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쑥부쟁이속 6종의 새싹채소 발아, 재배 및 저장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Sprout Germination, Growth, and Storage of Six Aster Species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3 no.5, 2015년, pp.638 - 646  

김지수 (충북대학교 축산.원예.식품공학부 생물건강소재산업화사업단) ,  조주성 (충북대학교 축산.원예.식품공학부 생물건강소재산업화사업단) ,  이철희 (충북대학교 축산.원예.식품공학부 생물건강소재산업화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원식물 종자의 유용성을 증대시키는 방법의 하나로 쑥부쟁이속 6종(가새쑥부쟁이, 눈개쑥부쟁이, 벌개미취, 참취, 해국, 쑥부쟁이) 새싹채소의 최적 생산방법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적정 발아조건 구명은 온도(15, 20, 25, $30^{\circ}C$) 및 광조건을 달리하여 종자를 파종한 다음 발아율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길이생장 기간은 온도(15, 20, 25, $30^{\circ}C$)를 달리하여 암조건에서 10일간 진행하였다. 적정 녹화기간을 알아보기 위하여 최적의 발아조건과 길이생장 기간 동안 재배한 유묘를 0-3일간 광조건에서 재배하였다. 저장환경 및 기간을 알아보기 위해 최적조건에서 재배한 새싹 채소를 통기구가 있는 용기와 밀폐 용기에 각각 넣은 다음 $4^{\circ}C$$10^{\circ}C$에서 저장하였다. 연구의 결과, 종자는 발아율 조사를 통해 12일 이내에 50% 이상 발아하는 것을 선발하였다. 길이생장은 $20-25^{\circ}C$에서 생육이 우수하였고 최적의 재배기간은 7-9일로 구명되었다. 녹화기간이 길어질수록 길이생장은 지체되었으나, 하배축의 부피생장 및 떡잎의 생육이 왕성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하였을 때, 2일간의 녹화처리가 가장 좋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저장성 실험은 $4^{\circ}C$에서 저장한 밀폐 용기에서 저장성이 좋았으며 부패는 환기에 의해 방지되었으나, 수분함량이 감소하였다. 모든 새싹채소는 $4^{\circ}C$에서 3-6일간 신선도를 유지하였으며, 특히 눈개쑥부쟁이와 쑥부쟁이는 높은 저장성을 가져 $10^{\circ}C$에서도 3일 이상 저장이 가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crease the utility of seeds in plant resources, seeds of 6 Aster species(A. incisus, A. hayatae, A. koraiensis, A. scaber, A. spathulifolius, and A. yomena) were subjected to experiments to develop adequate methods for sprout production. To study optimum germination conditions, germination r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식용이 가능한 쑥부쟁이속 식물의 종자를 이용 하여 새로운 새싹채소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경용 및 식용으로 사용되는 자생 쑥부쟁이속 식물 6종의 적정 발아조건을 구명하여, 단기간에 발아가 가능하고 발아세가 높은 종을 선발하였다.
  • 선발된 종은 길이생장 실험을 통해 상품성을 판단하고, 녹화처리를 통해 출하 적기를 구명하였다. 생산된 새싹채소는 포장방법과 저장온도를 달리하여 적절한 유통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 연구의 결과, 가새쑥부쟁이, 눈개쑥부쟁이 및 쑥부쟁이등 3종은 50% 이상의 발아율을 보였으며 최소 발아 소요일이 비교적 짧아 새싹채소로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고품질의 새싹채소의 생산기술 확립을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싹은 성장시기에 따라 SOD 유사활성 및 DPPH radical 소거능이 어떻게 달라지는가? 새싹은 성장시기에 따라 기능성 물질의 함유량도 달라지는데, 무순 추출물은 성장 초기인 4일과 성장 말기인 12일에 SOD 유사활성 및 DPPH radical 소거능이 높았으며, 성장 중기인 8일에는 SOD 유사활성 및 DPPH radical 소거능이 낮았다고 한다(Han et al., 2003a).
국화과 식물들 중에서 쑥부쟁이속의 가새쑥부쟁이, 눈개쑥부쟁이 및 쑥부쟁이의 특징은? 예로부터 구절초, 감국 등의 국화과 식물들은 식용 및 약용소재로 사용되어 왔다(Ahn, 2003). 그 중 쑥부쟁이속의 가새쑥부쟁이, 눈개쑥부쟁이 및 쑥부쟁이 등은 관상가치가 우수하여 경관식물로 유망하며, 약용하거나 어린순을 식용한다(Jung et al., 2005; Lee et al.
암상태에서 재배된 쓴메밀의 새싹채소는 보통 메일에 비하여 단위당 기능성 물질의 함량이 어떠한가? 또한 항산화, 항암 등 식품의 기능성 물질에 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새싹채소를 이용한 기능성 분석도 왕성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새싹채소가 일반채소에 비하여 단위당 기능성 물질의 함량이 높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암상태에서 재배된 쓴메밀의 새싹채소는 보통 메밀에 비해 rutin 함량은 4.1배, quercetin 함량은 19배, chlorogenic acid 함량은 5배 가량 높았다(Yoon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D.K. 2003. Illustrated book of Korean medical herbs. Gyohaksa Publishing Co., Seoul, Korea. 

