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가족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ort from Spouse and Family on the Mental Health of Marriage Immigrant Wome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11, 2013년, pp.221 - 235  

김순옥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임현숙 (호원대학교 간호학과) ,  정구철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와 가족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12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결과로 상태불안은 출신국가, 결혼기간, 가족형태, 결혼형태, 모국에 방문경험, 한국어 능력, 우울은 배우자학력, 친정에 경제적 지원, 한국어 능력, 신체화 장애는 배우자 학력, 거주 지역, 직업에서 차이가 있었다. 또 상태불안과 우울은 가족지지 및 배우자지지, 신체화 장애는 가족지지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는 가족지지였으며, 상태불안에는 출신국가, 결혼기간, 결혼형태, 한국어 능력, 신체화 장애에는 배우자학력과 거주 지역, 직업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이주여성의 다면적이고 복합적인 이질문화생활에 적응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과 함께 가족지지 향상을 위한 간호학적 중재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support from spouse and family on the mental health of marriage immigrant women, this study was proposed in obtaining basic data for a mental health intervention program.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conducted on 129 marriage immigrant women as subjec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건강을 평가하는 유용한 지표인 우울과 상태불안, 신체화 장애 정도를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상태를 평가하고, 배우자 및 가족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가족지지, 정신건강정도를 파악하고, 배우자지지, 가족지지가 상태불안, 우울, 신체화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 가족지지는 중간이상이었지만 배우자지지는 중간이하로 낮았고, 상태불안, 신체화 장애는 중간이상, 우울은 중간이하로 나타났지만 우울 수준은 높았다.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가족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가족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와 가족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중재프로그램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각 독립변수들의 VIF값은 1.05∼3.37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었고, Durbin-Watson값도 1.91로 나타나 독립성을 가정하였다.
  • 각 독립변수들의 VIF값은 1.13∼3.23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었고, Durbin-Watson값도 2.01로 나타나 독립성을 가정하였다.
  • 각 독립변수들의 다중공선성을 분산팽창계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로 분석한 결과 1.20∼ 2.57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Durbin-Watson값도 2.08로 나타나 독립성을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한국사회는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 속하는 한국인 남성과 어디로부터 유입된 여성과의 국제결혼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인가? 최근 한국사회는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 속하는 한국인 남성과 중국, 필리핀, 베트남, 태국, 몽골 등으로 부터 유입해온 여성과의 국제결혼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통계청[1]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 결혼건수 중 국제결혼이 차지하는 비율은 10.
결혼을 하는 외국 여성의 국적을 높을 순서로 나타내면? 8%로 나타나 농촌이 도시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았다. 결혼을 하는 외국 여성의 국적은 중국이 46.9%로 가장 많고, 베트남 29.4%, 필리핀 6.6% 순으로 나타나 주로 아시아계 여성들과의 결혼 비율이 높았다. 이처럼 국제결혼이 증가하면서 우리나라도 이미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으며, 최근 세계화 추세와 함께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인구구성비의 불균형이 한국사회의 사회 문제로 나타는 현상을 고려해 볼 때 앞으로 다문화추세는 더욱더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전체 인구의 20%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제결혼은 전문가들의 중재가 필요할 정도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어려움이 있는데 우리나라에 국제결혼을 통해 이주해온 여성들의 직면한 어려움은? 그러나 국제결혼은 전문가들의 중재가 필요할 정도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어려움을 파생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우리나라에 국제결혼을 통해 이주해온 여성들은 결혼 후 새로운 문화와 언어, 음식 등 생활습관의 차이에서 오는 문화적 갈등, 의사소통의 어려움, 가부장적이고 보수적인 한국사회의 인습으로 인해 나타나는 남편의 폭행과 학대, 자녀 양육의 어려움, 사회 구성원으로서 저 평가 받는 차별과 편견, 가계의 곤란 등으로 인해 심리적으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3]. 이러한 전반적인 어려움은 가정불화로 이어져 가정폭력에 노출되고, 이로 인해 가출과 높은 이혼율을 보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통계청, 혼인통계 2010, 2011 

  2. 안옥희, 전미순, 황윤영, 김경애, 윤미선. "국제결혼 이주여성 건강관련 선행연구 분석", 농촌의학, 지역보건, 제35권, 제2호, pp.134-150, 2010. 

  3. 권복순, 차보현, "농촌지역 코시안 가정의 주부의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정체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3호, pp.109-134, 2006. 

  4. Y. C. Huang and N. J. Mathers, "Postnatal depression and the experience of South Asian marriage migrant women in Taiwan: Survey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45, No.6, pp.924-931, 2008. 

  5. H. I. McCubbin, "Integration coping behaviors in family stress theor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41, No.2, pp.237-244, 1979. 

