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조리서와 종가의 무김치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the Recipe of Radish Kimchi between Old Cookbooks of Head and Noble Family and Jong-g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5, 2015년, pp.894 - 909  

이현진 (국제한식조리학교) ,  이상원 (국제한식조리학교) ,  전형주 (장안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혜정 (국제한식조리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ims to reveal how radish kimchi (Jong-ga) differs in Jong-ga recipes and old cookbooks. To accomplish this, old cookbooks ("Soowoonjabbang", "Jusiksiui", "Eumsikbangmunnira", "Siuejunsuh", "Banchandeungsok", and "Buinpilji") were reviewed and 8 Jong-ga recipes (Seogye 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가 음식이란? 한식의 원형을 가장 많이 간직하고 있는 것은 서울의 반가 음식이고, 반가음식문화를 간직하고 현대까지 이어져 내려오는 것이 종가 음식이다(Kwon 등 2012). 반가음식은 궁중음식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 김치를 만들어 먹게 된 배경은? 김치는 배추와 무를 주원료로 마늘, 생강, 파, 고춧가루, 젓갈 등의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하여 숙성시켜 먹는 우리나라 고유의 대표 발효․저장식품이다. 인류가 농경생활을 시작하면서 곡물이 주식이 되었고, 이는 영양 균형을 위해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채소를 먹었는데, 겨울에는 채소 생산이 어려워지자 추운겨울에도 이용할 수 있는 염장이라는 저장방법을 터득한 것이다. 김치의 명칭은 “채소류의 소금절임”을 의미하는 침채(沈菜)가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팀채 또는 딤채’가 되었고, 이것이 ‘김채’로 변화되면서 오늘날 ‘김치’가 된 것이다.
본 고에서 연구 대상으로 선택한 무김치가 수록되어 있는 종가 및 반가에 전해 내려오는 조리서의 종류는? 본 연구에서는 종가 및 반가에서 전해 내려오는 조리서들 중에서도 무김치가 수록되어 있는 조리서를 중심으로 광산 김씨 종가의 「수운잡방」 , 은진 송씨 종가의 「주식시의」 , 양주 조씨 종가의 「음식방문니라」 , 진주 강씨 종가의 「반찬등속」 , 그리고 반가의 조리서인 「시의전서」 , 「부인필지」 로 총 6권의 문헌을 선택하였다. 조리서들은 원문이 아닌 현대어역으로 정리되어진 조리서를 활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Cho JS. 1994. Historical review of 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4:93-108 

  2. Cho JS. 2000. Study of Kimchi. Yurimmumhwasa 

  3. Chung HK, Yoon KS, Kim MH. 2015. Comparative study of cooking methods in Suwoonjabbang vs. Eumsikdimibang . J Korean Soc Food Cult 30:41-53 

  4.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nfucianism Laboratory. 2006. Academic origin and family study of Myeongjae Yunjung 

  5. Chyun JH, Rhee HS. 1976. Studies on the volatile fatty acids and carbon dioxide producted in different Kimch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8:90-94 

  6. Ham SS, Kim SH, Moon SY, Jeon MS, Oh DH, Cui CB. 2005.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n effects of the mineral water. J Fd Hyg Safety 20:53-57 

  7. Han BR, Chung KJ. 2004. Royal cuisine of the Joseon dynasty. Institute of Korean Royal Cuisine 

  8. Han JS, Lee SH, Lee KI, Park KY. 1995. Standardizations of traditional special Kimchi on Kyungsang province. J East Asian Soc Dietry Life 5:27-38 

  9. Hong WS, Yoon S. 1989. The effects of low temperature heating and mustard oil on the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331-337 

  10. Jang MS, Kim NY. 1997.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Dongchimi added with citron (Citrus junos). Korean J Soc Food Sci 13:286-292 

  11. Jang MS, Kim NY. 1999. Effects of salting method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akdugi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15:61-67 

  12. Jeon HK, Kim YS, Kim HR. 2009. R&D plan for agrifood and Korean food globalization in RDA.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4:12-20 

  13. Jin YO, Song WS. 2012. Antioxidant activity of Pyrus serotina fruit in different cultivars and parts. Korean J Plant Res 25:498-503 

  14. Joo YH. 2011. The value of Jong-ga food from the cultural point of view.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4:3-12 

