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임상진료지침의 개발 현황
An Investigation of Current Status of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5 no.3, 2015년, pp.178 - 186  

천부순 (인제대학교 약학대학) ,  이영숙 (계명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PGs) are systematically developed statements aimed at helping optimal care of the patient in a given clinical circumstance. Because of the increasing evidence that active implementation of CPGs improve health outcomes, there is a growing awareness of the im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료의 질적 향상과 양질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급증하고 의료기관평가 등 의료의 질 평가 정책들이 도입되면서 근거중심의학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이 확산되는 등으로 인해 임상진료지침의 개발과 보급에 대한 관심이 본격화 되고 있는 국내의 현시점에서, 진료지침 개발에 못지않게 개발된 지침의 원활한 활용과 보급 또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임상진료지침의 현황 조사를 통해 국내에서 개발된 임상진료지침의 종류와 인터넷 웹을 통한 일반인의 열람 가능 여부(정보의 접근성) 조사를 통하여 국내 임상진료지침 개발 현황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국내 임상진료지침이 개발된 진료분야의 현황, 임상진료지침의 개발자 혹은 기관의 현황, 임상진료지침 정보의 공개 정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 발표된 지침서들이 얼마나 최신 자료를 반영하고 있느냐를 알아보기 위해 가이드라인이 5년 이내의 개정 여부를 살펴보았다. 국내에서 개발된 임상진료지침 172개 중 제정 후 5년이 경과한 지침서가 61개(35.
  •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된 임상진료지침의 개발 현황을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한계점을 언급하고자 한다. 첫째, 회원가입의 제약으로 전문을 확인할 수 없었던 지침서가 22개 있었으며, 개별 학회, 기관 및 ‘조직’의 웹 사이트, 그리고 구글 검색을 통한 조사 연구였으므로 이들 웹 사이트에서 특정 진료지침의 개발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없었던 임상진료지침은 본 연구에 포함되지 못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GREE 은 어떤 기관인가? 2-6) 한편, 질적으로 우수한 임상진료지침의 개발을 장려하기 위해 임상진료지침의 개발과 보도과정을 평가하는 국제단체도 구성되었다. Appraisal of Guidelines, Research and Evaluation (AGREE) Collaboration은 네덜란드, 덴마크, 독일, 스위스, 스코틀랜드, 스페인, 영국, 이태리, 캐나다, 프랑스, 그리고 핀란드가 조직한 강력한 진료지침 평가 기구로서 진료지침의 영역, 목적, 이해당사자의 관여, 개발의 엄격성, 표현의 명료성, 적용 가능성, 그리고 편집의 독립성을 평가한다.7-8)
임상진료지침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임상진료지침(Clinical Practice Guidelines)은 근거중심의학(Evidence based Medicine)을 임상현장에서 가장 효율적이고 비용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으로 의료의 질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환자들에게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환자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 필요한 핵심사항들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임상진료지침은 의료인의 임상적 의사결정의 길잡이 역할을 하며 더 나아가 효과가 입증된 표준화된 치료를 유도하여 보건의료제도의 효율성을 도모하는 유용한 도구이기도 하다.
진료지침의 개발을 돕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온 이유는? 전 세계적으로 임상진료지침의 이 같은 기능에 관심이 높아지고 특정한 임상적 상황에서 환자와 의료인 모두에게 가장 적절한, 최고의 치료성과로 연결할 수 있는 진료지침에 대한 요구가 커짐에 따라 임상진료지침의 구성요소와 질적 기준에 대한 국제적 표준화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체계적으로 잘 구성된, 완성도 높은 진료지침의 개발을 돕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었으며 임상진료지침의 개발을 위한 지침이 발표되기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Field MJ, Lohr K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directions for a new progra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990. 

  2. Woolf SH, Grol R, Hutchinson A, et al. Clinical guidelines: potential benefits, limitations, and harms of clinical guidelines. BMJ 1999;318(7182):527-30. 

  3. Delamothe T. Wanted: guidelines that doctors will follow. BMJ 1993;307(6898):218. 

  4. Grimshaw J, Russell I. Achieving health gain through clinical guidelines. I: Developing scientifically valid guidelines. Qual Health Care 1993;2(4):243-8. 

  5. Schunemann HJ, Fretheim A, Oxman AD. WHO Advisory Committee on Health Research. Improving the use of research evidence in guideline development: 1. Guidelines for guidelines. Health Res Policy Syst 2006;4:13. 

  6. Shekelle PG, Woolf SH, Eccles M, et al. Clinical guidelines: developing guidelines. BMJ 1999;318(7183):593-6. 

  7. The AGREE Collaborati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ternational appraisal instrument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he AGREE project.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2003;12:18-23. 

  8. Brouwers MC, Kho ME, Browman GP, et al. AGREE II: advancing guideline development, reporting and evaluation in health care. J Clin Epidemiol 2010;63(12):1308-11. 

  9. National Guideline Clearinghouse. Available at http://www.guideline.gov/. (Accessed on December 20, 2014). 

  10. Cancer Care Ontario. Available at https://www.cancercare.on.ca/toolbox/qualityguidelines/. (Accessed on December 20, 2014). 

  11. NICE. Available at http://www.nice.org.uk/guidance. Accessed on December 20, 2014. 

  12. SIGN. Available at http://www.sign.ac.uk/guidelines/published/numlist.html. (Accessed on December 20, 2014). 

  13. KoMGI. Available at http://www.guideline.or.kr/. (Accessed on June 2, 2014). 

  14. KGC. Available at http://www.cpg.or.kr. (Accessed on June 2, 2014). 

  15. WHO. ICD-10 Version:2010. Available at http://apps.who.int/classifications/icd10/browse/2010/en. (Accessed on October 10, 2014). 

  16. Burgers JS, Grol R, Klazinga NS, et al. AGREE Collaboration. Towards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an international survey of 18 clinical guideline programs. Int J Qual Health Care 2003;15:31-45. 

  17. Shin ES.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and emerging tasks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12;55(4):371-378. 

  18. Eccles MP, Grimshaw JM, Shekelle P, et al. Developing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arget audiences, identifying topics for guidelines, guideline group composition and functioning and conflicts of interest. Implement Sci 2012;7:60. 

  19. Jacobs AK, Kushner FG, Ettinger SM, et al. ACCF/AH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methodology summit report: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J Am Coll Cardiol 2013;61(2):213-65. 

  20. Vernooij RW, Sanabria AJ, Sola I, et al. Guidance for updating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 systematic review of methodological handbooks. Implement Sci 2014;9:3. 

  21. Scott IA, Buckmaster ND, Harvey KH.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perspectives of clinicians in Queensland public hospitals. Intern Med J 2003;33(7):273-9. 

  22. Larisch A, Oertel WH, Eggert K. Attitudes and barriers t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general and to the guideline on Parkinson's disease. A National Survey of German neurologists in private practice. J Neurol 2009;256(10):1681-8. 

  23. Kryworuchko J, Stacey D, Bai N, et al. Twelve years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development, dissemination and evaluation in Canada (1994 to 2005). Implement Sci 2009;4:49. 

  24. Graham ID, Beardall S, Carter AO, et al. The state of the science and art of practice guidelines development, dissemination and evaluation in Canada. J Eval Clin Pract 2003;9(2):195-2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