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조직내 대인관계 역량에 관한 구조모형
The Structural Modeling for Nurses' Interpersonal Competence within an Organization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1 no.4, 2015년, pp.366 - 374  

이지은 (대경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a path model that anticipates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nurses by anticipating factors that explain interpersonal competence within an organization,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A hypothetical model was formulated based on a literat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대인관계를 설명하는 행동주의와 상징적 상호주의에 따르면 상호작용 요인이 대인관계에 영향을 주기도 하며, 상호작용 요인이 개인적인 측면을 통해 대인관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 요인으로 조직에서 메시지의 흐름을 나타내는 의사소통 유형, 상사의 코칭 리더십, 사회적 지지가 직접적으로 대인관계 역량에 영향을 주며, 이러한 상호작용 요인들이 개인적 요인(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을 매개로 간호사의 대인관계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적합성을 검정함으로써 간호사의 대인관계 역량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Figure 1).
  • 본 연구는 대인관계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조직 관리 차원에서 고려되어야 할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간호사의 대인관계 역량을 예측하는 구조모형을 구축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토대로 조직관리 측면에서 간호사의 대인관계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요인간의 경로를 확인하고 모형의 적합성을 검정하는 횡단적 구조모형 검정 연구이다.
  •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선행연구에서 이루어져 왔던 대인 관계 영향 변수들을 조직관리적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조직내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의 직 ‧ 간접효과를 확인해 볼 수 있었다. 특히, 대인관계에 직접적인 효과를 보인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수평적 의사소통 및 조직 몰입을 포함한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중재 연구는 시도된바 없다, 따라서 이러한 변수들을 활용하여 간호사의 대인관계 역량 향상 프로그램을 기획 한다면 간호사의 개인적 측면은 물론 조직의 성과측면인 간호사 이직관리방안으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뿐만 아니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 같은 조직성과 변수들과 대인관계 역량간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선행 연구에서 다른 결과를 보고하어 있으므로, 대인관계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관리 측면에서 간호사의 대인관계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각 요인들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이들 요인들이 대인관계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직, 간접 효과를 확인 하여 간호사의 대인관계 역량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간호사의 대인관계 역량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 인적자원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궁극적으로 간호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인관계가 부정적일경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이 대인관계는 한 개인이 성장하고 발달하는 근원으로, 원만한 대인관계는 개인의 정서적 측면에서 심리적 안녕감과 만족감[2]을, 조직측면에서는 조직 적응[3]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반면, 타인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할 경우 개인에게는 우울[4]과 같은 부정적 정서와 조직측면에서는 이직의도[5]를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이 대인관계는 개인의 정서적 측면뿐만 아니라 조직의 근무환경, 생산성 나아가 조직의 인력관리 측면에서도 중대한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대인관계영향 요인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지금까지 보고된 대인관계영향 요인은 기질적 요인[7,8], 심리정서적인 요인[7,8], 가정환경적 요인[9]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은 개인적 특성이나 환경과 관련된 요인들로 조직관리적 측면에서 개선해 나가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개인적 특성 이외 간호 조직 내에서 이루어지는 대인관계 관련 요인에 초점을 두어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대인관계가 개인의 삶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무엇인가? 인간은 일생동안 다른 사람과 끊임없는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존재로, 인간이 사회에 적응하는데 타인과의 관계는 필수적이며 대인관계가 차지하는 부분은 매우 크고 중요하다[1]. 이와 같이 대인관계는 한 개인이 성장하고 발달하는 근원으로, 원만한 대인관계는 개인의 정서적 측면에서 심리적 안녕감과 만족감[2]을, 조직측면에서는 조직 적응[3]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반면, 타인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할 경우 개인에게는 우울[4]과 같은 부정적 정서와 조직측면에서는 이직의도[5]를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Gwon SM. Psychology of human relationships. 3rd ed. Seoul: Hakjisa; 2012. 

