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농림수산 식품부 자료에 따르면 국내 식용 옥수수 재배 면적은 약 15,000 ha, 생산량은 74,399 톤이며, 옥수수의 식량 자급률은 3,8%, 곡물자급률은 0.9% 내외로 소비량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옥수수 전체 수입량의 75%가 사료용, 23%가 가공용으로 국내 사료 및 산업소재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옥수수 수입대체 및 품종 개발과 관련된 국내 연구는 내수를 위하여 제한적으로 수행되어 왔기 때문에 그 동안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종자시장이 협소한 국내보다는 해외를 대상으로 한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현재 동남아시아는 외국 투자 유치를 자국 경제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고 외국인 투자자에 대해 면세혜택까지 부여하며 각종 지원책을 내세워 투자를 유도하고 있다. 최근 동남아시아의 경제 성장과 더불어 노동임금과 토지임대료가 올라 농업이 점점 어려워진다는 얘기도 있지만 농업 기계화와 선진 영농을 접목시켜 노동생산성을 높이면 우리나라보다는 발전의 여지가 많이 남아있는 땅이다. 특히 세계적으로 축산물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옥수수를 이용한 가공식품 및 사료작물의 활용은 좋은 아이템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동남아시아를 대상으로 하는 해외식량기지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해외 수출용 옥수수 품종을 개발하여 개발 품종에 대한 마케팅 판매 전략의 수립을 목적으로 진행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동남아시아의 주요 곡물 생산량 중 옥수수의 생산량은 1990년대를 기점으로 가축 사육 증가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옥수수 재배 농가의 재래종 사용 및 농사를 위한 기본 인프라 시설과 열악한 관개시설, 수확 후 관리기술의 미흡으로 단위면적당 생산성은 낮은 편이다. 최근 급속한 기후 변화로 인한 수량감소도 생산성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내재해 다수성 교잡종 품종의 수요 및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다. 2. 인도네시아는 1992년부터 3계교잡을 이용하여 개발된 품종이 보급되기 시작하여 2001년 부터는 단교잡 품종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고 캄보디아는 사료용 옥수수의 거의 대부분을 CP 캄보디아가 농가로부터 수매하여 사료를 제조하고, 농가는 이 회사로부터 옥수수 종자를 구매하여 재배하는 상호 유기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2010년 이후 캄보디아의 주요 재배 품종은 몬산토의 DK8868, DK9955, 신젠타의 NK6326, NK7328, CP그룹의 CP333 등 여전히 다국적 기업 및 현지 로컬 기업의 품종이 재배되고 있었다.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서 많은 양의 옥수수를 수입하는 대표적인 국가 중 하나로 1990년부터 2011년까지 평균 수입량이 수출량의 13배에 달한다. 또한 경제성장 및 육류소비의 증가로 인한 사료용 옥수수의 수입으로 베트남의 옥수수는 주변 국가에 비해 높은 시장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베트남 정부는 정책적인 투자로 생산 효율성 향상을 위해 LVN-10과 같은 다양한 개량종 품종을 개발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해충저항성, 제초제저항성 품종과 같은 GM작물의 재배를 승인 하였다. 이는 2020년까지 지속가능한 농업을 장려하는 계획과 맞물려 GM작물을 30~50%까지 늘려 농산물의 품질을 개선하여 농촌소득을 증진시킬 계획이다. 3. 국내의 협소한 종자 시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동남아시아에 우리 농업관련 기관이나 민간기업 등이 진출하려면, 현지의 투자환경과 여건을 사전에 조사하고 외국인과 외국기업에 관련된 법규 및
2012년 농림수산 식품부 자료에 따르면 국내 식용 옥수수 재배 면적은 약 15,000 ha, 생산량은 74,399 톤이며, 옥수수의 식량 자급률은 3,8%, 곡물자급률은 0.9% 내외로 소비량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옥수수 전체 수입량의 75%가 사료용, 23%가 가공용으로 국내 사료 및 산업소재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옥수수 수입대체 및 품종 개발과 관련된 국내 연구는 내수를 위하여 제한적으로 수행되어 왔기 때문에 그 동안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종자시장이 협소한 국내보다는 해외를 대상으로 한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현재 동남아시아는 외국 투자 유치를 자국 경제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고 외국인 투자자에 대해 면세혜택까지 부여하며 각종 지원책을 내세워 투자를 유도하고 있다. 최근 동남아시아의 경제 성장과 더불어 노동임금과 토지임대료가 올라 농업이 점점 어려워진다는 얘기도 있지만 농업 기계화와 선진 영농을 접목시켜 노동생산성을 높이면 우리나라보다는 발전의 여지가 많이 남아있는 땅이다. 특히 세계적으로 축산물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옥수수를 이용한 가공식품 및 사료작물의 활용은 좋은 아이템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동남아시아를 대상으로 하는 해외식량기지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해외 수출용 옥수수 품종을 개발하여 개발 품종에 대한 마케팅 판매 전략의 수립을 목적으로 진행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동남아시아의 주요 곡물 생산량 중 옥수수의 생산량은 1990년대를 기점으로 가축 사육 증가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옥수수 재배 농가의 재래종 사용 및 농사를 위한 기본 인프라 시설과 열악한 관개시설, 수확 후 관리기술의 미흡으로 단위면적당 생산성은 낮은 편이다. 