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경용 차양막 재료의 명도가 하절기 옥외공간의 평균복사온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Landscaping Shade Membrane's Brightness on the Mean Radiant Temperature(MRT) of Summer Outdoor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5, 2015년, pp.65 - 73  

이춘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  류남형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경용 차양막의 명도가 하절기 옥외공간에서 인간이 느끼는 온열쾌적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흑색과 백색 차양막으로 2.5m의 피라미드형 시험구를 조성하여 그 하부 공간의 평균복사온도 변화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실적인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95% 일사차단율의 농업용 통기성 흑색 차양망 하부와 비교 검토하였다. 지면으로부터 1.1m, 1.7m, 2.4m 지점에서 계측된 평균복사온도를 비교한 결과, 차양이 없는 대조구의 평균복사온도가 $41.8^{\circ}C$일 때, 막면과 인접한 지상 2.4m 지점의 평균복사온도는 흑색 및 백색막과 통기성 흑색망에서 각각 $49.1^{\circ}C$, $41.6^{\circ}C$, $36.8^{\circ}C$로 분석되어, 흑색막 아래의 값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사람이 체감하는 범위인 지상 1.7m 지점의 평균값은 $37^{\circ}C$, $38^{\circ}C$, $33^{\circ}C$로 분석되어 재료의 명도에 의한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는 흑색막보다 백색막 아래의 평균복사온도 값이 미세하게나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기성 흑색망의 경우 모든 높이에서 가장 낮은 평균복사온도를 보여서 하절기 열환경 개선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에 사용된 차양막 소재의 일사 반사 및 흡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동일 소재라도 색상의 밝기에 따라서 일사의 반사율흡수율, 투과율에서 차이가 발생됨이 확인되었다. 흑색막의 경우, 일사 반사율은 낮고, 흡수율은 높아 막 자체의 온도가 현저히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일사 투과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백색막의 경우, 일사반사율은 높은 반면, 일사 흡수율이 낮아 막면 자체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일사투과율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막면의 장파복사량과 표면온도는 흑색이 높게 나타났으나, 실제 사람들의 체감 범위에서의 평균복사온도는 흑색막 아래가 미세하게나마 더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난 것은 백색막의 상대적으로 높은 일사투과율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ean Radiant Temperature(MRT) under two landscaping shade membranes, white and black, with those of natural outdoor spaces at summer midday. An additional perforated black shading net was applied and compared for the consideration of the practical appl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조경용 차양막의 명도 차이에 의해서 어느 정도의 태양 일사가 차단되고, 이에 따라서 어느 정도의 온열환경이 개선되는지를 객관적 물리량으로 검증함에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잔디밭에 실제 상업용으로 판매되는 차양용 프레임을 설치하고, 그 상단에 흑색과 백색의 차양막과 흑색의 농업용 차양망을 적용하여 2014년 6월부터 8월까지 지면으로부터 1.
  • (Mean Radiant Temperature: MRT)를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아울러, 다양한 재질과 특성의 막 소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실제 옥외 작업공간에서는 농업용 차양망이 흔하게 적용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통기성 차양망 하부의 위치별 평균복사 온도와 비교함으로써 현실적인 측면에서의 막소재의 개선 및 보완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반면에, 설치의 편의성과 경제적인 가격, 디자인적 표현력 등을 이유로 최근 도시 옥외공간에 막구조형 차양시설 특히, 막구조물, 파라솔, 어닝(awning), 천막과 같은 형태의 시설물이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지만, 이들 소재의 차양 특성에 대한 조경분야에서의 연구는 아직 미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 옥외공간에서 차양재료로 널리 적용되고 있는 박막형 차양소재의 열환경 조절특성을 해석하기 위한 시도로서, 파라솔과 어닝 등의 주 소재인 캔버스천의 명도에 따른 차양 효과를 중점적으로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막소재의 명도와 관련된 기존 연구로는 건축용 막재의 건축물 에너지 효율 증대 효과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는데, 고 반사성 막재를 적용함으로써 건축물 표면온도를 최대 20℃ 정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He and Hoyano, 2009; Yoshida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내공간의 온열특성에 대한 연구가 오래전부터 지속된 이유는? 옥외활동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옥외 공간의 물리적 구조와 특성이 이용자가 체감하는 생리적 쾌적감 특히, 덥고 추움과 관련된 열 쾌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조경의 산업적 측면에서나 환경개선의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내공간의 온열특성의 경우 인공적인 공조(air-conditioning)를 통하여 옥외공간보다는 비교적 수월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그 영향 인자도 비교적 분명하게 정의할 수 있어, 건축 분야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반면에, 조경분야의 주 대상이 되는 옥외공간은 인공적인 공조를 적용할 수도 없고, 온열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조차도 명확하게 정의하기 어려워,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된 것은 극히 최근의 일이다.
옥외공간의 연구가 최근이 되어서야 진행된 이유는? 실내공간의 온열특성의 경우 인공적인 공조(air-conditioning)를 통하여 옥외공간보다는 비교적 수월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그 영향 인자도 비교적 분명하게 정의할 수 있어, 건축 분야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반면에, 조경분야의 주 대상이 되는 옥외공간은 인공적인 공조를 적용할 수도 없고, 온열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조차도 명확하게 정의하기 어려워,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된 것은 극히 최근의 일이다.
태양의 복사에너지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로수나 녹음수의 식재가 효과적이라는 점 외에 옥외공간의 구성과 구조에 따른 온열 환경 변화를 해석하려는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2013).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하절기 옥외공간에서 농업용 차양막과 비닐 방풍막을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차양에 의해서 평균 9℃, 최대 13℃의 평균복사온도가 낮아진 반면, 통풍을 억제함으로써 평균 3℃, 최대 16℃의 평균복사온도가 높아진 것으로 연구된 사례가 있다(Lee and Ryu, 2012). 그러나, 옥외공간에서 통풍과 차양을 포함한 다양한 물리적 변수가 인간이 느끼는 온열쾌적감에 어느 정도의 실질적인 효과가 있는지를 구체적인 수치로 표현하는 데는 아직 많은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hn, T. M., J. W. Lee, B. R. Kim, H. S. Yoon, S. W. Son, Y. Choi, N. R. Lee, J. Y. Lee and H. R. Kim(2013) An analysis of thermal comforts for pedestrians by WBGT measurement on the urban street green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3): 22-30. 

