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 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Clinical Decision Making Ability of Nurs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9 no.5, 2019년, pp.601 - 612  

박민경 (거제대학교 간호학과) ,  김숙영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d test a hypothetical model of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of nurses based o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model and the Cognitive Continuum theory.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urses working at 11 hospitals in Busan, Daejeon, and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임상의사결정능력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의사결정 과정에 작용하는 간호사의 판단적 역량도 고려해야 한다[11,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에 대한 포괄적인 모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Hansen과 Thomas [11]의 보건간호 의사결정에 관한 모델과 Hamm [13]의 인지 연속체 이론을 결합하여 이론적 기틀을 구축하였다. Hansen과 Thomas의 모델에 따르면 간호사의 의사결정에는 의사결정자 변수, 상황적 변수, 맥락적 변수가 영향을 미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 과정에 관한 모델[11]에 인지 연속체 이론[13]을 합성한 이론적 틀을 기반으로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간호사의 의사결정능력을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면, 이는 향후 간호사의 실무능력과 직무만족도 및 환자의 건강결과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 또한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임상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의사결정모델과 인지연속체 이론을 토대로 간호사의 임상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는 구조모형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Hansen과 Thomas의 의사결정모델과 Hamm의 인지 연속체 이론을 기반으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을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적합도를 검증하여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직·간접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행연구에서 임상의사결정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선행연구[11,12]에 의하면, 임상의사결정능력은 간호업무와 관련된 상황적 요인, 간호사의 인구학적 특성·태도·역량과 같은 의사결정자 요인, 조직구조와 관련된 환경적 요인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간호사의 의사결정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세 가지 요인을 통합적으로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임상의사결정능력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의사결정 과정에 작용하는 간호사의 판단적 역량도 고려해야 한다[11,13].
간호근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서적인 방법은? 따라서 긍정적인 간호근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구조적으로 인적·물적 자원을 충분히 확보하고, 조직의 목표설정이나 정책결정 과정에 간호사를 참여시켜 의사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간호관리자는 구성원의 지지자로서 리더십을 발휘하여 적절한 칭찬이나 인정 등 피드백을 제공하며, 타 보건의료인과 갈등이 있는 경우 간호사를 정서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불어 간호사-의사 상호 간에 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간호사와 의사를 함께 대상으로 하여 팀활동을 하거나 팀워크 및 타직종의 업무에 대하여 이해하도록 교육한다면 간호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여 간호사의 분석적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은? 이것은 최근 의료환경이 점점 복잡해지고 환자의 중증도가 높아지면서 간호사가 의사결정을 해야 할 순간들이 그 만큼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간호사의 임상의사결정은 간호를 수행하는데 있어 문제를 확인하고 여러 대안들 중 가장 적절한 선택을 하는 인지적인 과정으로[3], 최근 의료계에서는 간호사의 핵심역량인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간호사가 자신이 처한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여러 정보를 수집하여 적절한 의사결정을 하는 임상의사결정능력은 간호사의 직무만족, 간호업무성과 및 간호수행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줄뿐 아니라 환자의 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Bucknall TK. Critical care nurses' decision-making activities in the natural clinical setting.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0;9(1):25-36. https://doi.org/10.1046/j.1365-2702.2000.00333.x 

  2. Thompson C, Cullum N, McCaughan D, Sheldon T, Raynor P. Nurses, information use, and clinical decision making-the real world potential for evidence-based decisions in nursing. Evidence-Based Nursing. 2004;7(3):68-72. https://doi.org/10.1136/ebn.7.3.68 

  3. Banning M. A review of clinical decision making: Models and current research.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8;17(2):187-195.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6.01791.x 

  4. Bjork IT, Hamilton GA. Clinical decision making of nurses working in hospital settings. Nursing Research and Practice. 2011;2011:524918. https://doi.org/10.1155/2011/524918 

  5. Chen SL, Hsu HY, Chang CF, Lin ECL. An exploration of the correlates of nurse practitioners'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i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6;25(7-8):1016-1024. https://doi.org/10.1111/jocn.13136 

  6. Lauri S, Salantera S. Developing an instrument to measure and describe clinical decision making in different nursing field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02;18(2):93-100. https://doi.org/10.1053/jpnu.2002.32344 

  7. Kim SY. A study on participation in clinical decision making by home healthcar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6):892-902. https://doi.org/10.4040/jkan.2010.40.6.892 

  8. Lim NY, Yi YJ. Factors on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related to clinical experience differ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2):270-277. https://doi.org/10.4040/jkan.2004.34.2.270 

  9. Lee Y, Gang M, Jung MS. Impact of professional autonomy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clinical decision making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4):285-294. https://doi.org/10.5807/kjohn.2013.22.4.285 

  10. Oh I, Kim JH. Impact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nurses' clinical decision making abiliti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6;22(3):304-315.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3.304 

  11. Hansen AC, Thomas DB. A conceptualization of decision-making: Its application to a study of role-and-situation-related differences in priority decisions. Nursing Research. 1968;17(5):436-443. 