최근 급속한 기후 변화로 인한 수량감소도 생산성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내재해 다수성 교잡종 품종의 수요 및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다. 2. 인도네시아는 1992년부터 3계교잡을 이용하여 개발된 품종이 보급되기 시작하여 2001년 부터는 단교잡 품종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고 캄보디아는 사료용 옥수수의 거의 대부분을 CP 캄보디아가 농가로부터 수매하여 사료를 제조하고, 농가는 이 회사로부터 옥수수 종자를 구매하여 재배하는 상호 유기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2010년 이후 캄보디아의 주요 재배 품종은 몬산토의 DK8868, DK9955, 신젠타의 NK6326, NK7328, CP그룹의 CP333 등 여전히 다국적 기업 및 현지 로컬 기업의 품종이 재배되고 있었다.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서 많은 양의 옥수수를 수입하는 대표적인 국가 중 하나로 1990년부터 2011년까지 평균 수입량이 수출량의 13배에 달한다. 또한 경제성장 및 육류소비의 증가로 인한 사료용 옥수수의 수입으로 베트남의 옥수수는 주변 국가에 비해 높은 시장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베트남 정부는 정책적인 투자로 생산 효율성 향상을 위해 LVN-10과 같은 다양한 개량종 품종을 개발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해충저항성, 제초제저항성 품종과 같은 GM작물의 재배를 승인 하였다. 이는 2020년까지 지속가능한 농업을 장려하는 계획과 맞물려 GM작물을 30~50%까지 늘려 농산물의 품질을 개선하여 농촌소득을 증진시킬 계획이다. 3. 국내의 협소한 종자 시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동남아시아에 우리 농업관련 기관이나 민간기업 등이 진출하려면, 현지의 투자환경과 여건을 사전에 조사하고 외국인과 외국기업에 관련된 법규 및
The maize production in South-eastern Asian countries showed a continuous increase with increasing poultry-livestock from the beginning of the 1990s to early 2010. Also the need for a new variety development of each contries was increased rapidly in the same period. Single-Cross hybrid varieties hav...
The maize production in South-eastern Asian countries showed a continuous increase with increasing poultry-livestock from the beginning of the 1990s to early 2010. Also the need for a new variety development of each contries was increased rapidly in the same period. Single-Cross hybrid varieties have been developed and supplied from 2001 instead of multi-cross maize varieties since 1992 in Indonesia. In Cambodia, CP group is mainly manufacturing feeds with most of the forage maize from farmers who are growing its seeds from the company. Cambodian main cultivars are varietie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such as DK8868 from Monsanto, NK6326, NK7328 from Syngenta and CP333 from CP group including local business company. Vietnam is the main maze importing country in South-Eastern Asia which had imported 13 times scale of amount compared to exports in average from 1990 to 2011. Vietnamese government has developed a range of varieties for improving their efficiency in production, such as the LVN-10 with political investments. Their production has been reached to 80% of the total. According to the 2012 MIFAFF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data in Korea, domestic edible maize cultivation area was approximately 15,000ha. It showed 74,399 tons of production, 3.8% of food self-sufficiency in maize and around 0.9% of grain self-sufficiency rate. The consumption of grain is mostly rely on imports in Korea.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domestic seed market and increase maize self-sufficiency, the need to develop maze varieties for world-class is increasing at present through analyzing the market trend and prospect of the seed industry in South-eastern Asia.
