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속리산 천왕봉 일대의 산림형 분류와 생태적 특성
Forest Type Classifica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Areas of Cheonwangbong, Songnisan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4 no.3, 2015년, pp.375 - 382  

정상훈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황광모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  성주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김지홍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속리산 천왕봉 일대의 천연림을 대상으로 식생 단위별 생태적 시업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산림형을 구분하고 각 산림형별로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사분각법을 적용하여 250개의 표본점을 추출하였고, 각 표본점 마다 층위별 식생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지의 산림형을 구분하기 위해 다양한 다변량 통계분석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산림형별 식생의 안정성과 성숙도를 파악하기 위해 종다양성지수를 분석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해 2~10개의 Cluster로 산림형을 분류하였고, 지표종분석으로 적절한 Cluster의 수를 5개로 추정하였으며, 다중판별분석으로 추정된 Cluster 수가 적절했음을 검증하였다. 5개의 산림형별로 수종구성을 분석한 결과, 계곡부에서는 졸참나무림과 중생혼합림, 능선부에서는 신갈나무림, 주능선에서 뻗어 나온 보조능선부에서는 소나무림, 보조능선과 계곡부 사이에서는 굴참나무-소나무림 등으로 분류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참나무류와 소나무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층의 수종 구성이 단조로운 소나무림의 종다양성지수가 가장 낮았던 반면, 식생 구성이 다양한 중생혼합림의 경우 종다양성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식생구성이 다양할수록 종다양성지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lassified the forest type and figured out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each of the types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s for being induced ecologically efficient forest practice plan by vegetation units in the natural forest of Songnisan. We established the 250 sample point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러한 과정에서 다양한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분류 결과의 객관성을 높이고, 각 산림형의 생태적 속성을 파악하여 향후 변화 과정을 예측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여 유사한 수종구성을 지닌 산림형별로 천연림을 관리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생태적 시업방안을 도출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속리산 천왕봉 일대의 천연림을 대상으로 다양한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산림형을 구분하고 각 산림형별로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 험준한 우리나라의 지형적인 특성을 고려하고 넓은 연구대상지에서 효율적으로 표본을 추출할 수 있는 사분각법(Pointcentered quarter method; Brower and Zar, 1977)을 이용하여 산림식생 자료를 수집하였다. 약 40~60 m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총 250개의 표본점을 설정하였고, 각 표본점마다 4방위로 나누어 층위별(상, 중, 하)로 표본점에서 가장 가까운 목본 수종을 식별하고 흉고직경 및 수고, 해발고도, 사면방위 등을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 속리산 천왕봉 일대의 천연림을 대상으로 식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Figure 1), 이 지역은 행정구역상 충청북도 보은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험준한 우리나라의 지형적인 특성을 고려하고 넓은 연구대상지에서 효율적으로 표본을 추출할 수 있는 사분각법(Pointcentered quarter method; Brower and Zar, 1977)을 이용하여 산림식생 자료를 수집하였다.

