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립일차방정식의 다양한 표현과 소거법의 의미에 관한 연구
On Representations of Linear Systems and Analysis for the Meaning of Elimination Method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7 no.3, 2015년, pp.407 - 421  

김진환 (영남대학교) ,  박교식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연립일차방정식에 대한 교사의 수학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연립일차방정식의 다양한 표현을 탐색하고, 그 해결 방법인 소거법의 의미를 분석했다. 연립일차방정식은 언어적 표현, 직사각형 표현, 방정식 표현, 직선(또는 그래프) 표현, 첨가행렬 표현, 행렬 표현, 일차결합(또는 벡터) 표현으로 나타낼 수 있다. 직사각형 표현은 계수가 자연수이고 해가 양인 값을 찾는데 유용하다. 직선 표현에서 기울기와 절편을 Cramer의 공식과 연결시켜 줄 수 있다. 한 미지수를 소거하는 것은 축이나 축에 평행한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그것을 사용하여 다른 축이나 축에 평행한 직선으로 바꾸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가감법이라는 대수적 절차를 직선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이미지화할 수 있다. 일차방정식의 해법에서 사용하는 방정식의 일차결합은 직선족과 방향벡터로 바꾸어 생각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near system is a basic subject matter of school mathematics courses. Even though elimination is a useful method to solve linear systems, its fundamental principles were not discussed pedagog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on linear sy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립방정식은 중등학교 수학에서 어떤 내용인가?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수학교사들의 수학 전문성 신장을 위해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으로 이루어진 연립방정식(이하, 연립방정식)의다양한 표현을 탐색하고, 그 해결 방법인 소거법의 의미를 분석한다. 연립방정식은 중등학교 수학에서 취급하는 핵심적인 내용의 하나이다. 연립방정식은 선형대수학에서 전문적으로 취급한다.
교수학이란? 교수학은 학문수학에 뿌리를 두어 학습자의 발달 단계와 교육적 가치를 염두에 두고 교수학적 변환을 거쳐 만들어진 것이지만, 동시에 학문 수학으로 발전되어가는 토대로 볼 수 있다. 그런 만큼 교사는 학교수학뿐만 아니라, 그 이상을 알고 있어야 한다(Polya, 2005).
연립방정식의 언어적 표현의 예는? #언어적 표현: 공책 두 권과 펜 하나의 가격이 10달러이고 공책 세 권과 펜 두 개의 가격이 16달러였다. 공책의 가격과 펜의 가격은 각각 얼마인가?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 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서울.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7-79호. 서울.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 익힘책 5-2. 두산동아(주). 서울. 

  4. 권석일, 임재훈 (2007). 그림그리기 전략을 통한 초.중등수학의 연립방정식 지도 연결성 강화. 학교수학, 17(2), 91-109. 

  5. 권영수 외 (2013). 선형대수학입문. 서울: 북스힐. 

  6. 김성준 (2004). 대수의 사고요소 분석 및 학습- 지도 방향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류희찬 외(2013). 중학교 수학 2. 서울: 천재교과서. 

  8. 심상길 (2009). 교과서 연립방정식 단원에 제시된 수학사의 소재 분석 및 교수학적 분석. 학교수학, 11(3), 415-429. 

  9. 우정호 외 (2009). 고등학교 수학 익힘책. 서울: 두산(주). 

  10. 우정호 외(2013). 중학교 수학 2. 서울: 두산동아(주). 

  11. 윤민지, 방정숙 (2009). 5.6학년 학생들의 이원일차 연립방정식 형태의 문장제 해결 과정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23(3), 761-783. 

  12. 이종희, 김부미 (2003). 문장제 해결에서 구조-표현 을 강조한 학습의 교수학적 효과분석. 학교수학, 5(3), 361-384. 

  13. 허은숙 (2005). 고등학교에서의 선형대수개념 지도에 관한 연구 -수학적 연결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Anton, H. (1994). Elementary Linear Algebra (7th ed). John Wiley Sohns. 

  15. Duval, R. (2002). The cognitive analysis of problems of comprehension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Mediterranea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2), 1-16. 

  16. Fong, H. & Chong, T. (1995). Solving algebraic word problems. Mathematics Teaching, 151, 34-35. 

  17. Giaquinto, M. (2007). Visual Thinking in Mathematics - An epistemological study. OXFORD Univ. Express. 

  18. Herscovics, N. & Linchevski, I.(1994). A cognitive gap between arithmetic and algebra.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7(1), 59-78. 

  19. Klein, F. (2004). Elementary Mathematics from an Advanced Standpoint: Arithmetic?Algebra? Analysis. E. R. Hedrick, C. A. Noble (trans.). New York: Dover Publications. (원작은 1924년 에 출판). 

  20. Lipschutz, S. & Lipson, M. L. (2013). Linear Algebra (Fifth ed). McGraw-Hill. 

  21. NCTM (1989). The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2. NCTM (2000). Principle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3. Polya, G. (2005). Mathematical Discovery I. (번역: 우정호, 정영옥, 박경미, 이경화, 김남희, 나귀수, 임재훈, 원저는 1981년 출판). New York: John Wiley & Sons. 

  24. Sanchez, V. & Llinares, S. (2003). Four student teachers' pedagogical reasoning on function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6, 5-25. 

  25. Smith, S. A., Charles, R. I., Dossey J. A., & Bittinger, M. L. (2006). Algebra 2 with Trigonometry. Prentice Hal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