  2. Segrin C, Taylor M.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kill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07;43 (4):637-646. http://dx.doi.org/10.1016/j.paid.2007.01.017 

  3. Chang WS, Kim MY. A study on relationships at workplace and learning & adaptation for the college graduate female early career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008;27(1):23-47. 

  4. Jeong SG, Kim SJ. The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type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depression for nurse in hospital setting.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09;14(1):131-145. 

  5. Lee SY, Oh EJ, Sung KM, The experiences of turnover intention in early stage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3;19(2):168-176. 

  6. Han SS, Park SW. Prediction factor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06;12(1):5-13. 

  7. Lee MR, Chung BY. A study on enneagram personality types, ego-identity,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mong adolescents on high school.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08;11(1):37-48. 

  8. An HY, Seo YS. Adult attachment, psychological distress, and interpersonal problem: The mediating roles of reactions to significant others' feedback, emotional coping, and social support seeking.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2010;22(3):575-603. 

  9. Jung HJ.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by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3;7(2):1-9. http://dx.doi.org/10.12811/kshsm.2013.7.2.001 

  10. McGlynn K, Griffin MQ, Donahue M, Fitzpatrick JJ. Registered nurse job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fessional practice model.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2;20(2): 260-265.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1.01351.x 

  11. Sawada T. The relationships among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lations in the workplace, and well-being in nurses. Shinrigaku Kenkyu. 2013;84(5):468-476. http://dx.doi.org/10.4992/jjpsy.84.468 

  12. Lee YH, Kim BW.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go-identity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office worker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2010;2(1):135-145. 

  13. Kim JK, Min SH. Structure relationship analysis of managers' coaching competence, organizational members' positive psychological asset and interpersonal abil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4;14(12):281-301. 

  14. Steven MJ, Campion MA. The knowledge, skill and ability requirements for teamwork: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Journal of Management. 1994;20(2):503-530. http://dx.doi.org/10.1016/0149-2063(94)90025-6 

  15. Kim GS. AMOS 18.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eoul: Hannarae; 2010. 

  16. Moon SM. A study on the effect of human relations training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980;19(2):195-204. 

  17. Chen G, Gully SM, Eden D. Validation of a new general selfefficacy scale.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2001;4(1): 62-83. http://dx.doi.org/10.1177/109442810141004 

  18. Suh SR, Lee EH. A path model predicting medication adherence and self-care of low-income older adults with hypertens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1;23(4):374-385. 

  19. Kim MH, Jung MS. The effect of head nurse's emotional leadership on nurse's job satisfaction &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3):336-347. http://dx.doi.org/10.11111/jkana.2010.16.3.336 

  20. Mowday RT, Steers RM, Porter LW.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979;14(2):224-247. http://dx.doi.org/10.1016/0001-8791(79)90072-1 

  21. Moon SJ, Han SS. A predictive model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1; 41(5):633-641. http://dx.doi.org/10.4040/jkan.2011.41.5.633 

  22. Park JC, Chang SI. Communication impacts on work related stress and focusing capability: based in special forces unit. Korean Review of Management Consulting. 2013;4(1):111-134. 

  23. Stowell SJ, Starcevich MM; Center for Management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The coach: creating partnerships for a competitive edge. Rev. ed. Salt Lake City, Utah: Center for Management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1988. 

  24. Choi CY.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leader's coaching for the employee and customer satisfaction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ase of hospital nurses in Korea.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005;11:529-546. 

  25. Park JW.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support scale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5. 

  26. Joo TH.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stress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a comparative study with different types of household environments [master's thesis].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1. 

  27. Sohn SK, Kim MS, Lee YS, Park HK, Roh M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on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4;20(1):63-71. 

  28. Jung SY, Oh YR, Bae IJ. A study on social networks, daily difficulties, and social support systems and their influence on the mental health of foreign worke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2013;34:1-35. 

  29. Lankau MJ, Carlson DS, Nielson TR. The mediating influence of role stress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and job attitud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006;68(2):308-322. http://dx.doi.org/10.1016/j.jvb.2005.06.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