데이터처리

  • 5개로 추정된 산림형의 적절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2개의 판별함수가 모든 판별점수의 72.
  • 각 산림형별 생태적 특성 중 식생의 안정성과 성숙도를 파악하기 위해 종다양성지수(Shannon and Weaver, 1948)를 분석하였다. Cluster분석과 지표종분석은 PC-ORD 6.0(McCune and Mefford, 2011), 다중판별분석은 SPSS 20.0(IBM SPSS Statistics, 1989-2011), 수종구성분석 및 종다양성지수산출은 Microsoft Excel 2010(Microsoft Corporation, 2010)을 이용하였다.
  • 수집된 식생정보를 바탕으로 합당한 결과 도출을 위한 여러가지 다변량 통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산림형을 분류하고 각각의 분류된 산림유형에 대한 생태적 해석을 실시하였다(Figure 2). 유클리디언 거리와 워드법을 이용하여 Cluster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적절한 산림유형의 수를 추정하기 위해 Dufrene and Legendre(1997)가 고안한 방법을 사용하여 지표점수를 산출하고 Monte Carlo method로 수종별 지표점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지표종분석을 수행하였다.
  • 수집된 식생정보를 바탕으로 합당한 결과 도출을 위한 여러가지 다변량 통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산림형을 분류하고 각각의 분류된 산림유형에 대한 생태적 해석을 실시하였다(Figure 2). 유클리디언 거리와 워드법을 이용하여 Cluster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적절한 산림유형의 수를 추정하기 위해 Dufrene and Legendre(1997)가 고안한 방법을 사용하여 지표점수를 산출하고 Monte Carlo method로 수종별 지표점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지표종분석을 수행하였다. 지표종분석에 의해 결정된 산림유형 개수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다중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 적정한 Cluster의 수를 추정하기 위해 Cluster분석에서 산출된 2~10개의 클러스터에 대한 11개 수종별 지표종지수의 평균 P값을 산출하였으며(Figure 4A), Cluster별로 유의수준(P<0.05)을 만족시키는 수종의 개수를 나타내었다(Figure 4B).
  • 유클리디언 거리와 워드법을 이용하여 Cluster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적절한 산림유형의 수를 추정하기 위해 Dufrene and Legendre(1997)가 고안한 방법을 사용하여 지표점수를 산출하고 Monte Carlo method로 수종별 지표점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지표종분석을 수행하였다. 지표종분석에 의해 결정된 산림유형 개수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다중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류가 완료된 각각의 산림유형을 점유하고 있는 수종의 비율을 파악하기 위해 Curtis와 Mcintosh(1951)의 중요치 산출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우점 수종명의 비율을 바탕으로 각 산림유형에 명칭을 부여하였다.

이론/모형

  • Dendrogram from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for composing species in each sample point using the Euclidean distance measure and the Ward’s method.
  • , 2007)과 Braun-Blanquet(1964)의 우점도 계급 비율을 참고하였다. 각 산림형별 생태적 특성 중 식생의 안정성과 성숙도를 파악하기 위해 종다양성지수(Shannon and Weaver, 1948)를 분석하였다. Cluster분석과 지표종분석은 PC-ORD 6.
  • 지표종분석에 의해 결정된 산림유형 개수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다중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류가 완료된 각각의 산림유형을 점유하고 있는 수종의 비율을 파악하기 위해 Curtis와 Mcintosh(1951)의 중요치 산출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우점 수종명의 비율을 바탕으로 각 산림유형에 명칭을 부여하였다. 우점수종 비율의 기준은 산림 경영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입목지 구분비율(An et al.
  • 분류가 완료된 각각의 산림유형을 점유하고 있는 수종의 비율을 파악하기 위해 Curtis와 Mcintosh(1951)의 중요치 산출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우점 수종명의 비율을 바탕으로 각 산림유형에 명칭을 부여하였다. 우점수종 비율의 기준은 산림 경영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입목지 구분비율(An et al., 2007)과 Braun-Blanquet(1964)의 우점도 계급 비율을 참고하였다. 각 산림형별 생태적 특성 중 식생의 안정성과 성숙도를 파악하기 위해 종다양성지수(Shannon and Weaver, 1948)를 분석하였다.
  • 속리산 천왕봉 일대의 천연림을 대상으로 식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Figure 1), 이 지역은 행정구역상 충청북도 보은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험준한 우리나라의 지형적인 특성을 고려하고 넓은 연구대상지에서 효율적으로 표본을 추출할 수 있는 사분각법(Pointcentered quarter method; Brower and Zar, 1977)을 이용하여 산림식생 자료를 수집하였다. 약 40~60 m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총 250개의 표본점을 설정하였고, 각 표본점마다 4방위로 나누어 층위별(상, 중, 하)로 표본점에서 가장 가까운 목본 수종을 식별하고 흉고직경 및 수고, 해발고도, 사면방위 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속리산의 특징은? 남과 북으로 길게 펼쳐진 속리산은 총 면적이 275 km2이고, 백두대간구간에 속해 있으며 1970년에 우리나라 6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속리산은 화강암과 변성퇴적암을 기반으로 하는 남한의 대표 암산(巖山) 중 하나이며 남한 백두대간 중 낮은 고도의 중·저 산성 산지에 해당되어 동서를 가로지르는 자연자원과 생태계벨트가 귀한 편인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중요한 자연지역으로 알려져 있다(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3). 또한 이 지역은 북서, 서풍계열이 가져다주는 습기로 인해 높은 생태적 안정성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속리산 북부지역 보다 천왕봉(1,058 m) 일원 남부지역의 식생보전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3; Eom et al.
속리산의 총 면적은? 남과 북으로 길게 펼쳐진 속리산은 총 면적이 275 km2이고, 백두대간구간에 속해 있으며 1970년에 우리나라 6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속리산은 화강암과 변성퇴적암을 기반으로 하는 남한의 대표 암산(巖山) 중 하나이며 남한 백두대간 중 낮은 고도의 중·저 산성 산지에 해당되어 동서를 가로지르는 자연자원과 생태계벨트가 귀한 편인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중요한 자연지역으로 알려져 있다(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3).
선행된 연구들에서 식물 사회학적 방법을 통해서 군집을 분류한 공통적인 결과는 무엇인가? 선행된 연구의 대부분은 식물 사회학적 방법(BraunBlanquet, 1975)을 사용하여 조사하고 군집을 분류하였다. 선행된 연구들의 공통적인 결과는 신갈나무군집, 소나무군집, 졸참나무군집, 굴참나무군집 등 최소 6개에서 최대 37개 군집으로 분류하였으며 해발고가 상승함에 따라 소나무군집, 굴참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등이 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천이계열은 소나무군집에서 참나무류가 우점하는 군집으로 우점수종이 변화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n, J.M., Woo, J.C., Yun, H.Y., Lee, D.S., Lee, S.H., Lee, Y.J., Lee, W.K., and Lim, Y.J. 2007. Forest management; Chapter 7. Forest management planing. Hyangmunsa. Seoul. 224pp. 