  15. Kim DS. 2008.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foods in ancient Korea. M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16. Kim HY, Kil JH, Park KY. 2013. Comparing the properties and functionality of Kimchi made with Korean or Japanese Baeche cabbage and recip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520-526 

  17. Kim MH, Chung HK. 2014. Research of head family and ancestral ritual food's conception perceived by the different age groups. J Korean Soc Food Culture 29:488-498 

  18. Kim MR, Jhee OH, Yoon HM, Yang CB. 1996. Flaver characteristics of Kakdugi by radish cultivars and seas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762-774 

  19. Kim SD, Kim MY. 1997. Science of Kimchi. Publishing department of H-hyoga University. pp. 6-7 

  20. Kim SH. 1991. Comutagenic and antimugenic effects of kimchi components.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 Busan 

  21. Kong CS, Kim DK, Rhee SH, Rho CW, Hwang HJ, Choi KL, Park KY. 2005. Standerdization of manufacturing method of young radish Kimchi (Yulmoo Kimchi) and young radish watery Kimchi (Yulmoo Mool-Kimchi) in literatur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26-130 

  22. Kwon SY. 2008. Introducation about content of cookbook of Banchandeungsok. Life Culture and Research 23:125-155 

  23. Kwon SY. 2010. Dietary life in the 1910's in the Cheonju area:material use of Banchandeungsok. Korean J Food Culture 25:410-415 

  24. Kwon YS, Kim Y, Kim YS, Choe JS, Lee JY. 2012. An exploratory study on Kwa-Jung-ryu of head families. Korean J Food Culture 27:588-597 

  25. Kwon YS, Kim Y, Lee JY, Choe JS, Kim HR, Kim YS. 2013. An exploratory study of foods served to guests of head families (Jong-ga). Korean J Food Culture 28:12-30 

  26. Lee CH, Ahn BS. 1995. Literature review on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foods.I. History of Kimchi making. Korean J Dietary Culture 10:311-319 

  27. Lee KI, Rhee SH, Han JS, Park KY. 1995.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pecial Kimchi in Pusan and Kyunmgnam province. J Korean Soc Food Nutr 24:734-743 

  28. Lee KJ, Cho MS. 2008. Content analysis of the New York Times on Korean restaurants from 1980 to 2005. J Foodservie Management 11:281-306 

  29. Lee S, Ji MY, Kim HS. 2014. A study cultureal aspects of Kimchi in Banchanseungsok . Korean J Food Cook Sci 3:486-497 

  30. Lee YJ. 2011. Jong-ga food reflected in region and Jong-ga cultur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4:13-25 

  31. Moon SW, Jang MS. 2000. Effec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n the sensory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Nabak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co Food Sci Nutr 29:822-891 

  32. Moon SW, Lee MK. 2011. Effects of added harvey powder on the quality of Yulmoo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435-443 

  33. No HK, Lee SH, Kim SD. 1995. Effects of ingredients on fermenta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642-650 

  34. Oh JK. 2000. Content analysis: Applications to tourism research. J Tourism Sci 24:317-322 

  35. Park CR. 2007. A literature review on the methods Kimchi made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MS Thesis. Sookmyung Wonen's Univ. Seoul 

  36. Park CR. 2013. Birth of Kimchi in Joseon Dynasty. Minsokwon 

  37. Park JD. 2012. Research treands and industrial use of Dongchimi. Bulletin of Food Technology 25:164-169 

  38. Park KY. 1995.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169-182 

  39. RDA. 2011. Jong-ga food story. Interrobang NO 12, RDA 

  40. Seo HK (1995). Distribution and kind of salt-fermented fish by regional. Korean J Food Cook Sci 1:418-425 

  41. Shim YH, Ann GJ, Kim JE. 2004. The changes of hardness and microstructure of Dongchimi according to different kinds of wat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0:86-94 

  42. Sohn KH. 1991. Kinds and usage of Kimchi. Korean J Dietary Culture 6:503-520 

  43. Yang JS, Kim OH, Chung SY, Yoo TM, Roh YN, Yi SY, Chung MY, Ahn MR, Choi HY, Rheu HM. 1999. Pharmacologicaql evaluation of bamboo salt. The Journal of Applied Pharmacology 7:178-184 

  44. Yoon SK. 1994. Study on native local foods Andong region. Korean J Dietary Culture 9:61-69 

  45. Zhao X, Jung OS, Park KY. 2012. Alkaline and antioxidant effects of bamboo sal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1301-13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