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he Effects of Child Care Policy Change on Child Care Servic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introduction of child care electronic voucher system -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20 no.10, 2015년, pp.127 - 132  

Kim, Gaeun (Dept. of social welfare subject, Chosun University) ,  Joo, Jeong-Joo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subject, Chosun University) ,  Park, Chimyen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test some expected performances coming from the introduction child care electronic voucher system, and suggest some policy implications. At first, this study established causal model on the expected performances of child care electronic voucher system, and then tested it through s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보육시설 간 서비스 대상자 확보와 보육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경쟁은 정부에서 보조받는 보육 보조금의 사용이 정확하고 투명하게 집행되고 보조금 불용에 대한 관리 감독이 수월해지는 것을 의미하는 투명성과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서비스 대상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합하고 다양한 보육서비스를 개발하고 공급하기 위하여 보육시설 간에 서로가 경쟁하고, 그러한 경쟁이 궁극적으로 서비스의 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아야 하겠다.
  • 본 연구는 서비스 대상자의 선택성이 정책의 효과성을 통하여 그 결과인 서비스의 질 개선,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서비스 대상자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보육전자바우처제도 도입으로 인한 정책의 효과성을 정책수단에 관한 이론 중 Salamon(2002)의 정책수단별 특징에 근거하여 제시하고자 한다[5].
  • 본 연구에서는 보육전자바우처제도의 서비스 대상자의 선택성이 정책의 효과성과 서비스의 질 및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서비스 대상자의 선택성은 정책의 효과성인 경쟁성, 책무성, 청렴성, 투명성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가설15> 서비스의 질은 만족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 선택성은 경쟁성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선택성은 투명성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9> 책무성은 서비스의 질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13> 투명성은 서비스의 질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Jeon Yeong Han. (2007b). The diversity of policy tools: Classification issues and evaluation tools, Government Studies research 13(4): 259-296 

  2. Salamon, Lester M. (1981). Rethinking Public Management: Third-Party Government and the Tools of Government Action, Public Policy, 29(1): 255-275 

  3. Peters, G. and F. van Nispen (ed.), Public Policy Instrument: Evaluating the Tools of Public Administration, Cheltenham, U.K: Edward Elgar 

  4. Le Grand, Julian. (2007). The other Invisible hand. Princeton and Oxford: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Salamon, Lester M, (ed). (2002). The Tools of Government: A guide to the New Governance Oxford University Press. 

  6. Ham So Young. (2007). Infant target business voucher, Myo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ork Master's Thesis 

  7. Hwang In Ok. (2009). Electronics introduced childcare voucher influence on the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childcare, Go to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Master's thesis. 

  8. OMB. (2006). Detailed Information on the National Institution of Health: Extramural Research Facilities Construction Assessment. http//www.whitehouse.gov/omb/expectmore/detale/ 10002176.2004.html. 

  9. OMB. (2007). Guide to the Progran Assessment. Rating Tool(PART). 

  10. Yum Tae Ho.Cho Gun Sik.Kim Gong Rok. (2010). The effect analysis which the change of policy measure reaches in administrative effectiveness: Focusing on electronic voucher transition to domestic care services, Administration Journal, 48(2): 65-89 

  11. Kim In. (2010). Effectiveness and customer satisfaction index effect VIP of social service Boucher program: Woman delivered of a child newborn baby helper service in center, Region governmental research13(4): 127-151 

  12. Childcare Policy Development Centre. (2008).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improving childcare policy effectiveness.Cooperation with the plan of care.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