  2. Barbour, M.G. and Billings, W.D. 1988. North American terrestrial vege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434. 

  3. Braun, E.L. 1950. Deciduous forest of eastern north America. Blakiston, Philadelphia. pp. 596. 

  4.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fi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Verlag. New York. pp. 865. 

  5. Brower, J.E. and Zar, J.H.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 Publications. Dubuque, Iowa. pp. 194. 

  6. Choi, H.J. and Oh, B.U. 2009. Floristic study of Songnisan national park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9: 277-291. 

  7. Chung, S.H. and Kim, J.H. 2013.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cover types by consecutive application of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in the natural forest of western Mt. Jiri.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 407-414. 

  8. Chung, S.H., Hwang, K.M., and Kim, J.H. 2014. Ecological interpretation and estimation of successional trend by characteristics of species diversity and topography for forest cover types in the natural forest of western Jirisan. The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03: 537-546. 

  9. Curtis, J.T. and Mclntosh, R.P.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a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8. 

  10. Dufrene, M. and Legendre, P. 1997. Species assemblages and indicators species: The need for a flexible asymmetrical approach. Ecological Monographs 67: 345-366. 

  11. Eom, A.H., Cho, Y.C., Shin, H.C., and Lee, C.S. 2004. Analyses of landscape and vegetation and ecological suggestion for the conservation of Mt. Songnisan national park, Central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7: 185-192. 

  12. European Environment Agency. 2006. European forest types: Categories and types for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reporting and policy.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s of the European Communities. Luxembourg. pp. 111. 

  13. Hwang, K.M., Chung, S.H., and Kim, J.H. 2015. The classification and species diversity of forest cover types in the natural forest of the middle part of Baekdudaegan. The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04: 1-12. 

  14. Hwang, K.M., Lee, J.M., and Kim, J.H. 2012.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successional trends in the natural forest of Baekdudaegan in Gangwon Province; Focused on Hyangrobong, Odaesan, Seokbyeongsan, Dutasan, Deokhangsan and Hambaeksan.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46: 41-55. 

