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데이터링크 통신을 위한 PLL 주파수합성기 설계
Design of PLL Frequency Synthrsizer for Data Link Communication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7 no.3, 2015년, pp.377 - 381  

권상철 (에이스안테나 방산 연구소) ,  강경식 (명지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first time, PLL frequency synthesizer using DDS was adapted for the data link communication system which should fast transmit and receive each other with the correct information and fast Hopping System. It is inevitable to lost the synchronization by slow lock time about PLL and no cut of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LL 주파수합성기의 설계 규격은 DDS를 이용한 주파수발생기의 설계 규격에서 주파수 체배에 따라 저하되는 특성을 고려하여 정하였다. 본 논문에서 사용되는 PLL IC는 National Semiconductor사의 LM2326을 사용하였다.
  • 이와 같은 특성의 DDS를 PLL모듈의 기준 주파수로 사용하여 최종 주파수인 800MHz를 얻었다. 본 논문에서는 성능에는 관심을 두지 않고 최종 출력 주파수를 얻고자 하였다. 하지만 보다 좋은 성능을 얻고자 한다면 DDS에서는 최우선적으로 앨리어싱 억압필터의 설계가 중요하다고 하겠다.
  • 다시말해서 주파수 도약시스템 (Frequency Hopping System)에서 정확하고 빠른 도약을 위한 PLL 주파수합성기 개발은 필수적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DDS를 이용해 데이터링크에 필요한 800MHz의 출력 주파수를 내는 PLL 주파수합성기를 설계 제안 하였다. 설계된 PLL 주파수합성기는 전술 데이터링크 시스템 주파수인 VHF 대역에서 정확한 발진 주파수를 가지고 빠른 Lock time과 우수한 Phase Noise 특성을 가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전의 전투방식은 어떠한가? 전투에 소규모 플렛폼이 참여하고 소규모 전투에서 음성통신을 통한 상황 공유만 가능하면 전투가 가능했었던 과거의 전투 방식에서 현대전의 전투방식은 전투기, 함정, 대공 미사일 수량이 급격히 증가함으로써 동시 다발적인 전투 수행은 물론 공유할 상황 정보 증가로 음성통신만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른 전술 데이터링크 활용이 필수적이며 앞으로의 미래전은 NWC(Network Centric Warfare)중심의 전투방식으로 발전 될 것이다.
미래전은 어떤 전투방식으로 예상되는가? 전투에 소규모 플렛폼이 참여하고 소규모 전투에서 음성통신을 통한 상황 공유만 가능하면 전투가 가능했었던 과거의 전투 방식에서 현대전의 전투방식은 전투기, 함정, 대공 미사일 수량이 급격히 증가함으로써 동시 다발적인 전투 수행은 물론 공유할 상황 정보 증가로 음성통신만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른 전술 데이터링크 활용이 필수적이며 앞으로의 미래전은 NWC(Network Centric Warfare)중심의 전투방식으로 발전 될 것이다. NWC 운용 개념은 네트위크로 연결된 군대의 효과적 정보 공유를 가능 하게 하고, 공유된 정보는 상황 인식의 질을 개선작업을 거치며, 공유된 상황인식은 명령 전파속도롤 최대화 하여 임무 수행 효과가 극적 향상을 시킬 수 있게 하는 전투 운용 방식이다.
전술 데이터링크 시스템의 필수적인 요소는? 이러한 NWC중심의 전술 체계에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시스템이 전술 데이터링크 시스템이다. 다시말해서 주파수 도약시스템 (Frequency Hopping System)에서 정확하고 빠른 도약을 위한 PLL 주파수합성기 개발은 필수적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DDS를 이용해 데이터링크에 필요한 800MHz의 출력 주파수를 내는 PLL 주파수합성기를 설계 제안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Yun-Soo Ko(1999), "Design and Fabrication of PLL module for WLL" Department of Radio Science &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 Joon-Gyu Ryu(2001), "Design and Fabrication of Fractional-N PLL module for IMT-2000", Department of Radio Science &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3. Choong-Ho Zee(2005), "Design and Fabrication of DDS/PLL Hybrid Wideband Frequency Synthesizer", Department of Radio Science &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4. Ki-Jeong Lee(2003), "Design and Fabrication of DDS-driven PLL", Department of Radio Science &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5. Kyung-Soo Ha(2004), "Design and Fabrication of DDS/PLL Hybrid Frequency Synthesizer", Department of Radio Science &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6. Yong Kim(1999), "The Design and Fabrication of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in C-Band", Department of Radio Science &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7. Soo-Seul Hwang(2000), "Design and Fabrication of Dual-Mode PLL module using Switchable VCO", Department of Radio Science &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