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ICT기업에서 변혁적 리더십, 조직신뢰, 리더의 감성지능 및 창의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rust in Organization,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Members' creativity in ICT Secto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10, 2015년, pp.400 - 412  

김신호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미래ICT융합학과) ,  정지연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미래ICT융합학과) ,  정재진 (단국대학교 공학대학 멀티미디어공학과) ,  박재춘 (단국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ICT기업에서 창의성에 대해 구성원들이 느끼는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를 검증함과 동시에 리더의 감성지능조절효과조직신뢰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ICT기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첫째,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창의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조직신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조직신뢰 역시 구성원들의 창의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넷째,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조직신뢰의 매개역할을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리더의 감성지능은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보였다. 즉,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성의 긍정적인 관계는 리더의 감성지능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론을 통해,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amo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trust, and creativity in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company. Also the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or effect of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mediator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ICT기업에서 창의성에 대해 구성원들이 느끼는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를 검증함과 동시에 리더의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및 조직신뢰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에 대한 핵심영향요인중 하나가 리더십과 관리행동이라는 선행연구[4]에 기초하여,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매개(조직신뢰) 및 조절변인(리더의 감성지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먼저 국내외 선행연구(예: Aryee 등, 2008, 배성현․채순화, 2004)들은 신뢰를 어떠한 두 개념을 연결해 주는 매개변인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주장하고 있으며[5], 실증연구(예: Podaskoff 등, 1990[6])에서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시민행동, 조직몰입 등 종업원태도의 관계에서 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 특히, 변혁적 리더가 구성원들의 내재적 동기를 강화하여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Amabile(1996)의 주장과 같이[7],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성의 관계는 매개변인으로 연결되는 메커니즘을 보이고 있음에도, 매개변인에 대한 국내외 연구(예: 혁신적 자기효능감[8], 심리적 안정분 위기[9], 조직후원인식[10])는 매우 한정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변혁적 리더들이 구성원의 창의성을 강화하는 데에 있어서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둘째, Jo et al.(2015)의 주장처럼[25], 신뢰와 개인 창의성의 선행연구 결과가 일관성을 보이지 못하고 있으며, 신뢰 중 리더 신뢰에 국한되어 연구되고 있는 현실에서 본 연구는 조직신뢰와 개인 창의성의 긍정적인 관계를 증명함과 동시에 신뢰와 창의성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였다. 따라서 지속적인 창의성 발휘로 참신하고 유용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구성원 간의 신뢰와 조직에 대한 신뢰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주장[1][25][40]과 같이, ICT기업에서 개인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조직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는 것이 먼저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조직실무자들은 구성원들의 조직에 대한 신뢰를 강화하기 정책대안 마련이 중요하다 하겠다.
  • (2011)의 주장처럼,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성의 관계가 조절변인(리더의 감성지능)에 의존하는 것을 확인함과 동시에 조절변인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였다. 즉, 변혁적 리더십은 리더의 감성지능에 따라 구성원들의 창의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주장[14]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리더의 감성지능이 변혁적 리더십과 개인 창의성의 관계를 조절함을 실증하였다. 예를 들어, 변혁적 리더십과 개인 창의성의 긍정적인 관계는 리더의 감성지능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더욱 높았다.

