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제 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인지 기능과 일상생활 수행에 미치는 효과 - 개별 훈련과 집단 훈련의 비교 -
The Effect of Task-Oriented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 Comparative of Group Training and Individual Training -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 신경재활치료과학, v.2 no.2, 2013년, pp.47 - 59  

박은정 (서울아산병원 작업치료실) ,  유찬욱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용미현 (경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훈련을 집단과 개별로 실시하게 하여 상지 기능, 인지 기능과 일상생활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2012년 6월부터 11월까지 약 5개월간 A병원에 입원하여 뇌졸중 진단을 받은 사람 중에 재활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과제 훈련군과 개별 훈련군은 각각 13명씩 무작위 배정 하였다. 두 군 모두 동일한 내용의 과제 지향 훈련을 1일 30분씩 3주간 시행하도록 하였다. 결과 : 훈련 전 두 군의 상지 기능과 인지 기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훈련 전 일상생활 영역에서 목욕하기(p<.001), 식사하기, 개인위생과 총점(p<.05)이 집단 훈련군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훈련 후 상지 기능은 개별 훈련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1). 두 그룹 모두 훈련 전후 상지 기능 식사하기, 개인위생,목욕하기, 옷 입기, 용변처리, 이동, 보행, 계단, 총점(p<.05)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두 그룹의 훈련 전후 변화량 비교에서 개별 훈련군이 상지 기능(p<.001)과 일상생활 영역에서 식사하기와 총점에서 더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p<.05). 결론 : 과제 지향적 훈련을 시행 시 집단 훈련군과 개별 훈련군 모두 상지기능, 일상생활 수행력에 향상을 가져오며, 특히 상지 기능의 향상이 클 경우에 더 높은 일상생활 수행력의 변화를 가져 올 수 있다. 앞으로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친 종단적인 사례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is conducted to find the influence on upper extremity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hen stroke patients receive task-oriented training in group or individually. Methods : Twenty-six inpatients are assigned to two groups(task training group and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재활치료를 집단으로 시행한 연구는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고 기존 치료와 과제 지향적 훈련을 그룹으로 치료 하였을 때 비교는 있지만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훈련을 집단과 개별로 구별하여 환자의 기능 변화를 연구한 이전 연구는 미비하다(김영숙, 1997; 정원미, 이동영, 유승호, 황윤정, 김슬기와 추일한, 2008; 임연주, 정원미와 구정완, 2010; 조규행, 이석민과 우영근, 2004).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으로 작업치료를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훈련을 집단 훈련군과 개별 훈련군으로 적용하여 환자들의 상지기능, 인지 기능, 일상생활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과제 지향적 훈련의 효율적인 형태를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훈련을 집단군과 개별 훈련군으로 나누어 시행하도록 하여 환자의 기능을 증진시키는데 효율적인 중재 방법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일상생활 활동의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고 기능 변화에 민감하며 널리 알려진(박금주와 이강우, 1997) 수정된 바델 검사를 이용하였고 상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운동 손상 정도를 양적으로 측정하는 도구중 하나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Fugl-Meyer 척도를 사용하였다(Duncan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제 지향적 접근법은 무엇을 강조하는가? 이를 과제 지향적 접근방법이라고도 하는데, 운동학습이론들로부터 영향을 받아 중추신경계 손상환자의 재활에 큰 변화를 제공하였다(Crutchfield & Barnes, 1993). 과제 지향적 접근법은 최상의 학습을 위해 개인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과제들을 통해 행동적으로 동기유발을 시키고, 환경과 함께 개인의 상호작용을 강조한다(Carr & Shepherd, 2003).
뇌졸중 환자에게 편마비 후유증이 생기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최근 뇌졸중은 생활양식의 서구화 및 노령화에 따른 노령 인구의 증가와 함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현대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생존율 역시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뇌졸중 환자들은 어느 정도의 신경학적 회복을 경험하지만 약 30-60%의 환자는 후유증으로 남게 되는 편마비로 일상생활동작 수행에 도움이 필요로 하고 이는 스트레스를 일으켜 우울, 좌절, 불안과 같은 정서적 고통을 경험하게 하고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준다(김정원, 1983; 김창완과 김세주, 1995). 따라서 뇌졸중 환자를 위한 회복 프로그램에는 의학적 측면과 심리사회적 측면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Pomeroy & Tallis,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