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지정이 훼손 탐방로 주변 토양과 식생피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ecial Protection Area Designation on Soil Properties and Vegetation Coverage of Degraded Trails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4 no.3, 2015년, pp.352 - 359  

김동환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이동호 (서울대학교 국가농림기상센터) ,  김현석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김성일 (서울대학교 농림기상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훼손지에 적용된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제도가 탐방로의 토양과 식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북한산 국립공원 내 일반 탐방로(개방 탐방로)와 특별보호구로 지정되어 16년 동안 출입이 금지된 탐방로(폐쇄 탐방로)의 토양의 용적밀도, 수분, 총 질소, pH, 유기물 함량을 측정하고, 지면피도를 조사하여 개방 탐방로와 폐쇄탐방로의 토양 및 식생상태를 비교분석하였다. 일반 탐방로의 토양은 탐방로 주변 식생지대의 토양에 비하여 용적밀도가 증가하고 수분과 총 질소,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여 훼손을 확인하였으나, 폐쇄 탐방로의 경우, 토양의 용적밀도, 수분, 총 질소, pH, 유기물 함량이 주변 식생지대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탐방로 폐쇄로 인한 생태적 회복을 확인하였다. 지면피도의 경우, 일반 탐방로에서 지면식생과 낙엽의 피도가 낮고 나지와 암석의 피도가 높아 훼손을 확인하였으나, 폐쇄 탐방로에서는 낙엽 암석 나지 피도가 회복되었고, 식생피도는 산림 환경피해도 등급을 적용하였을 때 제한적인 회복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특별보호구 지정을 통해 훼손지의 회복이 가능하나, 토양이 식생에 비하여 더 빠르게 회복됨을 알 수 있었다. 훼손지의 특별보호구 지정은 대상지의 회복특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으며, 특별보호구 제도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대상지의 생태적 사회적 가치와 중요성을 고려한 세분화된 특별보호구 선정 및 관리 기준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how the special protection area designations of degraded trails effect on the soil and vegetation recovery of degraded trails. The study areas were established on an opened trail and a 16-year closed trail, which was prohibited to enter after the designation a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훼손 탐방로 관리를 위한 특별보호구 제도의 효과를 밝히기 위해 시계열적 접근법으로1) 국립공원의 높은 이용강도로 인한 답압피해가 예상되는 일반 탐방로와 특별보호구로 지정되어 장기간 탐방객의 이용이 금지된 탐방로의 토양특성과 지면피도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탐방활동으로 인한 답압의 문제점은? , 1983; 1996). 탐방활동으로 인한 답압은 초본, 관목 및 유기물질의 제거, 임목의 손상, 토양밀도 증가와 토양 수분 및 양분 감소, 토양 침식 등의 초래하여 식생과 토양환경을 손상시킨다(Manning, 1979). 탐방활동에 의한 토양의 영향은 주로 토양 용적밀도, 토양수분, 토양양분의 변화로 알려져 있다.
국립공원 관리공단에서 1991년부터 실시한 탐방로 및 주변부 훼손을 막기 위한 해결책은 무엇인가? 탐방로 및 주변부 훼손을 막기 위한 해결책의 일환으로 국립공원관리공단은 1991년부터 탐방객의 출입을 금지하는 자연휴식년제를 시행하였다. 2007년에는 2006년부터 시행된 제6기 자연휴식년제에 멸종위기종 분포지역 등 서식지 보호가 필요한 지역을 추가하고, 보호 목적을 중심으로 대상지를 재분류·체계화하여 「국립공원 특별보호 구」를 지정하였다.
국립공원 특별보호 구의 유형은 어떻게 나뉘는가? 2007년에는 2006년부터 시행된 제6기 자연휴식년제에 멸종위기종 분포지역 등 서식지 보호가 필요한 지역을 추가하고, 보호 목적을 중심으로 대상지를 재분류·체계화하여 「국립공원 특별보호 구」를 지정하였다.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의 유형은 식물군락지, 동물서식지, 습지, 계곡, 훼손지로 구분되는데, 지정기간이 5년으로 적용되는 훼손지를 제외한 모든 지역은 20년간 적용되며 연장이 가능하다(ME,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llen, S.E., Grimshaw, H.M., Parkinson, J.A., and Quarmby C. 1974. Chemical Analysis of Ecological Materials.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England. pp. 540-552. 

  2. Burden, R.F. and Randerson, P.F. 1972. Quantitative studies of the effects of human trampling on vegetation as an aid to the management of semi-natural areas. Applied Ecology 9(2): 439-457. 

  3. Cho, S.J., Park, C.S., U, D.I., and Cho, B.H. 2002. 4th ed. Soil Science. Hyangmoonsa, Seoul, Korea. pp. 58, 186, 330, 343. 

  4. Cho, W. 2012. Deterioration Status of Closed-Trail of National Parks on the Baekdudaegan Mountains,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5): 827-834. 

  5. Cole, D.N. and Ranz, B. 1983. Temporary campsite closure in the selway-bitterroot wilderness. Forestry 81(4): 729-732. 

  6. Cole, D.N., 1995. Experimental trampling of vegetation. II. Predictors of resistance and resilience. Journal of Applied Ecology 32: 215-224. 