  6. A. Arieli, I. Gilat, and S. Aycheh, "Suicide among Ethiopian Jews: A survey conducted by means of a psychological autopsy,"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184, pp.317-319, 1996. 

  7. G. S. Jeong, Y. H. Kim, K. E. Park, E. A. Lee, J. H. Park, and S. A. Lee, Current status and Policy development for social support for th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living in Kyeonggido, Kyeonggido: Kyeonggido Family & Women's Research Institute, 2007. 

  8. 정의정, 하규수, "다문화가족 남성배우자의 이중 문화스트레스,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2권, 제2호, pp.222-231, 2012. 

  9. 노연희,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아 존중감, 가족지지 및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0. 이현우,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역기능적 의사 소통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조절 효과 검증, 성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1. 노하나, 중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문화적응 유형과 이주여성이 인지한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2. S. K. Kim, Y. K. Kim, A. J. Cho, H. R. Kim, H. K. Lee, and D. H. Seol, Survey on multi-culture family in South Korea.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Justic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Korea Institute for Health & Social Affairs, 2010. 

  13. 김혜자,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건강 교육 요구와 삶의 질",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5-11, 2008. 

  14. 박지원, 사회적 지지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15. 김은실, 정신장애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정신 장애인이 인지한 가족기능 및 가족지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6. C. D. Spielberger, "Anxiety on emotional state," Current trend in theory and research, Vol.1, pp.488-493, NY: Academic Press, 1972. 

  17. 김정택, 신동균, "STAI의 한국표준화에 관한 연구", 최신의학, 제1권, 제1호, pp.69-75, 1978. 

  18. A. T. Beck, C. H. Ward, M. Mendelson, J. Mock, and J. Erbaugh,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1, No.4, pp.561-571, 1961. 

  19. 한홍무, 염태호, 신영우, 김교헌, 윤도준, 정근재, "Beck Depression Inventory의 한국판표준화 연구 : 정상집단을 중심으로", 신경정신의학, 제25 권, 제3호, pp.487-500, 1986. 

  20. L. R. Derogatis, SCL-90(Revised) Manual I, Clinical Psychomerics Research Unit,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977. 

  21.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연구소, 1984. 

  22. Thanh, Ha Minh, 1992년 이후 한국과 베트남사이의 국제결혼에 대한 연구 : 베트남 여성의 문화적 적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3. 남인숙, 도시와 농촌거주 결혼이주여성의 스트레스, 배우자지지와 결혼만족도에 관한 비교,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4. D. Felmlee and M. I. Clark, "Interethnic relationship: The role of society network diversit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66, pp.293-305, 2004. 

  25. B. E. Vanfossen, "Sex differences in the mental health effects of spouse support and equit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2, No.2, pp.130-147, 1981. 

  26. 김남영, 가족지지가 간경변증 환자의 자가 간호와 질병상태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7. 이미경,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영적 안녕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8. L. M. Wright, and M. Leahety, "Interventing with families with chronic illness," Family system medicine, Vol.3, No.1, pp.60-69, 1985. 

  29. 이정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유형별 불안, 우울,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과 결혼만족도,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30. 김혜순, 이명희, "재가 양육미혼모가 지각한 자아 존중감, 사회적지지, 상태불안 간의관계",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2권, 제11호, pp.225-235, 2012. 

  31. 권명희, 결혼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심리사회적 자원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2. 김현실,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정신간호학회지, 제20권, 제2호, pp.188-198, 2011. 

  33. 양옥경, 김연수, "서울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6권, pp.79-110, 2007. 

  34. 김은재,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기도와 충남(천안.아산)지역 거주-,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5. 조맹제, 장성만, 함봉진, 정인원, 배안, 이영문, 안준호, 원승희, 손정우, 홍진표, 배재남, 이동우, 조성진, 박종익, 이준영, 김진영, 전홍진, 이해우, "한국 주요정신장애의 유병률 및 관련요인 : 2006 전국정신질환역학조사", 신경정신의학, 제48권, 제3 호, pp.143-152, 2009. 

  36. 김정선, 신경림, "성인여성의 우울과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34 권, 제2호, pp.352-361, 2004. 

  37. 김인철,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8. 통계청, 우리나라 가구당 소득통계자료 2012년, 2013. 

  39. 고은주,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 적응 스트레스, 가정폭력,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외상후 스트레스와 심리건강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0. 김선희, 여성결혼이민자의 생활실태 및 결혼행 복감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1. 지혜정,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과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42. 표현영, 국제결혼 가정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경상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3. 임수진, 오수성, 한규석,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 -광주.전남지역 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제14권, 제4호, pp.515-528, 2009. 

  44. S. Sumer, S. Poyrazli, and K. Grahame, "Predictors of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Vol.86, pp.42-47,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