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유통 중인 어린이용 화장품 총 125건(n = 125)을 대상으로 하여 파라벤 6종과 벤질알콜, 페녹시에탄올, 소르빈산, 벤조산 등 10종의 보존제에 대한 혼합 사용실태와 함량을 HPLC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유형별 보존제 검출률세정제 63%, 크림류 48%, 자외선차단제 46%, 로션류 38%, 오일이 13%의 순으로 검출되어 총 125건 중 63건(50%)의 제품에서 1종류 이상의 보존제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존제별 검출범위는 페녹시에탄올 0.01 ~ 0.91% (n = 35), 벤조산 0.01 ~ 0.48% (n = 28), 벤질알콜 0.01 ~ 0.78% (n = 9), 소르빈산 0.01 ~ 0.11% (n = 3)였으며, 파라벤류 중 메틸 파라벤과 프로필 파라벤은 0.04 ~ 0.21% (n = 8)와 0.02 ~ 0.09% (n = 8)의 검출범위를 보였고, 에틸 파라벤은 1개 제품에서 0.04%로 모두 배합한도 이내로 검출되었다. 조사결과 어린이용 화장품에서는 파라벤류 보다 페녹시에탄올과 벤조산의 사용 빈도가 높았으며 검출된 파라벤류 중에서는 메틸 파라벤과 프로필 파라벤이 주로 혼합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10 preservatives (benzyl alcohol (BAl), phenoxyethanol (PE), benzoic acid (BA), sorbic acid (SA), methyl paraben (MP), ethyl paraben (EP), propyl paraben (PP), isopropyl paraben (IPP), butyl paraben (BP), isobutyl paraben (IBP)) levels in 125 cosmetics (n = 12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유아 및 어린이의 건강보호를 위한 관리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지만 유아 및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제품을 통한 안전성 평가는 부족한 실정이며 보존료를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 혼합해서 사용하는 경향이 높아짐에 따라 2가지 이상 혼합 시 발생할 수 있는 유전적 영향에 대한 평가가 필요한 상황이다[6,1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중 유통 중인 화장품 중 어린이용 화장품을 대상으로 파라벤 6종(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파라벤)과 페녹시에탄올, 벤질알콜, 소르빈산, 벤조산 등 총 10종의 보존제에 대해 제품에서의 함량과 혼합 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배합한도 적합여부및 무 방부제 표시제품, 파라벤 프리 제품 등 살균 ⋅ 보존제 표시의 적정성 여부를 조사하여 유통화장품 품질관리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또한 배합한도 적합여부및 무 방부제 표시제품, 파라벤 프리 제품 등 살균 ⋅ 보존제 표시의 적정성 여부를 조사하여 유통화장품 품질관리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생물에 의한 오염은 어떤 피해를 주는가?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제조단계부터 최종 소비자가 사용할 때까지 보관 또는 사용 중에 미생물에 오염되기 쉽다. 미생물에의 오염은 제품의 산패, 변색 및 변취를 일으킬 수 있으며 제품의 물성 및 효능을 저하시키고 사용자에게 미생물 감염을 유발시킬 수 있다[1]. 살균⋅보존제는 화장품에 배합되어 외부로부터 오염되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멸시켜 제품의 열화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화장품 중에서 정균작용을 함으로써 제품이 변질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2].
살균⋅보존제는 화장품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미생물에의 오염은 제품의 산패, 변색 및 변취를 일으킬 수 있으며 제품의 물성 및 효능을 저하시키고 사용자에게 미생물 감염을 유발시킬 수 있다[1]. 살균⋅보존제는 화장품에 배합되어 외부로부터 오염되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멸시켜 제품의 열화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화장품 중에서 정균작용을 함으로써 제품이 변질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2]. 그러나 단독으로 사용되는 보존제의 효과는 별로 강하지 않아 몇 가지 보존제를 혼합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들은 기본적으로 세포독성 및 접촉성 알레르기 등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5].
화장품에 사용되는 보존제 중 파라벤의 독성은? 이 중 보존제로서 대표적인 것이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파라벤)로 파라벤은 제형화하기 쉽고, 활성범위가 넓으며, pH에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저렴하여 거의 모든 종류의 화장품에 널리 사용된다[7,8]. 파라벤의 독성은 일반적으로 낮지만 손상된 피부에는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며, 에스트로겐 잠재성, 마취효과 및 생식독성의 가능성에 대한 논란이 있어 왔다[9,10]. 페녹시에탄올은 생식독성 및 발달독성 의심물질로 분류되어 있으며[11] 다량 사용할 경우 피부괴사까지 초래할수 있는 성분으로 파라벤프리 제품에서 보존제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 W. Cho, Y. K. Lee, and M. J. Kim, The effect of oil-aqueous phase partition coefficients of phenoxyethanol according to oils,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Jeju, 390 (2009). 