  7. Cole, D.N. and Landres, P.B. 1996. Threats to wilderness ecosystems: impacts and research needs. Ecological applications 6(1): 168-184. 

  8. Crawford, A.K. and Liddle, M.J. 1977. The effect of trampling on neutral grassland, Biological conservation 12(2): 135-142. 

  9. Fred, R.K. 1986. A review of major factors influencing plant responses to recreation impacts. Environmental Management 10(5): 637-650. 

  10. Godefroid, S., Massant, W., Weyembergh, G., and Koedam, N. 2003. Impact of fencing on the recovery of the ground flora on heavily eroded slopes of a deciduous forest. Environmental Management 32(1): 62-76. 

  11. Jeong, J.H., Koo, K.S., Lee, C.H., and Kim, C.S. 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Region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1(6): 694-700. 

  12. Jin, H.O., Bang, S.H., Lee, C.H., and Kim, S.Y. 2008. Effects Artificially Acidified Soils on the Growth and Nutrient Status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acutissima Seedling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97(3): 266-273. 

  13.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1. Study of Trail Degradation Type and Restoration Measure in National Park. 

  14.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eoul, Korea.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9. National Park Announcement 2009-No.33 

  15.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9. The 8th Year Bukhansan Resource Monitoring Result.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eoul, Korea. 

  16.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2. National Park Announcement 2012-No.13.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eoul, Korea. 

  17.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4. 2014 National Park Fundamental Statistic(General).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eoul, Korea. 

  18. Kuss, F.R. and Hall, C.N. 1991. Ground flora trampling studies: five years after closure. Environmental management 15(5): 714-727. 

  19. Kwon, T.H., Oh, K.K., and Kwon. S.D., 1991. Use Impact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s and Campsite in Chiri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5(1): 91-103. 

  20. Kwon, T.H., Lee, J.W., and Kim, D.W. 2004. Trail Deterioration and Managerial Strategy on the Ridge of Baekdudaegan : A Case of the Trail Between Namdeogysuan and Sosagoga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8(2): 175-183. 

  21. Lee, S.W. 1981. Studies on Forest Soils in Korea (II).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54: 25-35. 

  22. Lee, J.W., Oh, K.K., and Kwon, T.H. 1997. Use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n and around Trails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0(2): 191-204. 

  23. Lee, C.Y. 2000. Forest Environmental Soil Science, Bosung. Seoul, Korea. pp. 350. 

  24. Li, Y.Y. and Shao, M.A. 2006. Change of soil physical properties under long-term natural vegetation restoration in the Loess plateau of China. Arid Environments 64: 77-96. 

  25. Manning, R.E. 1979. Impacts of recreation on riparian soils and vegetation.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15(1): 30-43. 

  26.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National Park Special Protected Area Implement Plan.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Korea. 

  27. Nepal, S.K. and Way, P. 2007. Comparison of vegetation conditions along two backcountry trails in Mount Robson Provincial Park, British Columbia. Environmental Management 82: 240-249. 

  28. Oh, K.K., Kwon, T.H., and Jeun, Y.J. 1987. Trail Damage and Vegetational Change of Trail Side in Bukhan Mountain Nait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1): 35-45. 

  29. Scherrer, P. and Pickering, C.M. 2006 Restoration of alpine herbfield vegetation on a closed walking track in the Snowy Mountains, Australia. Arctic, Antarctic, and Alpine Research 38(2): 152-178. 

  30. Shin, J.H., Yeon, M.H., and Yang, K.C. 2013. Estimation of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using the Estimate to Probability Distribution of Vegetation in Bukhansan National Park.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6(3): 41-53. 

  31. Stohlgren, T.J. and Parsons, D.J. 1986, Vegetation and soil recovery in wilderness campsites closed to visitor use. Envrionmental Management 10(3): 375-380. 

  32. Sutherland, R.A., Bussen, J.O., Plondke, D.L., Evans, B.M. and Ziegler, A.D. 2001. Hydrophysical degradation associated with hiking-trail use: a case study of Hawai//Iloaridge trail, O'Ahu, Hawai'i. Land degradation & Development 12: 71-86. 

  33. Taylor, H.M. and Brar, G.S. 1991. Effect of soil compaction on root development. Soil & Tillage Research 19: 111-119. 

  34. Thorud, D.B. and Frissell, S.S. 1976. Time changes in soil density following compaction under an oak forest. Minnesota forestry research notes. No.257. University of Minnesota, U.S.A. 

  35. Thurston, E. and Reader, R.J. 2001. Impacts of experimentally applied mountain biking and hiking on vegetation and soil of a deciduous forest. Environmental Management 27(3): 397-409. 

  36. Torbert, H.A. and Wood, C.W. 1992. Effects of soil compaction and water-filled pore space on soil microbial activity and N losses. Communications in Soil Science and Plant Analysis 23(11-23): 1321-1331. 

  37. Yoo, K.J., Kim, J.M., and Cho, W. 2009. Perceptions of Residents and Visitors of the Policy for Special Protected Areas in Korean National Parks: A Case Study of the Nature Restoration Period in Chilsun Valley of Jiri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6): 585-5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