The maize production in South-eastern Asian countries showed a continuous increase with increasing poultry-livestock from the beginning of the 1990s to early 2010. Also the need for a new variety development of each contries was increased rapidly in the same period. Single-Cross hybrid varieties have been developed and supplied from 2001 instead of multi-cross maize varieties since 1992 in Indonesia. In Cambodia, CP group is mainly manufacturing feeds with most of the forage maize from farmers who are growing its seeds from the company. Cambodian main cultivars are varietie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such as DK8868 from Monsanto, NK6326, NK7328 from Syngenta and CP333 from CP group including local business company. Vietnam is the main maze importing country in South-Eastern Asia which had imported 13 times scale of amount compared to exports in average from 1990 to 2011. Vietnamese government has developed a range of varieties for improving their efficiency in production, such as the LVN-10 with political investments. Their production has been reached to 80% of the total. According to the 2012 MIFAFF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data in Korea, domestic edible maize cultivation area was approximately 15,000ha. It showed 74,399 tons of production, 3.8% of food self-sufficiency in maize and around 0.9% of grain self-sufficiency rate. The consumption of grain is mostly rely on imports in Korea.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domestic seed market and increase maize self-sufficiency, the need to develop maze varieties for world-class is increasing at present through analyzing the market trend and prospect of the seed industry in South-eastern Asia.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러한 옥수수 종자 산업 육성의 필요성은 3~7월에 집중되어 있는 국내 옥수수 재배환경 제한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동남아를 해외기지로 이용하여 1년 내내 품종 개량 및 재배육성이 가능한 시스템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남아에서 생산되는 옥수수의 생산량과 재배면적 등의 실태를 파악하고 유통 현황을 분석하여 국내 농산업체의 해외 진출 및 우수 품종 수출 증진을 위한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인도네시아 농촌에 살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식량작물 재배에 종사하고 있다. 벼, 콩, 옥수수 및 땅콩은 논과 중간 정도의 고도에서 재배되는데 콩, 옥수수 및 땅콩은 벼를 대체하는 작물로 해충을 방지하고, 농민들의 수입을 유지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벼를 제외하고 가장 보편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작물은 콩, 옥수수, 땅콩 및 고구마이고 동부자바의 북부해안과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칠리와 쪽파를 재배한다.
인도네시아 농업부는 농업발전전략(2010~2014)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농업 생산성 증대를 통한 주요 작물의 자급자족 달성을 추진 중에 있다. 농지 액세스 개선을 위한 농업 인프라를 확충하고 농산물 가공 및 유통 등의 기술 개발 보급 및 인재 육성을 통해 사탕수수, 옥수수, 쌀 등 주요 작물의 자급자족을 달성하는 것이 목표이다. 최근에는 농산물의 자급자족 뿐 아니라 대통령령으로 석유 소비량의 10%를 바이오 연료로 대체할 것을 지시하였고, 따라서 바이오 연료의 원료 작물인 팜, 카사바, 사탕수수, 옥수수 등의 작물이 농업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대상 데이터
캄보디아의 옥수수 종자는 주요 곡창지대인 북부지역 Battambang 주, Banteay Mean Chey 주, Pailin 시에서 CP888, CP999, CPAAA 등을 주로 재배하였다(Table 12).
성능/효과
2007년에는 옥수수의 총 생산량과 국내로 수급되는 사료용 옥수수의 양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시장 가격으로 거래가 되었다(Table 11). 전체적으로 캄보디아의 옥수수 시장 가격은 2009년도에 전년 대비 하락한 것을 제외하고는 2002년 이후 매년 꾸준히 상승하였고 2002년 대비 2012년의 가격은 4.2배 정도의 상승폭을 보였다. 옥수수의 월별 가격은 수확이 시작되는 9~10월을 기점으로 시장공급량이 가장 많은 11월에 가장 낮은 가격을 보였고 대부분의 수확이 끝나고 물량이 줄어드는 1~2월을 기점으로 5월까지 지속적으로 가격이 상승하였다.
