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배우자지지와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도시와 농촌 지역의 차이
Moderating Effect of Support from Spouse and Fami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Adapt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10, 2015년, pp.253 - 266  

김순옥 (신한대학교 간호학과) ,  임현숙 (호원대학교 간호학과) ,  정구철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와 농촌거주 결혼이주여성들의 결혼적응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배우자 및 가족지지의 조절효과가 거주 지역 별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거주 지역 특성에 맞는 중재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도시와 농촌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304명(도시 148명, 농촌 156명)이다. 연구결과 배우자 및 가족지지, 결혼적응도, 삶의 질은 농촌이 도시보다 낮았고, 거주 지역별 배우자 및 가족지지, 결혼적응도는 삶의 질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도와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배우자 및 가족지지의 조절효과가 있었고, 도시보다 농촌에서 더욱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거주지역과 상관없이 결혼이주여성이 결혼생활을 잘 영위하여 풍요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농촌과 도시의 특성에 맞는 거주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배우자지지, 가족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맞춤형 중재전략을 개발하여 적용해 볼 것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regarding the effect of the marriage immigrant women's marriage adaptation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on their quality of the life, is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the moderating effect of support from spouses and families for different areas of 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이 안정적인 결혼적응을 통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해 갈 수 있도록, 도시와 농촌거주 이주여성의 배우자 및 가족지지, 결혼적응도, 삶의 질의 정도가 거주 지역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거주 지역별로 결혼적응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배우자 및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근거로 지역특성에 알맞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배우자 및 가족지지, 결혼적응도와 삶의 질에 대해 거주지에 따른 차이와 결혼 적응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배우자 및 가족지지의 조절효과가 거주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도시와 농촌 거주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거주지역에 따라 배우자지지와 가족지지의 조절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도시와 농촌거주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거주지역에 따라 배우자 및 가족지지의 조절효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주여성들의 안정적인 삶을 위한 전략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들의 결혼적응도와 배우자 및 가족지지, 삶의 질에 대해 거주지에 따른 차이와 결혼적응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배우자지지와 가족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이 안정적인 결혼적응을 통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해 갈 수 있도록, 도시와 농촌거주 이주여성의 배우자 및 가족지지, 결혼적응도, 삶의 질의 정도가 거주 지역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거주 지역별로 결혼적응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배우자 및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근거로 지역특성에 알맞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05). 도시 거주자의 최종 모형Ⅲ의 Durbin- Watson값은 1.99로 나타나 오차항의 독립성을 가정하였고, 독립변수들의 다중공선성을 분산 팽창계수(VIF)로 확인한 결과 모두 1.46~3.54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었다. 즉, 도시 거주자의 경우 배우자지지가 낮을 때 결혼적응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강하였으며, 이를 도식으로 [Figure 2] 에 제시하였다.
  • 001). 지역 거주자의 최종 모형Ⅲ의 Durbin-Watson값은 1.93으로 나타나 오차항의 독립성을 가정하였고, 독립변수들의 다중공선성을 분산팽창계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로 확인한 결과 모두 1.28~5.15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었다. 즉, 농촌 거주자의 경우 배우자지지가 높을 때 결혼적응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강하였으며, 이를 도식으로 [Figure 1]에 제시하였다.
  • 001). 최종 모형 Ⅲ의 Dubin-Watson값은 2.16으로 나타나 오차항의 독립성을 가정하였고, 독립변수 =들의 분산팽창계수는 모두 1.29~5.45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었다. 즉, 농촌 거주자의 경우 가족지지가 높을 때 결혼적응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강하게 하며, 이를 도식으로 [Figure 3]에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삶의 질이란 무엇인가? 결혼이주여성이 급속하게 증가하면서 이주여성들의 삶의 질, 삶의 만족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5][8][20] 등에 대한 연구가 다수 수행되고 있으나, 도시와 농촌으로 구분하여 삶의 질의 차이를 분석하고, 거주 지역 형태에 따른 삶의 질을 증가시키기 위한 중재전략에 대한 연구는 시행된 바가 없다. 삶의 질은 개인의 주관적 만족감 또는 행복감을 뜻하는 포괄적 의미로서, 자신의 기본적인 생활에 필요한 주거환경, 기초 생활비, 직업과 주관적인 인식에 관련한 친구 관계, 관심과 사랑, 자존감 등을 말한다. 한국의 도시와 농촌은 소득, 업종, 문화 등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환경적 차이에 따른 가족과 배우자의 지지가 이주여성의 적응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다.
부부관계 적응척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결혼적응 척도는 Spanier[24]가 개발한 부부관계 적응척도(Dyadic Adjustment Scale: DAS)를 이민식 등[25]이 번역한 부부관계 적응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부부관계에서 주요문제에 대한 의견일치도(dyadic consensus, 0-65점) 13문항, 부부가 어떤 활동을 같이 참여하는 정도인 응집력(dyadic cohesion, 0-24점) 5문항, 현재 관계에 대한 만족 정도(dyadic satisfaction, 0-50점) 10문항, 애정표현과 성생활 만족도를 나타나는 애정표현(affectional expression, 0-24점) 4문항으로, 4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혼적응 척도는 가중치가 다른 32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항에 따라 0에서 1 혹은 0에서 6점까지 부여하였고, 관계에 대한 만족도 10문항 중 5문항, 애정표현 4문항 중 2문항은 역문항이며, 총 0점에서 151점사이의 범위를 가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결혼적응이 잘되는 것을 의미한다.
가족지지란 무엇인가? 가족지지는 가족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랑과 돌봄, 정보, 물질 등을 제공․교환하는 기능을 의미하며, 이주여성의 정착을 위한 사회적지지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16]. 특히 가족 중에서 배우자가 가장 중요한 지지망을 이루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법무부, 출입국 통계연보, 2012. 