  12. Hagbaghery MA, Salsali M, Ahmadi F. The factors facilitating and inhibiting effective clinical decision-making in nursing: A qualitative study. BMC Nursing. 2004;3(1):2. https://doi.org/10.1186/1472-6955-3-2 

  13. Hamm RM. Clinical intuition and clinical analysis: Expertise and the cognitive continuum. In: Dowie J, Elstein AS, editors. Professional Judgment: A Reader in Clinical Decision Making.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p. 78-105. 

  14. Oh JG. An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task complexity on the relationship among ease of use, usefulness, and satisfaction of hospital information system [dissertation]. Asan: Soonchunhyang University; 2014. p. 1-119. 

  15. Kim IW. A structure model on head nurse's leadership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5. p. 1-87. 

  16. Cho E, Choi M, Kim EY, Yoo IY, Lee NJ.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3):325-332. https://doi.org/10.4040/jkan.2011.41.3.325 

  17. Scheffer BK, Rubenfeld MG. A consensus statement on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0;39(8):352-359. 

  18. Hicks FD, Merritt SL, Elstein AS.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in critical care nursing: A pilot study. Heart & Lung. 2003;32(3):169-180. https://doi.org/10.1016/S0147-9563(03)00038-4 

  19. Benner P, Tanner C. Clinical judgment: How expert nurses use intuition.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987;87(1):23-31. 

  20. Traynor M, Boland M, Buus N. Autonomy, evidence and intuition: Nurses and decision-mak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0;66(7):1584-1591. https://doi.org/10.1111/j.1365-2648.2010.05317.x 

  21. Kang KJ, Kim EM, Ryu SA.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competence for general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1;11(1):284-293.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84 

  22. Yu JP.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rae Publishing Co.; 2012. p. 1-391. 

  23. Bae B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21: Principles and practice. Seoul: Chungram Books; 2014. p. 80-330. 

  24. Schutzenhofer KK. The development of autonomy in adult women.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1983;21(4):25-30. 

  25. Lake ET.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2;25(3):176-188. https://doi.org/10.1002/nur.10032 

  26. Yoon J.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 - focusing on a school applying integrated nursing curriculum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14(2):159-166. 

  27. Rew L. Acknowledging intuition in clinical decision making. Journal of Holistic Nursing. 2000;18(2):94-108. https://doi.org/10.1177/089801010001800202 

  28. Beaton DE, Bombardier C, Guillemin F, Ferraz MB. Guidelines for the process of cross-cultural adaptation of self-report measures. Spine. 2000;25(24):3186-3191. https://doi.org/10.1097/00007632-200012150-00014 

  29. Jenkins HM. Improving clinical decision making in nursing.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1985;24(6):242-243. 

  30. Baek MK.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autonomy and clinical decision-making in nursing scale of E.T nurse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5. p. 1-89. 

  31. Shin G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ith SPSS/Amos 23. 2nd ed. Seoul: Chungram Books; 2016. p. 81. 

  32. Noh KS. A well-informed paper stat SPSS & Amos 21. Seoul: Hanbit Academy; 2014. p. 331-351. 

  33. Park HS, Jung SY. Development of the structural model of adolescent's risk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3):364-373. https://doi.org/10.4040/jkan.2011.41.3.364 

  34. Park S, Kwon IG. Factors influencing nurses' clinical decision making: 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6):863-871. https://doi.org/10.4040/jkan.2007.37.6.863 

  35. Yeom YH, Ko MS, Kim KK, Kim BY, Min S, Shin MJ, et al. Nursing Management. 6th ed. Paju: Soomoonsa; 2017. p. 274-275. 

  36. Lee JY, Pak SY.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es in local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2):145-153.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2.145 

  37. Park SH.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 self-concept, clinical decision mak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fessional autonomy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2015;9(4):325-334. https://doi.org/10.21184/jkeia.2015.12.9.4.325 

  38. Kim HS. Effects of the nursing process education program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of th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5;17(1):561-574. 

  39. Choi E, Hwang J, Jang I. Effect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self-esteem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7;23(2):161-169.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2.161 

  40. Chilcote DR. Intuition: A concept analysis. Nursing Forum. 2017;52(1):62-67. https://doi.org/10.1111/nuf.12162 

  41. Benner P. From novice to expert: Excellence and power in clinical nursing practic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984;84(12):1480. 

  42. Hassani P, Abdi A, Jalali R. State of science, "Intuition in nursing practice": A systematic review study. Journal of Clinical and Diagnostic Research. 2016;10(2):JE07-JE11. https://doi.org/10.7860/JCDR/2016/17385.7260 

  43. Woolley A, Kostopoulou O. Clinical intuition in family medicine: More than first impressions. Annals of Family Medicine. 2013;11(1):60-66. https://doi.org/10.1370/afm.1433 

  44. Pearson H. Science and intuition: Do both have a place in clinical decision making? British Journal of Nursing. 2013;22(4):212-215. https://doi.org/10.12968/bjon.2013.22.4.212 

  45. Odell M, Victor C, Oliver D. Nurses' role in detecting deterioration in ward patients: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9;65(10):1992-2006.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9.05109.x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