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방과후 보육 생활 만족도 척도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cale Measuring Life Satisfaction of After-School Child Care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1 no.1, 2010년, pp.101 - 111  

신혜경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서영숙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the life satisfaction of after-school classes. For this purpose, utiliz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147 questions from eight factors were selected for the 1st draft and 67 questions were selected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아동의 방과후 보육 생활 만족도 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대상은 초등학교 방과후 보육 교실을 이용하고 있는 아동들이다.
  • 본 연구는 아동의 방과후 보육 생활 만족도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방과후 생활 만족도 검사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이론적 기반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147개 문항을 최초 추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과후 보육을 위한 정부 차원의 방안은? 교육인적자원부가 발표한 방과후 학교 발전방안에 따르면 방과후 교실을 2007년에는 700개, 2008년에는 2,549개 운영하고 있으며, 2010년에는 3,100개 교실을 확대하여 운영한다(양애경․ 김지현, 2008)고 하였다. 더불어 방과후 보육에 대한 요구 조사(교육인적자원부, 2006) 결과, 맞벌이부부는 83%의 응답자가 자녀의 보호와 교육을 위해 방과후 보육을 희망하고 있으므로 앞으로 방과후 보육에 대한 수요는 점점 늘어날 전망이다.
방과후 보육에 대한 맞벌이부부의 생각은? 교육인적자원부가 발표한 방과후 학교 발전방안에 따르면 방과후 교실을 2007년에는 700개, 2008년에는 2,549개 운영하고 있으며, 2010년에는 3,100개 교실을 확대하여 운영한다(양애경․ 김지현, 2008)고 하였다. 더불어 방과후 보육에 대한 요구 조사(교육인적자원부, 2006) 결과, 맞벌이부부는 83%의 응답자가 자녀의 보호와 교육을 위해 방과후 보육을 희망하고 있으므로 앞으로 방과후 보육에 대한 수요는 점점 늘어날 전망이다. 이렇게 방과후 교실을 이용하는 아동수가 증가하면서 방과후 보육은 더욱 중요한 아동복지서비스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방과후 보육은 무엇인가? 방과후 보육은 일반적으로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에서의 일과 이 외의 시간 동안에 아동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연령에 적합한 활동을 제공하여 아동의 정서적․사회적․인지적 발달을 도모하는 아동복지서비스를 말한다(서영숙, 2006). 이러한 개념으로 접근해 보았을 때, 아동의 보호와 지도를 위하여 학교라는 공간의 교육적 자원을 충분히 활용하는 것은 좋은 방안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구민정(2005). 방과후 아동지도 교육환경에 대한 아동, 부모, 교사의 만족도 요구도 및 역할인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교육인적자원부(2006). 2006년도 초등학교 방과후 보육프로그램 운영 지원 계획. 학교정책실. 

  3. 곽혜정(2006).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문화와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현수.김영일.김은수.오유진(1998). 빈곤가족 아동을 위한 방과후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태화임상사업연구, (5), 20-24. 

  5. 김대성(2005). 특성화.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만족도 비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무겸(2004). 초등학교 아동의 권리 인식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미경(2001).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와 그 결정 요인.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민호(2007). 방과후학교 보육의 의미와 정책 방향. 한국 방과후 아동지도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5-28. 

  9. 김은덕(1993). 서울시 중학생의 학교생활 및 교실환경 만족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종관(2000). 초등학교 학생의 학급풍토 지각과 학교 생활만족도 분석.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류동훈(1999). 초등학교 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학교생활만족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서영숙(2005). 저출산 시대의 통합적 자녀양육과 방과 후 보육. 한국아동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3-19. 

  13. 안인혁(2001). 초등학생의 놀이활동 참여와 학교생활 만족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양애경.김지현(2008). 새정부의 방과후 학교 지원 정책과 방향. 한국방과후 아동지도학회 추계학 술대회 자료집, 11-14. 

  15. 원진욱(2008).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 유형과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은주(2003).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 행동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임명숙(1997).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정택희.남궁지영.김주아(2007). 2007년도 학교종합평가 사업보고서. 교육개발원. 

  19. 채민규(1991). 유치원 놀이환경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황진숙(1995). 교사의 역할에 따라 선호되는 특성과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Elliot, A. (1998). Care programs for school-age children in Australia. Childhood Education, 387-391. 

  22. Hudley, C. (1999). Problem Behaviors in Middle Child-hood understanding risk status and protective factors, April Annual Meeting of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19-23. 

  23. Vandell, D. L., & Corasaniti, M. A. (1998). The relation between graders.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s. Future of Children, 9(2), 64-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