Korea Safety Clearing House (한국바이오 안전성정보센터, 2014)의 뉴스에 의하면, 베트남 농업·농촌 개발부(Ministry of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MARD)는 2012년부터 신중한 검토를 거치고 베트남 GM 식품 및 사료 안전성위원회(Council of Food Safety for GM Food and Animal Feed)로부터 승인을 받은 다음 4종의 GM옥수수를 식용 및 사료용으로 허가하였다. 4종의 GM옥수수는 Syngenta의 Bt11, MIR162와 Monsanto의 MON89034, NK603으로 MON89034, NK603, Bt11은 해충저항성 품종이고 NK603은 glyphosate 제초제저항성 품종이다. 이러한 활동은 2020년을 목표로 지속 가능한 농업을 장려하는 계획과 일치하는 것으로 베트남 정부는 2020년까지 GM작물을 약 30~50%까지 늘려 농업국가인 베트남에서 지속 가능 한 농업을 육성할 뿐 아니라 농산물의 품질을 개선하여 농촌소득을 증가시킬 계획이다.
후속연구
또한 인도네시아의 육류 생산·소비량이 증가(Table 3)함에 따라 가금류의 사육두수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사료용 옥수수의 소비량도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옥수수의 생산량은 늘어났지만 1996년도 이후 인도네시아의 옥수수 수입은 매년 증감 폭의 차이는 있지만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Table 9). 이는 총 인구수 세계 3위의 국가로 매년 증가하는 인구수와 함께 옥수수의 식량 소비량과 사료용 옥수수의 꾸준한 소비로 인한 결과로 시장 경쟁력을 갖춘 사료용 옥수수 품종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국내의 협소한 종자 생산 시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해외 옥수수 생산기반 구축을 통한 품종 개발과 해외 투자지원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세계의 종자시장은 다국적 기업의 주도하에 형성되고 있으며, 소수의 회사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실정이다.
동남아시아 종자 수출 시장의 진입 및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기존의 고품질 채소 종자 생산 기술을 활용하여 고순도 고품질의 옥수수 생산 및 판매로 가격 인상 요인을 확보하고 국가별 맞춤 품종 개발을 통해 마케팅 및 가격 경쟁력을 갖춘 정책을 펼쳐야 한다. 또한 국내에서의 제한적인 육종시기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해외 연구소를 활용한 육종연한의 단축을 통해 우수한 품종 육성 기회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기존 육종에 생명공학기술을 접목하여 열대 및 아열대에서 재배 가능한 우수한 품종개발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증진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국내에서의 제한적인 육종시기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해외 연구소를 활용한 육종연한의 단축을 통해 우수한 품종 육성 기회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기존 육종에 생명공학기술을 접목하여 열대 및 아열대에서 재배 가능한 우수한 품종개발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증진시켜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극복을 위해 품종 복제가 불가능하고 균일성이 100%에 이를 수 있는 세포질웅성불임성을 이용한 품종의 육종 기술이 꾸준히 진행·발전되어 왔다. 채소 육종에서 습득한 국내의 우수한 웅성 불임기술과 세계적 수준의 교잡 육종기술을 활용하여 고순도의 종자생산 품질경쟁력을 키워야 할 것이다. 또한 전통적인 방법의 육종에 국한 되지 않고 Finger Printing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원 그룹화 기술, DNA Marker를 이용한 유용 형질 선발기술, 조직배양을 이용한 고정계통 확보 기술 등의 접목을 통해 세계 굴지의 글로벌 농업회사의 70~80% 수준인 기술 및 품질 경쟁력을 비슷한 수준으로 끌어올려야할 것이다.
R&D 작물 교육을 받은 직원을 마케팅 요원으로 활용하여 현지 거래처 및 농민에게 작물교육을 실시하여 국내 개발 품종의 광고효과를 창출할 뿐만 아니라 국가별, 작물별 품종 요구도를 조사하여 육종 방향을 설정하고 현지 국가의 종자 업무 담당자와의 업무 협의체계 구축 및 유대를 강화하여 경쟁력을 갖춰야 할 것이다.
채소 육종에서 습득한 국내의 우수한 웅성 불임기술과 세계적 수준의 교잡 육종기술을 활용하여 고순도의 종자생산 품질경쟁력을 키워야 할 것이다. 또한 전통적인 방법의 육종에 국한 되지 않고 Finger Printing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원 그룹화 기술, DNA Marker를 이용한 유용 형질 선발기술, 조직배양을 이용한 고정계통 확보 기술 등의 접목을 통해 세계 굴지의 글로벌 농업회사의 70~80% 수준인 기술 및 품질 경쟁력을 비슷한 수준으로 끌어올려야할 것이다.