  2. 법무부, 출입국.외국인 정책 통계월보 12월, 2014. 

  3. 한국여성복지회, 가족복지론, 청목출판사, 2005. 

  4. 통계청, 혼인통계, 2012. 

  5. 고은주,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6. 권복순, 차보현, "농촌지역 코시안 가정주부의 의 사소통 능력. 문화적정체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3호, pp.109-134, 2006. 

  7. 임아리, 결혼이주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8. 김정혜,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9. 보건복지부, 다문화가족의 중장기 전망 및 대책연구 : 다문화가족의 장래 인구추계 및 사회경제적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2009. 

  10. 이혜정, 외국인 며느리를 두고 있는 농촌노인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1. 보건복지부,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정책방안, 2005. 

  12. 양승민, 한국적 다문화상담의 모색을 위한 농촌 지역 결혼이민여성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반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3. 김수정, 직장-부부의사소통에 따른 직무만족, 결혼생활만족 및 삶의 질-Work & Lifebalance 관점에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4. 신정현, 결혼이주 여성의 가족 및 정서심리적 특성이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5. G. S. Jeong, Y. H. Kim, K. E. Park, E. A. Lee, J. H. Park, and S. A. Lee, Current status and Policy development for social support for th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living in Kyeonggido, Kyeonggido, Kyeonggido Family & Women's Research Institute, 2007. 

  16. 박명희, 김창숙, 서영숙, 서희숙, 노현신,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우울과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12권, 제2호, pp.67-88, 1998. 

  17. 최경숙,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8. 임효영, 김경신, "중년기 기혼여성의 사회적지원 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39권 제12호, pp.189-203, 2001. 

  19. 정의정, 하규수, "다문화가족 남성배우자의 이중 문화스트레스,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p.222-231, 2012. 

  20. 김혜자,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건강 교육 요구와 삶의 질",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5-11, 2008. 

  21.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and A. G. Lan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41, No.4, pp.1149-1160, 2009. 

  22. 박지원, 사회적 지지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23. 김순옥, 임현숙, 정구철,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 지지, 가족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221-235, 2013. 

  24. G. B. Spanier, "Measuring dyadic adjustment: New scale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38, pp.15-28, 1976. 

  25. 이민식, 김중술, "임상분과: 부부관계 적응척도의 표준화 예비연구",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291-299, 1995. 

  26.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의 개발", 대한신경정신학회지, 제39권, 제3호, pp.78-88, 2000. 

  27. 남인숙, 안숙희, "도시와 농촌 거주 결혼이주여성의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결혼만족도 비교",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7권, 제2호, pp.99-108, 2011. 

  28. 김오남,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29. 양순미, 유영주, "농촌부부의 배우자에 대한 역할기대, 역할수행평가, 역할상이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7권, 제1호, pp.75-91, 2002. 

  30. 박미정, 사회적 지지가 결혼이민여성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1. 이혜경,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 제28권, 제1호, pp.73-106, 2005. 

  32. 한건수, "농촌지역 결혼 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 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회지, 제39권, 제1호, pp.195-243, 2006. 

  33. 김진희, 박옥임, "농촌과 도시지역 국제결혼이주 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 비교 :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제18집, 제1호, pp.127-160, 2008. 

  34. 김한곤,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경북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제19집, 제1호, pp.83-120, 2009. 

  35. 윤명숙, 이해경,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부모됨을 통한 적응 경험", 한국가족복지학, 제32권, pp.103-135, 2011. 

  36. 이지혜, 여성결혼이민자의 부부관계만족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7. S. T. Cheng,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the planning and evaluation of program",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Vol.11, pp.123-143, 1988. 

  38. 최징자, 결혼이주여성의 부부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9. 박재규, "농촌과 도시 결혼이주여성의 취업 결정 요인 및 지원방안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제15권, 제1호, pp.7-33, 2013. 

  40. 김희옥,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김해시를 중심으로-, 가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41. 성도경, 이지영, "여성결혼이민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연구", 한국행정논집, 제22권, 제3호, pp.749-772, 2010. 

  42. 김연수, "서울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행복 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제21권, pp.1-36,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