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유통 자외선 차단 기능성화장품 중 살균보존제 및 자외선차단성분 사용실태조사
Survey of Preservatives and UV Filter Ingredients of Distributed Sunblock Products in Korea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3 no.4, 2017년, pp.381 - 390  

박정희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김종필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김진아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서계원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김은선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서정미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자외선 차단 기능성화장품 총 100건을 대상으로 살균보존제 16종과 자외선차단성분 18종의 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검출률이 가장 높은 살균보존제 성분 5가지는 페녹시에탄올(61건), 안식향산(19건), 메틸파라벤(11건), 벤질알콜(8건), 프로필파라벤(7건)순이었으며, 자외선차단성분의 경우는 티타늄디옥사이드(81건),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69건), 징크옥사이드(48건),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48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44건)순이었다. 검사한 100건의 화장품 모두 검출된 살균보존제와 자외선차단성분 함량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정한 사용한도 기준에 적합하였지만 일부 자외선 차단 화장품의 경우 포장 용기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살균보존제와 자외선차단성분이 검출되었다. 100건 중 31건의 화장품에서 표시되지 않은 살균보존제 성분(벤질 알콜 등 6종)이 검출되었고, 2건에서는 표시되지 않은 자외선차단성분(호모살레이트 등 2종)이 검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16 preservatives and 18 UV filter ingredients levels in 100 sunblock products. The order of detection rates of preservatives was phenoxyethanol (n=61), benzoic acid (n=19), methyl paraben (n=11), benzyl alcohol (n=8), propyl paraben (n=7). Also the order of de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자외선 차단 기능성화장품 100건을 대상으로 안전관리 기준 준수 및 제품 표시의 적정성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사용한도가 지정되어 있는 살균보존제 및 자외선차단성분 함량 검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유통 자외선 차단 화장품의 관리 감독 및 소비자의 제품선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장품의 안전성 확보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기능성화장품 중에서도 가장 많이 개발되고 판매되어 온 것은 자외선 차단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1]. 여러 가지 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화장품은 사람들이 매일 수차례 사용하며, 평생을 사용하는 제품이기에 안전성에 대한 확보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소비자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고, 안전성 확보를 위해 화장품법 제10조 화장품의 기재사항에서는 해당 화장품 제조에 사용된 모든 성분을 기재⋅표시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살균보존제 60항목, 자외선차단제 30항목, 기타 성분 69항목에 대해 사용한도 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알권리를 충족 시키기 위한 법률은 무엇인가? 여러 가지 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화장품은 사람들이 매일 수차례 사용하며, 평생을 사용하는 제품이기에 안전성에 대한 확보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소비자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고, 안전성 확보를 위해 화장품법 제10조 화장품의 기재사항에서는 해당 화장품 제조에 사용된 모든 성분을 기재⋅표시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살균보존제 60항목, 자외선차단제 30항목, 기타 성분 69항목에 대해 사용한도 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자외선 차단 기능성화장품에 함유된 살균보존제 및 자외선 차단 성분의 분석결과는 어떠하였는가? 실험방법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화장품 시험법에 준하여 실험하였다. 유통 중인 서로 다른 종류의 자외선차단 기능성화장품 100건의 시료를 대상으로 살균보존제 16종, 자외선차단성분 18종을 분석한 결과, 검출률이 가장 높은 보존제 성분은 페녹시에탄올(61건), 안식향산(19건), 메틸파라벤(11건), 벤질알콜(8건), 프로필파라벤(7건) 순이었으며, 자외선차단성분의 경우는 티타늄디옥사이드(81건),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69건), 징크옥사이드(48건),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48건),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44건)순이었다. 검출된 살균보존제와 자외선차단성분 모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정한 사용한도 기준을 준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J. C. Yang and Y. H. Le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unscreen agents in cosmetics by HPLC,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29(4), 577 (2012). 

  2. G. B. Park and S. G. Le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parabens in cosmetics by LC/MS, Anal. Sci. Technol., 23(1), 54 (2010). 

  3. Y. H. Ryu, D. G. Kim, I. K. Yeon, C. S. Huh, J. A. Ryu, W. S. Jo, S. J. Park, and Y. S. Lee, Screening for inhibition activity of plant extracts on microorganism contaminating in cosmetic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3(1), 57 (2015). 

  4. Itoh M, The consideration and measures of sensitive skin from viewpoint of dermatologist, Fragr. J., 30(10), 11 (2002). 

  5. M. S. Kim, The theory and practice of esthetics, 50, Hyunmoon Press, Seoul (2009). 

  6. I. Y. Oh, S. Y. Kim, J. M. Suk, S. W. Jung, J. O. Park, K. H. Yoo, K. S. Li, B. J. Kim, and M. N. Kim, Sun protection factor (SPF) assessment of the sunscreen composed of natural substances, J. Soc. Cosmet. Sci. Korea, 39(2), 141 (2013). 

  7. G. H. Kim, U. S. Ji, T. S. Jang, J. H. Nam, G. Yeom, and O. J. Kang, Basic organic chemistry, 231, Gwangmungag, Seoul (1999). 

  8. S. J. Song, Master's thesis dissertation, Ajou Univ., Suwon, Korea (2012). 

  9. M. J. Kwon, Master's thesis dissertation, Konkuk Univ., Seoul, Korea (2013). 

  10. S. J. Kim, Master's thesis dissertation, Konyang Univ., Nonsan, Korea (2011). 

  11. H. T. Kim, Ph. D. dissertation, Kyungpook Univ., Daegu, Korea (2007). 

  12. S. H. Lee, Master's thesis dissertation, Chungang Univ., Seoul, Korea (2012). 

  13. N. Y. Choi, Master's thesis dissertation, Inje Univ., Gimhae, Korea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