  2. Choi, D. H. and B. Y. Lee(2007) Analysis of passive cooling effect of membrane shading structure and the tree by field observations in the summer.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27(4): 137-146. 

  3. He, Jiang and Akira Hoyano(2009) Measurement and simulation of the thermal environment in the built space under a membrane structure. Building and Environment 44: 1119-1227. 

  4. ISO 7726(2001) Ergonomics of the Thermal Environment - Instruments for Measuring Physical Quantities. 

  5. ISO 7730(2005) Ergonomics of the Thermal Environment - Analytical Determin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Thermal Comfort Using Calculation of the PMV and PPD Indices and Local Thermal Comfort Criteria. 

  6. Lee, C. S. and N. H. Ryu(2012) The influence of ventilation and shade on the mean radiant temperature of summer outdoo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5): 100-108. 

  7. Lee, C. S. and N. H. Ryu(2014) The comparison of the solar radiation and the mean radiant temperature(MRT) under the shade of landscaping trees in summertim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5): 22-30. 

  8. Potchter, O., Y. Yaakov, L. Shashua-Bar, S. Cohen, J. Tanny and P. Bar-Kutiel(2011) The use of urban vegetation as a tool for heat stress mitigation in hot and arid regions, case study: Beer Sheva Israel. City Weather: Meteorology and Urban Design 1950-2010: 1-13. 

  9. Ryu, N. H. and C. S. Lee(2014) Effects for the thermal comfort index improvement of park woodlands and lawns in summe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6): 21-30. 

  10. Toy, S. and S. Yilmaz(2010) Evaluation of urban-rural bioclimatic comfort differences over a ten-year period in the sample of Erzincan city reconstructed after a heavy earthquake. Atmosfera 23(4): 387-402. 

  11. Yoshida, Atsumasa, Shinichi Kinoshita and Hiroki Murakami(2006) Measurement on radiative properties of membrane material for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reduction effect of heat island phenomena. Journal of Heat Island Institute International 1: 37-40. 

  12. Comfile Technology(2010) http://www.comfile.c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