  2. Cho, J.Y., D.M. Son, J.M. Kim, and B.S. Seo. 2008. Effects of LEDs on the germination, growth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Amaranth sprouts. Kor. J. Hort. Sci. Technol. 26:106-112. 

  3. Fankhauser, C. and J. Chory. 1997. Light control of plant development. Annu. Rev. Cell Dev. Biol. 13:203-229. 

  4. Han, J.H., H.K. Moon, J.K. Kim, G.Y. Kim, and W.W. Kang. 2003a. Effect of physiological activity in extract of radish sprout. Kor. J. Food Preserv. 11:98. (Abstr.) 

  5. Han, J.H., H.K. Moon, J.K. Kim, G.Y. Kim, and W.W. Kang. 2003b.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radish bud (Raphanus sativus L.) during growth stage. Korean J. Food Cook. Sci. 19:596-602. 

  6. Hopkins, W.G. 1999. Introduction to plant physiology. John Wiley & Sons, Inc., N.Y. USA. 

  7. Jung, B.M., S.S. Lim, Y.J. Park, and S.J. Bae. 2005. Inhibitory effects on cell survival and quinone reductase induced activity of Aster yomena fractions on huma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8-12. 

  8. Jung, H.J. 1999.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Gymnaster koraiensis (Nakai) kitamura. PhD Diss. Chungnam National Univ., Korea. 

  9. Kang, C.H. and D.H. Kim. 2000. Effect of prechilling and alternating temperature on seed germination of native plants. Korean J. Plant Res. 13:202-207. 

  10. Kays, S.J. 1991. Postharvest physiology of perishable plant product. AVI, New York, USA. 

  11. Kim, C.S. 1980. Study on the seed germination and salt tolerance of plants in reclaimed salt area. J. Plant Biol. 23:27-33. 

  12. Kim, T.J. 1996. Korea resources plants. IV. Seoul National Univ. Press, Seoul, Korea. 

  13. Lee, M.J., S.Y. Lim, J.K. Kim, and M.M. Oh. 2012. Heat shock treatments induce the accumulation of phytochemicals in Kale sprouts. Kor. J. Hort. Sci. Technol. 30:509-518. 

  14. Lee, M.Y. 2007.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Production of Sprout Vegetables Using Sixty Three Species of Resource Plants. M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 Korea. 

  15. Lee, M.Y., S.L. Shin, and C.H. Lee. 2007a. Several factors affecting sprout vegetable production of Aster hayatae. Proc. Korean Soc. Crop Sci. 52:356. (Abstr.) 

  16. Lee, M.Y., S.L. Shin, and C.H. Lee. 2007b. Several factors affecting sprout vegetable production of Aster incisis. Proc. Korean Soc. Crop Sci. 52:351. (Abstr.) 

  17. Lee, M.Y., S.L. Shin, Y.D. Chang, and C.H. Lee. 2009a. Environment factors for germination, growing and storage of sprout vegetables of Coreopsis tinctoria nutt., Saussurea pulchella (Fisch.) Fisch. and Matricaria recutica L. Korean J. Plant Res. 22:136-144. 

  18. Lee, M.Y., S.L. Shin, S.H. Park, N.R. Kim, Y.D. Chang, and C.H. Lee. 2009b. Development of optimal cultivation condition and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Atctium lappa sprout vegetables. Korean J. Plant Res. 22:304-311. 

  19. Lee, S.W. 1962. The study on rise and fall of vitamin c of green bean sprouts of nutritional growth on Korean cooking. J. Korean Home Econ. Assn. 3:357-367. 

  20. Maneinelli, A.L., H.A. Borthwick, and S.B. Hendricks. 1966. Phytochrome action in tomato seed germination. Bot. Gaz. 127:1-5. 

  21. Shin, S.K., J.H. Park, J.O. Jeon, T. Yun, and J.S. Yun. 2001. Effects of planting density on the growth of Aster koraiensis in the flat bare land.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4:15-20. 

  22. Song, J., S.L. Kim, J.J. Hwang, Y.K. Son, J.C. Song, and H.S. Hur. 200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ybean sprouts according to culture period. Korea Soybean Dig. 17:84-89. 

  23. Yoon, Y.H., J.G. Lee, J.C. Jeong, H.C. Ok, and C.G. Kim. 2006. Effect of temperature and light on the antioxidative polyphenols contents in tatary buckwheat sprout. Proc. Korean Soc. Crop Sci. 51:378-379. 

  24. Zhang, F., G. Chen, G. Huang, O. Orion, T. Krugman, T. Fahima, A.B. Korol, E. Nevo, and Y. Gutterman. 2005. Genetic basis of barley caryopsis dormancy and seedling desiccation tolerance at the germination stage. Theor. Appl. Genet. 110:445-45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