가설 설정

  • 가설 1: 변혁적 리더십은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 가설 2: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 가설 3: 조직신뢰는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 감성지능은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성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즉,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성의 긍정적인 관계는 리더의 감성지능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더욱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ass는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로 무엇을 제안하였는가? Bass(1985)는 초기에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를 카리스마 혹은 이상적 영항력, 개별적 배려, 지적자극이라는 3가지 하위요소를 제안하였으나, 향후 카리스마에 포함된 분발 고취를 하위요소로 분리하였다[15]. 먼저 이상적 영향력은 리더가 문제의 난관을 극복하고 변혁을 추구함으로써 구성원들에게 자긍심과 신념을 심어 주는 것을 말한다.
변혁적 리더란 무엇인가? 처음 변혁적 리더십을 제시한 Burns(1978)는 사회적 체계의 변화와 조직의 혁신을 위한 힘을 동원하는 과정이라고 변혁적 리더십을 정의하면서, 변혁적 리더는“추종자들의 의식, 가치관, 태도의 혁신을 추구하는 리더”라고 주장하였다[10]. 이처럼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들로 하여금 개인적 이해관계를 넘어, 상위수준의 욕구를 제고시키는 방법을 통해, 가치 있는 성과를 달성하도록 동기부여 시키는 리더십으로 정의할 수 있다[14].
ICT기업의 경영환경에서 조직신뢰가 중요한 과제로 제언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따라서 ICT기업의 경영환경에서 조직의 생존과 번영은 조직 구성원들이 갖는 조직에 대한 신뢰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조직신뢰가 중요한 과제로 제언되는 것은 조직과 구성원 간에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신뢰의 형성은 조직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다주는 중요한 요소로서 국내외 여러 연구자들은 조직신뢰의 매개역할을 규명하고 있으며, 주요 선행변수로는 리더십, 공정성, 조직후원인식 등이며, 결과변수로는 조직시민행동, 조직몰입 등이다[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서영욱, 채성욱, 이건창, "국내 ICT기업에서 신뢰와 지식공유가 개인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지식경영 학술심포지움, pp.113-121, 2014. 

  2. G. D. Skinner, "A study into fostering entrepreneurship i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 and Communications, Vol.4, No.2, pp.108-116, 2008. 

  3. 박재춘, 정지연, 정재진, "ICT기업에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내재적 동기부여, TMX, 창의성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607-619, 2015. 

  4. N. Anderson, K. Potocnik, and J. Zhou, "Innovation and Creativity in Organizations: A State-of-the-Science Review, Prospective Commentary, and Guiding Framework", J. of Management, Vol.40, No.5, pp.1297-1333, 2014. 

  5. 문형구, 최병권, 내은영, "국내 신뢰 연구의 동향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 경영학연구, 제40권, 제1호, pp.139-186, 2011. 

  6. P. M. Podsakoff, S. B. MacKenzie, R. H. Moorman, and R. Fetter, "Transformational Leader Behaviors and Their Effects on Followers' Trust in Lead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Leadership Quarterly, Vol.1, pp.107-142, 1990. 

  7. T. M. Amabile, Creativity in Context, Boulder, CO: Westview Press, 1996. 

  8. S. Mittal and R. L. Dha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Mediating role of creative self-efficacy and moderating role of knowledge sharing", Management Decision, Vol.53, No.5, pp.894-910, 2015. 

  9. C. Li, H. Zhao, and T. M. Begle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mensions and employee creativity in China: A cross-level analysi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8, No.6, pp.1149-1156, 2015. 

  10. 김봉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 대한 매개효과 연구", 한국비즈니스리뷰, 제4권, 제2호, pp.1-33, 2011. 

  11. K. Rosing, M. Frese, and A. Bausch, "Explaining the heterogeneity of the leadership-innovative relationship: Ambidextrous leadership", Leadership Quarterly, Vol.22, pp.956-974, 2011. 

  12. J. Zhou and J. N. George, "Awakening employee creativity: The role of leader emotional intelligence", The Leadership Quarterly, Vol.14, No.4-5, pp.545-568, 2003. 

  13. 홍계훈, 조윤형, 이창준, "직무특성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감성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콜센터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인사조직연구 제17권, 제3호, pp.1-39, 2009. 

  14. B. M. Bass,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New York: Free Press, 1985. 

  15. B. M. Bass and B. J. Avoli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evelopment: Manual for the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Palo Alto C. 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90. 

  16. S. Shin and J. Zhou,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nservation, and creativity evidence from Korea",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6, No.6, pp.703-714, 2003. 

  17. 정동섭, "CEO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혁신의 관계", 경영과 정보연구, 제33권, 제5호, pp.55-70, 2014. 

  18. 안필용, 양해술, "변혁적 리더십과 신뢰가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7호, pp.147-157, 2014. 