이러한 거점기지는 해외 현지의 고객동향, 경쟁현황 및 시장수요 등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수집 및 분석의 역할을 수행한다. 현지 목표 시장별 거래처 개발과 전략적 사업파트너십의 마련을 통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기술 및 품질 경쟁력을 갖춘 품종들의 영업마케팅 전략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물론 국내의 경우 국제식물신품종보호제도가 외국 거대기업의 국내 유전자원 유출을 통한 신품종 육성의 제도적 장치가 되어 국내 품질경쟁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반대로, 국내 기업의 외국 진출 시 국제식물신품종보호제도를 통하여 가격과 기술경쟁력을 갖춘 우수한 품종의 마케팅 시장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국가 기관의 지원과 함께 현지 업체 및 현지 거래처와의 관계를 강화하여 지역별 맞춤형 품종을 개발해야 한다. 우수 품종에 대한 생산물, 종자 및 개발방법에 대해서 특허를 출원하여 품종보호출원에서 지적재산권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며, 법률서비스를 강화하여 국제 소송 및 종자주권 침해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현지 법인 및 지사를 통해 주변 국가 시장 정보를 수집하고 탄력적 종자 가격 라인업을 구성하여 마케팅을 진행해야 한다.
다국적 기업 및 현지 기업의 시장 장악력은 여전히 높다. 육종, 선발, 생산 및 신속한 공급 체계를 바탕으로 지역별 맞춤형 개발 품종들로 기존 거래처와의 관계를 강화하여 브랜드 인지도를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옥수수의 대는 산업적으로 어디에 사용되는가?
오늘날 거의 모든 국가에서 재배되는 옥수수의 영양 가치는 사료용으로뿐만 아니라 식용으로도 오래 전부터 널리 알려져 왔다. 옥수수 종실, 줄기, 잎, 옥수수 대 등 거의 모든 부분이 사료용으로 이용 가능하며, 비식용 부위는 산업용으로 쓰이는데, 줄기는 종이와 벽판을 만드는 데 쓰이고, 옥수수 대는 숯을 만들어 연료로 쓰거나 산업 용매의 조제에 이용되어 에탄올 생산과 석유 에너지의 대체 에너지 자원으로써도 이용된다(Lee et al., 2011).
인도네시아에서 해충을 방지하고 농민들의 수입 유지에 목표를 둔 벼 대체 작물은 무엇인가?
인도네시아 농촌에 살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식량작물 재배에 종사하고 있다. 벼, 콩, 옥수수 및 땅콩은 논과 중간 정도의 고도에서 재배되는데 콩, 옥수수 및 땅콩은 벼를 대체하는 작물로 해충을 방지하고, 농민들의 수입을 유지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벼를 제외하고 가장 보편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작물은 콩, 옥수수, 땅콩 및 고구마이고 동부자바의 북부해안과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칠리와 쪽파를 재배한다.
UPOV에 의한 종자의 지적재산권 및 품종 보호가 글로벌하게 추진되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따르고 있는 이 국제 규정은 어떤 내용인가?
UPOV (International Union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 국제식물신품종보호제도)에 의한 종자의 지적재산권 및 품종보호가 글로벌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한국도 10년 전에 가입하여 국제규정을 따르고 있다. 이는 유전자원에 따라 해외에서 개발된 종자의 지적재산권이 현지 국가가 아닌 개발기업의 소유가 될 수 있다는 내용이다. 물론 국내의 경우 국제식물신품종보호제도가 외국 거대기업의 국내 유전자원 유출을 통한 신품종 육성의 제도적 장치가 되어 국내 품질경쟁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참고문헌 (8)
AFSIS. 2014. ASEAN Food Security Information System.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www.fao.org.
Korea Safety Clearing House. 2014. www.biosafety.or.kr.
Lee, K. S., J. W. Park, E. J. Kim, B. M. Son, and W. H. Kim. 2011. The status of maiz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Cambodia. Korean J. Intl. Agri., 23 : 513-519.
MAFF. 2006. Annual report for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Cambodia.
MAFF. 2008-2009. Annual report for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Cambodia.
NSW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2008. Field Crop Manual.
OECD-FAO. Agriculture Outlook 2010-2019.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