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병원과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인식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ies: Compari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and Small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1 no.4, 2015년, pp.405 - 416  

차보경 (한서대학교 간호학과) ,  최정 (안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ies between university hospital nurses (group A) and small hospital nurses (group B). Method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246 university hospital nurses and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병원과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들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정도와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병원 조직의 환자안전문화를 구축하고, 병원 규모별로 다른 특성을 파악하여 추후 간호사들의 환자안전문화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병원 근무 간호사와 중소병원 근무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정도 및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조사연구로서, 간호사들의 환자안전문화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대학병원에 재직 중인 간호사 246명과 중소병원에 재직 중인 간호사 2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병원 근무 간호사와 중소병원 근무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정도 및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병원 근무 간호사와 중소병원 근무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정도 및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비교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전체 환자안전문화인식 정도는 중소병원 간호사가 평균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기관 내에서 대상자의 안전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의료기관 내에서 대상자의 안전은 건강 및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이며, 의료 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 지표이다[1]. 최근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권리 의식이 향상됨에 따라 의료 소비자들은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서비스를 받기를 원하고 있으며[2], 의료기관에서도 안전한 환경에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
의료 과오의 발생을 예방하는 병원 문화가 정착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이렇게 환자 안전의 중요성이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매년 병원에서는 안전사고로 사망하거나 손상 받는 환자 수는 오히려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 이러한 병원 발생 의료 과오는 의료진과 병원에 대한 신뢰감 저하, 환자의 재원 기간 연장, 병원의 재정적 손실 등을 초래할 뿐 아니라 환자의 건강과 생명에 영향을 미치며, 의료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5]. 따라서 환자의 안전을 유지하면서 안전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의료 과오의 발생을 예방하는 병원 문화가 정착되어야 한다.
환자안전에 있어 간호사의 역할이 가장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환자안전은 의료기관 내 환자 안전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는 모든 사람에게 책임이 있다 할 수 있지만, 특히 간호사는 환자를 직접 돌보는 현장에 있으므로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 환자 안전에 대한 간호사의 책임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중 부적절한 간호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가 전체 사고의 약 50%에 이르고[9], 간호사들에 의한 병원의 환자안전 수준에 대한 평가는 전반적으로 낮으며, 의료과오 보고에 대한 시스템적 지원이나 병원의 조직문화가 간호사들을 지지해 주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MR. Concept analysis of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 41(1):1-8. http://dx.doi.org/10.4040/jkan.2011.41.1.1 

  2. Lee AS, Yoon CK. A Study on nurses perception to the patient safety in hospital.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10;36(2):73-82. 

  3. Lee NJ, Kim JH.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among nurses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462-473.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4.462 

  4. Mahajan RP. Critical incident reporting and learning.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2010;105(1):69-75. http://dx.doi.org/10.1093/bja/aeq133 

  5. Kohn LT, Corrigan JM, Donaldson MS.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0. 

  6. Kim MS. The effectiveness of error reporting promoting strategy on nurse's attitude, patient safety culture, intention to report and reporting rat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0;40(2):172-181. 

  7. Kagan L, Barnoy S. Factors associated with reporting of medication errors by Israeli nurses.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08;23:353-361. http://dx.doi.org/10.1097/01.ncq.0000336674.10348.09 

  8. Kim KJ, Han JS, Seo MS, Jang BH, Park MM, Ham HM, Yoo MS, et al. Relationship between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safety attitude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2):213-221.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2.213 

  9. Park SJ. A study on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master's thesis]. Busan: Dong-A University; 2009. 

  10. Kim JE, Kang MA, An KE, Sung YH. A survey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elated to hospital culture and reports of medical erro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3):169-179. 

  11. Kim EK, Kang MA, Kim HJ. Experience and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of employees i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7;13(3):321-334. 

  12. Park KO. Supply and demand of nursing manpower for small and medium hospitals in rural area: nursing shortage versus wage disparity.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09;6(1):67-76. 

  13. Lee GO. The study on nurse manager leadership and patient safety-related nursing activities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9. 

  14. Hughes, CM, Lapane, KL. Nurses' and nursing assistant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nursing home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6;18(4):281-286. http://dx.doi.org/10.1093/intqhc/mzl020 

  15. Abstoss KM, Shaw BE, Owens TA, Juno JL, Commiskey EL, Niedner MF. Increasing medication error reporting rates while reducing harm through simultaneous cultural and systemlevel interventions in an intensive care unit. BMJ Quality and Safety. 2011;20(11):914-922. http://dx.doi.org/10.1136/bmjqs.2010.047233 

  16. Nieva VF, Sorra JS. Safety culture assessment: A tool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in healthcare organization.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2003;12(suppl 2):ii17-ii23. http://dx.doi.org/10.1136/qhc.12.suppl_2.ii17 

  17. Vaismoradi M. Nursing education curriculum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2012;2(1):101-104. http://dx.doi.org/10.5430/jnep.v2n1p101 

  18. Cho SS, Gang MH.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of entry-leve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1):24-34.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1.24 

  19. Lee KH, Lee YS, Park HK, Rhu JO, Byun IS. The influences of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1;17(2):204-214. 

  20.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 Statistical power analysis using G*power 3.1.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1149-1160.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21. Sorra JS, Nieva VF.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Prepared by Westat, under Contract No. 290-96-0004). AHRQ Publication No. 04-0041.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4. http://www.ahrq.gov/sites/default/files/wysiwyg/professionals/quality-patient-safety/patientsafetyculture/hospital/resources/hospcult.pdf 

  22. Kim JE, Ahn KE, Yoon SH. Nurses perception of the hospital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process related to patient safety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2004;10(suppl 1):130-135. 

  23. Lee YJ. Patient safety culture and management activities perceived by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Daejeon: Eulji University; 2011. 

  24. Kim SK, Lee HJ, Oh EG. Perceived level and associated factors of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health care providers in an operating room.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2):57-67. 

  25. Liu Y, Kalisch BJ, Zhang L, Xu J. Perception of safety culture by nurses in China.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09;24(1):63-68. http://dx.doi.org/10.1097/NCQ.0b013e31818f551f 

  26. Kim KJ. The effects of website-based patient safety culture promotion program on nurses' perception of safety culture attitude and behavior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12. 

  27. Meterko M, Mohr DC, Young GJ. Teamwork culture and patient satisfaction in hospitals. Medical Care. 2004;42(5):492-498. 

  28. Jeong J.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t two university hospitals: The case of nursing division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6. 

  29. Park JH. Hospital worker'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small & medium hospital (Seoul, Incheon) [master's thesis]. Incheon: Gachon University; 2011. 

  30. Schubert M, Glass TR, Clarke SP, Aiken LH, Schaffert-Witvliet B, Sloane DM, et al. Rationing of nursing care and its relationship to patient outcomes: The Swiss extension of the international hospital outcomes study.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8;20(4):227-237. http://dx.doi.org/10.1093/intqhc/mzn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