  19. 남택영, "관광호텔 상사리더십이 상사신뢰와 종사원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1호, pp.412-442, 2012. 

  20. R. C. Mayer, J. H. Davis, and F. D. Schoorman,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Academy of Management, Vol.20, No.3, pp.709-734, 1995. 

  21. J. Cook and T. Wall, "New work attitude measures of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sonal need non-fulfillment", J.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53, No.1, pp.39-52, 1980. 

  22. L. T. Hosmer, "Trust: The conneting link between organizational teory and philosophical ethic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0, No.2, pp.379-493, 1995. 

  23. C. F. Sabel, "Studied trust: building new forms of cooperation in a volatile economy, Foray Dominique and Christropher Freeman (eds)", Technology and the wealth of nations, The dynamics of constructed advantage, London: Pinter, pp.332-352, 1991. 

  24. 김호균, "조직공정성인식, 조직신뢰, 조직시민행 동간 영향관계분석", 한국행정학보, 제41권, 제2호, pp.69-94, 2007. 

  25. N. Y. Jo, K. C. Lee, D. S. Lee, and M. Hahn, "Empirical analysis of roles of perceived leadership styles and trust on team members' creativity: Evidence from Korean ICT compani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42, pp.149-156, 2014. 

  26. 김기근, 문명, 조윤형,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비전 인식과 조직변화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조직신뢰의 매개역할",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0권, 제3호, pp.115-143, 2013. 

  27. J. P. Guilford, "Creativity: Retrospect and prospect",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Vol.4, pp.149-168, 1970. 

  28. 김현진, 개인창의성과 집단창의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9. J. Lee, H. Lee, and J. Park, "Exploring the impa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knowledge sharing, absorptive capacity and team performance in IT service", Information Technology & People, Vol.27, No.3, pp.366-386, 2013. 

  30. 류은영,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중앙 지방행정기관의 리더십, 리더 감성지능 및 혁신행동간의 관계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20권, 제4호, pp.141-169, 2010. 

  31. P. Salovey and J. D. Mayer,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 Cogn. Personal, Vol.9, pp.185-211, 1990. 

  32. J. D. Mayer and P. Salovey,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ovey, D. Sluyter,(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s.Basic Books, New York, 1997. 

  33. C. S. Wong and K. S. Law,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 An exploratory", The Leadership Quarterly, Vol.13, No.3, 2002. 

  34. R. W. Woodman, J. E. Sawyer, and R. W. Griffin,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8, pp.293-321, 1993. 

  35. V. U. Druskat and S. B. Wolf, "Build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Group", Harvard Business Review, Vol.79, No.3, pp.80-89, 2001. 

  36. I. Zhou and J. M. George, "When Job Dissatisfaction Leads to Creativity: Encouraging the Express of Voi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4, pp.682-696, 2001. 

  37. F. Ashraf and M. A. Khan, "Does emotional intelligence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job performance?", Asian Business & Management, Vol.13, No.2, pp.171-190, 2014. 

  38. B. J. Avolio and B. M. Bass, "Individual consideration viewed at multiple levels of analysis: A multi-level framework for examining the diffus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dership Quarterly, Vol.6, pp.199-218, 1995. 

  39. D. Jung and B. Avolio, "Opening the black box: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mediating effects of trust and value congruence on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1, pp.949-64, 2000. 

  40. T. M. Amabile,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10, pp.123-130, 1988. 

  41. 배성현, 채순화, "변혁적 리더십과 다차원적 신뢰 및 다중 조직몰입과의 관계연구", 경영연구, 제19권, 제2호, pp.318-350, 2004. 

  42. 이화용, 장영철,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의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사관리연구, 제28권, 제4호, pp.215-247, 2004. 

  43. B. M. Bass and B. J. Avolio, The Multifactor Ledership Questionnaire Form 5-45.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1995 

  44. R. C. Nyhan and H. A. Marlowe Jr.,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organizational trust inventory", Evaluation Review, Vol.21, No.5, pp.614-635, 1997. 

  45.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46. L. S. Aiken and S. G. West,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 York: Sage,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