  15. IBM SPSS Statistics. 1989-2011. SPSS for Window. Version 20.0. IBM Corp. 

  16. Jo, H.J., Lee, B.C., and Shin, J.H. 2004. Forest vegetation structure and species composition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in South Korea. The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3: 331-338. 

  17. Kim, J.H. 2003. The analysis of forest successional trend by species replacement model in the natural forest. Journal of Korea Forestry Energy 22: 1-10. 

  18. Kim, J.H., Hwang, K.M., and Kim, S.M. 2013. The evaluation of correlation between disturbance intensity and stand development by natural forest community type classification.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29: 219-225. 

  19. Kim, J.S., Kim, G.T., and Choo, G.C. 1990. The actual vegetation in Mt. Sokri.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4: 1-15. 

  20.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3. The final report of natural resources survey in Songnisan national park. Seoul. pp 535. 

  21.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1. The final report of natural resources survey in Songnisan national park. Seoul. pp 534. 

  22. Lee, H.S. 1991. Continuous distribution of the forest on the elevational gradient of Mt. Sogri. The Bulletin of Institute 5: 55-66. 

  23. Lee, H.S. 1998. Studies on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on Songrisan national park. The Thesis Collection of Ho-Suh Culture 12: 117-127. 

  24. Lee, J.M., Hwang, K.M., and Kim, J.H. 2014.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by cluster analysis in the natural forest of the southern region of Baekdudaegan mountains. The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03: 12-22. 

  25. Lee, K.J., Han, S.S., Kim, J.H., and Kim, Y.S. 1999. Forest ecology. Hyangmoonsa. Seoul. pp. 395. 

  26. Lee, K.J., Ki, K.S., and Choi, J.W. 2009. Vegetation succession and vegetation management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the Beopjusa area, Songni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 208-219. 

  27. Lee, K.J., Park, I.H., Jo, J.C., and Oh, C.H. 1990a.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he forest community in Mt. Sokri(II); Analysis on the plant community by the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4: 33-43. 

  28. Lee, K.J., Yim, K.B., Jo, J.C., and Ryu, C.H. 1990b.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he forest community in Mt. Sokri(I); The conservation planing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4: 23-32. 

  29. McCune, B. and Grace, J.B. 2002. Analysis of ecological communities.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pp. 300. 

  30. McCune, B. and Mefford, M.J. 2011.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6.0. MjM Software, Gleneden Beach, Oregon, U.S.A. 

  31. Microsoft Excel 2010. 2010. Microsoft Corporation. 

  32. Nakai, T. 1923. Genera nova Rhamnacearum et Leeguminosarum ex Asia orientalis, The Botanical Society of Japan 37: 29-34. 

  33. Oh, K.K., Kwo, T.H., and Lee, J.Y. 1990. Edge vegetation structure in the Mt. Sokri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4: 44-50. 

  34. Shannon, D.E. and Weaver, W. 1948.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Bell System Technical Journal 27: 379-423, 623-656. 

  35. Society of American Foresters. 1975. Forest cover types of north America (exclusive of Mexico). Reprint of 1954. Society of American Foresters. Washington D.C. pp. 67. 

  36. Song, H.K., Lee, M.J., Yee, S., Kim, H.J., Ji, Y.U., and Kwon, O.W. 2003. Vegetation structures and ecological niche of Quercus mongolica forests. The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2:409-420. 

  37. Vankat, J.L. 1979. The natural vegetation of north America.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261. 

  38. Vankat, J.L. 1990. A classification of the forest types of north America. Vegetatio 88: 53-66. 

  39. Wishart, D. 1969. An algorithm for hierarchical classifications. Biometrics 25: 165-170. 

  40. Yu, J.E., Lee, J.H., and Kwon, K.W. 2003. An analysis of forest community and dynamics according to elevation in Mt. Sokri and Oda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5: 238-2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