Bass. 

  6. Geddis, A. N. (1993). Transforming subject matter knowledge: The rol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learning to reflect on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5, 673-683. 

  7. Gess-Newsome, J. (2015). A model of teacher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including PCK: Results of the thinking from the PCK summit. In A. Berry, P. Friedrichsen, & J. Loughran (Eds.), Re-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education (pp. 28-42). New York, NY: Routledge. 

  8. Gess-Newsome, J. & Lederman, N. G. (1999,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9. Grangeat, M. (2015, Eds.). Understanding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growth. Rotterdam: Sense Publishers. 

  10. Heritage, M. (2008). Learning progressions: Supporting instruction and formative assessment. Washington, DC: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Evaluation, Standards, and Student Testing (CRESST). 

  11. Jang, H. S., & Choi, B. S. (2010).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PCK through development of content representation (CoRe): Focusing on 'molecular motion' for 7th grade cla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0(6), 870-885. 

  12. Keeley, P. (2008). Science Formative Assessment: 75 Practical Strategies for Linking Assessment, Instruction, and Learning.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13. Kim, C. J., Maeng, S. H., Cha, H. J., Park. Y. S., & Oh, P. S. (2006). A case study of the interaction between a novice science teacher and an experienced teacher: Priorities about science teaching and motivational ZP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3), 425-439. 

  14. Kim, K. S., Yoon, J. H., Park, J. A., & No, T. H. (2011). The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nsidered by secondary science pre-service teacher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teaching demonstra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1), 99-114. 

  15. Kwak, Y. S. (2009). Research on the effects of subject matter knowledge (SMK)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of secondary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classroom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6), 611-625. 

  16. Lee, J., Lee, K., Park, Y., Maeng, S., & Oh, H. (2015). A case study on spatial thinking revealed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 on solar system and sta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5(2), 179-197. 

  17. Lee, K. Y. (2009). An analysis of Earth science teachers'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cas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0(3), 330-343. 

  18. Lee, K. Y., & Park, J. Y. (2014). The analysis of the factors of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er as perceived by students through the perspective of teacher knowled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4(7), 625-634. 

  19. Lee, K., Maeng, S., Park, Y., Lee, J., & Oh, H. (2014). A case study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the unit of stars and univers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4(3), 343-356. 

  20. Maeng, S., Lee, K., Park, Y., Lee, J., & Oh, H. (201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learning progression for astronomical system using ordered multiple-choice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8), 703-718. 

  21.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CK. In Gess-Newsome J. & Lederman N. G.(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95-132. 

  22. Min, H. J., Park, C. Y., & Baek, S. H. (2010). An analysis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the teaching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0(4), 437-451. 

  23.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R.A. Duschl, H.A. Schweingruber, & A.W. Shouse, Eds.). Washington: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4. Oh, H., Lee, K., Park, Y., Maeng, S., Lee, J., & (2015). Analysis of the systems thinking revealed in middle school astronomy classes: The Case of Science Teachers'Teaching Practices for the Unit of Stars and Univers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8), 703-718. 

  25. Padalkar, S. & Ramadas, J. (2011). Designed and spontaneous gestures in elementary astronomy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 1703-1739. 

  26. Park, S., & Chen, Y-C. (2012). Mapping out the integration of the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Examples from high school biology classroo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7), 922-941. 

  27. Park, S., & Oliver, S.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z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 261-284. 

  28. Plummer, J. D., Wasko, K., & Slagle, C. (2011). Children learning to explain daily celestial motion: Understanding astronomy across moving frames of refer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 1963-1992. 

  29. Popham, W. J. (2008). Transformative assessment. Alexandria, VA: ASCD. 

  30. Schneider, M. R., & Plasman, K. (2011). Science Teacher Learning Progressions: A Review of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81(4), 530-565. 

  31.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32.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33. Van Driel, J. H., Verloop, N., & De Vos, W. (1998). 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 673-695. 

  34. Vygotsky, L. (1978).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and development. In Gauvain & Cole (Eds.) Reading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pp. 34-40). New York: Scientific American Book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