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누룩으로부터 막걸리용 효모의 선별 및 최적 배양조건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the Yeast and Analysis of Qualities of Makgeolli Brewed with the Yeast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Nuruk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0 no.4, 2012년, pp.204 - 209  

강향린 (한국식품연구원 우리술연구센터) ,  이애란 (한국식품연구원 우리술연구센터) ,  권영희 (한국식품연구원 우리술연구센터) ,  김재호 (한국식품연구원 우리술연구센터) ,  김혜련 (한국식품연구원 우리술연구센터) ,  안병학 (한국식품연구원 우리술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통누룩으로부터 분리한 효모 중 입국을 발효제로 사용하여 담금 막걸리의 양조적성을 확인하였다. 그 첫 단계로 본 연구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알코올 발효 효모로 입국과 막걸리를 담근 결과 관능 및 이화학 분석에서 Y111-5 균주가 선별 되었다. 선별된 균주의 최적 배양 조건으로 기본 YPD배지 중 탄소원으로 sucrose 9%와 질소원으로 yeast extract 5%대체하여 사용 시, 기본 YPD배지에서 6.33 g/L로 생산되었던 균체가 최적배지에서 13.82 g/L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최적배지 선정에 이어 최적배양 시간 탐색을 위해 control배지와 최적배지를 함께 배양하여 생육곡선을 확인한 결과 최대 균체생산량은 15시간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novel yeast, Y111-5 for Makgeolli manufacture was selected from Nuruk yeasts, and its optimal culture condition were investigated. The Y111-5 strain was identified as Saccharomyces cerevisiae by phylogenetic analysis of 18S RNA sequence. The maximal growth was obtained when the ye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담금 후 젖산균의 발효작용으로 젖산 함량이 증가되는 것으로 추측되며 모든 막걸리에서 lactic acid와 succinic acid는 유기산 중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여 막걸리의 주 유기산으로 나타났다(Lee and Lee, 2000; Song, 1998)는 보고와 대체로 일치하였다(Table 6). 본 실험을 토대로 추후 발효제 중 막걸리 제조에 사용되는 누룩 및 조효소제와의 사용이 적합한 효모선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의 품질을 안정화하고 고급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막걸리 담금 시 첨가되는 발효제로 입국, 누룩, 조효소제 중 입국에 따른 적합한 효모 탐색과 효모의 대량 생산을 위해 최적 배양조건을 확립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국산 주류와 경쟁력이 있는 우리 술을 개발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외국산 주류와 경쟁력이 있는 우리 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주류제조에 있어 원천 자원인 우수 발효미생물의 탐색, 확보 및 개량 등의 종균에 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2009년 막걸리시장의 활성화에 부흥해 막걸리의 유리당, 아미노산, 유기산 등의 맛 성분에 관한 보고(Lee et al.
막걸리에 적합한 효모를 탐색하기 위해 균주의 동정을 한 방법은? 균주의 동정에는 미생물 동정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18s RNA sequencing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동정은 sequencing 전문 기관인 ‘마크로젠’에 의뢰하여 진행하였다.
막걸리시장의 수출 감소의 이유는? 이러한 증가추세를 보이던 막걸리시장은 2012년 9월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하였다. 수출 감소의 이유로는 일본에 진출한 일부 막걸리 제조업체들이 저가 수입쌀을 사용해 한국 막걸리에 대한 가치까지 하락시키고 제조공정에서 알코올 수득률 향상을 통한 원가절감에만 관심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Hong, S. W., Hah, Y. C. and Min, K. H. 1970. The biochemical constituents and their chang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Takju mashes and Takju. Korean J. Microbiol. 8:107-115. 

  2. JSBA. 1993. A Book with Notes National Tax Service Method of Analysis, 4th ed., Japan Sake Brewers Association, Tokyo, Japan. pp.27-30 

  3. Kim, A. R., Lee, S. Y., Kim, K. B., Song, E. J., Kim, J. H., Kim, M. J. and Ahn, D. H., 2008. Effect of Glycyrrhiza uralensis on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0:194-200 

  4. Kim, H. R. and Ahn, B. H. 2012. Screening and selection of yeasts for Makgeolli. Korean J. Food Sci. Industry. 44:12-17. 

  5. Kim, Y. H., Kang, S. W. and Lee, J. H. 2006. Optimization of medium components for cell mass produc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JUL3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479-483 

  6. Lee, H. S., Park, C. S. and Choi, J. 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56-62. 

  7. Lee, J. S., Lee, T. S., Park, S. O. and Noh, B. S. 1996.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316-323. 

  8. Lee, S. M. and Lee, T. S. 2000. Effect of roasted rice and defatted soybea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during fermentation. J. Nat. Sci. 12:71-79. 

  9. Lee, T. S. and Han, E. H. 2000.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by using Rhizopus japonicus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691-698. 

  10. Lee, W. K., Kim, J. R. and Lee, M. W. 1987. Studies of the changes in the free amino acids and organic acids of Takju prepared with different Koji strains. J. Korean Agric. Chem. 30:323-327. 

  11. Liquor manufacture textbook. 2010. NTS technology research center. NTS technology research center, Seoul, Korea. pp.89 

  12. Miller, G. 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426-428 

  13. Park, C. S. and Lee, T. S. 2002. Quality characteristic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296-302. 

  14. Park, J. C. and Ok, M. 200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high-glutathione producing Saccharomyces cerevisiae FF-8 from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and optimal producing condition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348-352. 

  15. Park, S. S., Kim, J. J., Yoon, J. A., Lee, J. H., Jung, B. O. and Chung, S. J. 2011.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with opuntiaficus-indica var., saboten and chitooligosaccharide. J. Chitin Chitosan. 16:164-169. 

  16. Shin, M. O., Kang, D. Y., Kim, M. H. and Bae, S. J. 2008. Effect of growth inhibition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on of Makgeoly fractions in various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288-293. 

  17. So, M. H., Lee, Y. S. and Noh, W. S. 1999. Changes in microor-ganisms and main components during Takju brewing by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Nutr. 12:226-232. 

  18. Song, J. C., Park, H. J. and Shin, W. C. 1997. Change of Takju qualities by addition of cyclodextrin during the brewing and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895-900. 

  19. Song, J. Y. 1998.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made of glutinous rice or barley. M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20. Song, S. H. and Kim, T. B. 2002. High density cell culture of Bifidobacterium by optimization of medium composition and culture condition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0:63-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