  2. W. G. Cho, Y. H. Lee, and S. J. Hwang, Effects of cosmetic pigments on the bactericidal activites of parabens, J. Korean Oil Chemists' Soc., 27(4), 501 (2010). 

  3. Y. J. Ru, Simultaneous analysis and monitoring of thirteen preservatives in cosmetics by liquid chromatography, J. Prev. Vet. Med., 37(2), 73 (2013). 

  4. S. L. Skinner, Allergic contact dermatitis in topical medicaments, Am. J. Contact Dermat., 9, 199 (1998). 

  5. S. J. Yang, Y. O. Kim, K. H. Son, R. S. Jung, W. J. Yang, O. J. Paek, H. K. Lee, and S. S. Choi, Simultaneous HPLC determination of preservatives in cosmetics, Yakhak Hoeji, 46(4), 231 (2002). 

  6. J. J. Park, D. H. Yun, B. H. Kim, J. H. Baek, K. H. Choi, and S. J. Kim, The determination of preservative dosages in cosmetics, Korean J. Sanitation, 13(1), 104 (1998). 

  7. J. E. Park, S. M. Lee, H. J. Jeong, and I. S. Chang,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8 preservatives (6 parabens, 2-phenoxyethanol, and chlorphenesin) in cosmetics by UPLC,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3(4), 263 (2007). 

  8. H. S. Ahn, J. E. Nah, Y. S. OH, and M. C. Gye, Toxicity and endocrine disrupting effect of parabens, Korean J. Environ. Biol., 27(4), 323 (2009). 

  9. Y. Okamoto, T. Hayashi, S. Matsunami, K. Ueda, and N. Kojima, Combined activation of methyl paraben by light irradiation and esterase metabolism toward oxidative DNA damage, Chem. Res. Toxicol., 21, 1594 (2008). 

  10. S. J. Kim, J. W. Hwang, and J. R. Park, Assessment of pubertal development to parabens-induced estrogenic effect in male mice, J. Fd. Hyg. Safety, 21(3), 197 (2006). 

  11. J. S. Kim, J. H. Shin, J. H. Park, B. M. Kim, and G. H. Park, Risk assessment of phenoxy ethanol in baby care products, Proceeding of autumn symposium of Korean J. Environ. Toxicol., Seoul, 182 (2011). 

  12. I. S. Hwang, H. J. Jeong, W. H. Park, B. K. Jung, M. S. Lee, D. G. Kim, L. L. Kim and Y. Z. Chae, Examination of preservatives in cosmetic Products, Report of S.I.H.E., 45, 77 (2009). 

  13. M. Alexiades-Armenakas, Parabens toxicity to skin and other organs, J. Drugs Dermatol., 7(1), 77 (2008). 

  14. J. S. Lee, H. S. Kim, S. K. Ko, Y. J. Hong, S. N. Kim, A. H. Chung, N. J. Chough, and M. Y. Kim, Simultaneous analysis and quantification by HPLC of preservatives in commercial pharmaceuticals, Report of S.I.H.E., 43, 157 (2007). 

  15. Guideline for analytical method of preservatives and sunscreen ingredients in cosmetics, KFDA (2013). 

  16. Y. P. Yun, I. H. Lim, J. S. Lee, D. B. Kim, and M. Y. Heo, Genotoxicity study of combinations of p-oxy benzoic acids, J. Fd. Hyg. Safety, 11(1), 17 (1996). 

  17. B. C. Choe, W. H. Park, K. A. Park, H. J. Jung, Y. K. Kim, and N. J. Chough, Simultaneous analysis of parabens in cosmetics by UPLC, Report of S.I.H.E., 43, 168 (2007). 

  18. K. G. McGrath, An earlier age of breast cancer diagnosis related to more frequent use of antiperspirants/ deodorants and underarm shaving, Eur. J. Cancer Prev., 12, 479 (2003). 

  19. S. H. Choi, K. R. Chae, H. S. Kwak, S. K. Lee, H. J. Lee, J. H. Choi, and B. W. Moon, Monitoring of cosmetic preservatives in commercial skin creams, The Annual Report of KFDA, 6, 607 (2002). 

  20. N. J. Choi, A field survey on the safety of cosmetics, Report of Korea Consumer Agency, 12, 15 (2002). 

  21.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Cosmetics Act, Article 10 (2008). 

  22. E. M. Park, M. N. Um, B. H. Kim, S. H. Cho, S. H. Park, H. Y. Jo, M. H. Yoon, and J. B. Lee,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and preservatives in cosmetics using natural materials, J. Fd. Hyg. Safety, 27(3), 257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