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장보육시설 위탁 운영 어린이집 학부모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국·공·사립과 위탁·직영 간 차이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arents' Satisfaction of Contracting-Out System in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Difference Between National·Public·Private Childcare Centers and Contracted-Out·In-House Services -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 2015년, pp.282 - 290  

김정겸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  강영식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초록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의 위탁운영형태별 이용 만족도를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국 공 사립 이용학부모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는데 전체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보육요인으로서 위탁 직영 모두 보육 환경, 보육 프로그램, 유아교사의 질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보육 운영 요인이 잘 되어 있을수록 시설, 프로그램, 운영, 보육 지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고 이들 관계의 충족에 따라 직장 보육시설의 이용에 대한 기대감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보육시설 운영에 따른 차이비교에서도 규모에 있어 50~74명 규모가 가장 선호되고 직장 내 직접 운영보다 전문보육기관에 위탁이 선호되고 소재지 또한 직장 내 소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최근의 영유아부모들의 맞벌이 추세의 증가에 따라 일반 유치원이나 어린이집보다 직장보육시설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알 수 있으며 이는 대규모 시설보다 50명 내외 중소규모가 선호되고 전문위탁운영기관에 의한 위탁을 통해 보육프로그램, 시설, 양질의 교사 확보 등이 선행될수록 만족도 또한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parents' satisfaction of contracting-out system in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400 parents who use national, public and private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mploy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직작보육시설의 만족과 이용의 질을 좌우하는 이들 4개 요인을 채택하여 시설 운영 형태별 차이와 만족 수준을 파악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기존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국․공․사립 운영형태별 실태조사를 통해 직장보육운영, 환경별 실태와 차이를 비교 후 개선점을 제안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 이와 같은 형태에 따라 나뉘는 직장보육시설의 운영이 다양한데 본연구에서는 국공사립간 위탁, 직영간 차이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 : 환경요인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 프로그램요인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 보육교사의 질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 시설운영요인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 보육환경과 만족도간의 관계에 있어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살펴보면 보육환경의 표준화계수 β는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장보육시설 운영에 있어 위탁운영을 선호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4%로 더 많으며, 위탁운영 또한 개인, 학교법인, 종교법인, 사회복지법인, 단체, 전문위탁업체 등으로 다양하다[2]. 이와 같이 직장보육시설을 운영하는 형태가 다양하고 무엇보다 위탁운영을 선호하는 경향이 더 많은 것은 위탁체의 보육전문 능력 전수로 전문적인 운영관리 서비스의 지원과 우수 인력 채용 및 종사자의 전문성 심화에 따른 우수 보육 프로그램 도입이 가능함으로써 직장보육시설의 질이 보장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직장보육시설의 운영은 국가의 제도와 정책에 따라 영향을 받아 운영되므로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되는 것이 시설유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그에 따른 보육결과도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직장보육시설의 운영은 국가의 제도와 정책에 따라 영향을 받아 운영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그러나 현실적으로 직장보육시설의 운영은 국가의 제도와 정책에 따라 영향을 받아 운영되므로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되는 것이 시설유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그에 따른 보육결과도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질적 보육서비스가 향상되지 못한 결과를 낳고 특히 민간 개인 어린이집에서 위탁받아 운영하는 경우 정부지원이 빈약하기 때문에 시설의 영세성과 더불어 재정부족으로 인하여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부모가 보육료를 국․공립 보다 더 많이 부담해야 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3,4].
직장 보육시설간의 설비, 인력, 보육프로그램 등의 차이는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이같은 직장 보육시설간의 설비, 인력, 보육프로그램 등의 차이는 아동의 지적기능, 언어발달과 의사소통능력, 사회성, 타인에 대한 고려 등의 여러 가지특성에서 차이를 가져올 수 있으며, 보육의 질적 수준이 낮을 경우 아동의 정상적인 성장에도 역효과를 줄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G. H. Kim, A Study on the Improving Plan for Operation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2006. 

  2. Korea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Welfare by Work Framework Act on Worker's Welfare, 2010 

  3. J. A. Kim, "American Fiscal Decentralization - Focusing on the Programs Related to Block Grant.", Quarterly Social Welfare, 2005. 

  4. Y. H. Kwon, Suggestion by Operation Types, Operation Places and Participation Companies with Reference to Classification Criteria for the Form of Childcare Centers, 2010. 

  5. H. J. Choi, A State of University Contracting-Out System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and the Awareness of the Heads and Teachers of the Childcare Centers on University Contracting-Out, 2011. 

  6. A. R. Son, A Study of Reform in the Infant Care System : At Family Day Cares in Daejeon City, 2004 

  7. J. S. Sim, An Analysis of Operation of Private Childcare Centers, 2005. 

  8. H. W. Kim, The Awareness of the Heads of National and Public Childcare Centers on Private Contracting-Out System and Operation, 2006. 

  9. J. H. Choi, The Awareness of the Heads of National and Public Childcare Centers on Contracting-Out System - At 15 Cities and Provinces, 2008. 

  10. Employer-Supported Childcare Support Centers, 2010. Establishment and Operation, 2010. 

  11. H. J. Kim, The Effects of Use Satisfaction with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on Job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in Working Parents : Focusing on the National and Public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2004. 

  12. The Amendment to Enforcement Ordinance of Early Childhood Childcare Law, The Expansion of Gratuitious childcare to All Young Children for Easing the Parenting Burden, 2006.1. 

  13. E. J. Kim, Childcare Policy Issues in Countering Low Fertility, 2014. 

  14. M. H. Seo et al., The Plans for Quality Improvement in Childcare Services: Focusing on the Family Childcare Centers and qualification Management System for Childcare Personne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0. 

  15. S. M. Kim,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on School Life Adapt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2005. 

  16. M. S. Kim, Survey on Satisfaction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by Types of Establishment Agent : Focusing on Working Parents in Busan and Gyeongnam Areas, 2004. 

  17. S. Y. Park, A Study on Parents' Use Satisfaction of Childcare Centers : At Daejeon Metropolitan City, 2005. 

  18. H. W. Kim, The Awareness of the Heads of National and Public Childcare Centers on Private Contracting-Out System and Operation, 2006. 

  19. C. O. Park, Hyun-Jeong Jo, An Exploratory Study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Perceived by Parents and Teachers, 2006. 

  20. G. S. Song, An Exploratory Study on Life Culture of Teachers in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2008. 

  21. O. G. Kim, A Suggestion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in the Operation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Employer Supported Childcare Assistant Center. Seminar Source Book for Establishing and Activating the 2006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2006. 

  22. M. R. Kwon, H. Y. Chun, Case Study on Parents' Conflicts in Childcare Centers and Types of Adaptation, 2006.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urrent Status of the 2009 Childcare, 2009. 

  24. S. A. Kim, Y. J. Han, Attitudes and Expectations of Well-being Improvement toward the Employer-Supported Childcare Service of Working Parents, 2005. 

  25. M. J. Kim, The Awareness of Childcare Teachers on Role by Development Level : Focusing on the Instructional Designers' Role, 2011. 

  26. J. M. Son, A Study on the Effect of Childcare Policy in Korea 

  27. G. S. Song, The Problematic Analysis on Working Conditions and Duties of Teachers in Employer- Supported Childcare Centers, 2008. 

  28. S. J. Kim, The Awareness of the Heads of National and Public Childcare Centers on Private Contracting-Out System and Operation, 2003. 

  29. D. J. Choi,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Private Contracting-Out System Perceived by the Heads of National and Public Childcare Centers,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