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스파라거스 4 품종의 생장, 휴면타파, 수량 및 추출물의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Plant Growth, Dormancy Breaking, Yield,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in Four Asparagus Cultivars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3 no.5, 2015년, pp.796 - 804  

이종원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허북구 ((재)나주시 천연염색문화재단) ,  배종향 (원광대학교 원예산업학과) ,  구양규 (원광대학교 원예산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아스파라거스 4 품종의 생장 특성, 휴면타파, 수량 및 생리활성 함량(플라보노이드와 페놀화합물 함량, 아질산염 소거 및 폐암세포 생존율)를 조사하였다. 국내 아스파라거스 재배 시 생리활성 고효능 품종 선택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Jersey Giant', 'Jersey Supreme' 그리고 'NJ953' 품종들은 'UC157' 품종보다 눈의 개수,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 등이 높았지만 뿌리의 개수에 차이가 없었다. 'Jersey Supreme' 품종의 휴면타파 기간은 다른 품종들보다 길었다. 'Jersey Giant'와 'NJ953'품종들은 다른 품종들보다 순의 개수, 직경 및 생산량이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품종 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에탄올 추출에서 열수 추출보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았다. 총 페놀화합물은 열수 추출과 에탄올 추출 모두 'NJ953' 품종은 가장 낮은 반면에 에탄올 추출에서 'UC157'에서 가장 많은 $39.23mg{\cdot}L^{-1}$을 나타냈다. 'Jersey Giant', 'Jersey Supreme' 그리고 'NJ953'의 아질산염 소거 효과는 70% 이상 효과를 나타냈다. 에탄올 추출 시 추출물의 농도와 관계없이 'Jersey Giant', 'Jersey Supreme' 그리고 'UC157' 품종들은 'NJ953' 품종보다 폐암세포 생존율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폐암세포 생존율은 에탄올 추출보다 열수 추출에서 낮아 아스파라거스 식용도 폐암 예방 효과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규명된 아스파라거스의 생육 특성과 생리 활성 효과는 생리활성 고효능 품종 선택 및 이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dormancy breaking, yield, and biological activity properties (contents of flavonoid and phenolic compounds,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the survival rate of lung cancer) of four asparagus cultivars. It aimed to examine selection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배경에서 아스파라거스 수그루 품종인 ‘Jersey Giant’, ‘Jersey Supreme’, 그리고 ‘NJ953’과 암・수그루 혼용 품종 ‘UC157’의 생육특성 및 생리활성 효과를 조사하여 국내 재배 시 품종 선택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스파라거스는 어떤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가? 아스파라거스(Asparagus officinalis L.)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채소로 유럽, 북 아메리카, 남 아메리카, 아프리카 및 오세아니아 등 열대, 온대, 건조 및 사막 지역 등에서 재배되고 있다(Ku et al., 2007).
아스파라거스 4 품종의 에탄올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 효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아질산염 소거 효과는 품종 및 추출 용매 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암・수그루 혼용 품종인 ‘UC157’ 제외하고, 수그루품종인 ‘Jersey Giant’, ‘Jersey Supreme’ 그리고 ‘NJ953’은 추출 용매와 관계없이 70% 이상의 아질산염 소거 효과를 나타냈다. 열수 추출 시 아스파라거스 4 품종의 폐암세포 생존 억제효과는 품종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스파라거스에 포함된 약리성분은? 한편, 최근 소비자들은 채소나 과실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에 관심을 갖고 있는데, 아스파라거스에도 폴리페놀, 아스파라긴산, 프로토다이오신 등 유익한 기능성 및 약리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Chin and Garrison, 2008; Lee et al., 2014; Maed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ha, J.Y. and Y.S. Cho. 2001. Biofunctional activities of citrus flavonoid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122-128. 

  2. Chin, C.K. and S.A. Garrison. 2008. Functional elements from asparagus for human health. Acta Hortic. 776:219-225. 

  3. Daningsih, E. 2005. Growth development and related changes in morphology-physiology of asparagus plants associated with their productivity. Ph D thesis, Massey University, Palmerston North, New Zealand. 

  4. Dewanto, V., X. Wu, K.K. Adom, and R.H. Liu. 2002.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3010-3014. 

  5. Fanasca, S., Y. Rouphael, E. Venneria, E. Azzini, A. Durazzo, and G. Maiani. 2009. Antioxidant properties of raw and cooked spears of green asparagus cultivars. Int. J. Food Sci. Technol. 44:1017-1023. 

  6. Fuentes-Alventosa, J. M., S. Jaramillo, G. Rodriguez-Gutierrez, P. Cermeno, J. A. Espejo, A. Jimenez-Araujo, R. Guillen-Bejarano, J. Fernandez-Bolanos, and R. Rodriguez-Arcos. 2008. Flavonoid profile of green asparagus genotypes. J. Agric. Food Chem. 56:6977-6984. 

  7. Frei, B. and J.V. Higdon. 2003. Antioxidant activity of tea polyphenols in vitro: Evidence from animal studies. J. Nutr. 133:3275-3284. 

  8. Gorinstein, S., Y.S. Park, B.G. Heo, J. Namiesnik, H. Leontowicz, M. Leontowicz, K.S. Ham, J.Y. Cho, and S.G. Kang. 2009. A comparative study of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in frequently consumed raw vegetables. Eur. Food Res. Technol. 228:903-911. 

  9. Gray, J.I. and L.R. Dugan J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981-984. 

  10. Guerrero, T.E., P. Vejarano, J.L. Paredes, and R. Cepeda. 2012. Phytochemical screening and quantification of total flavonoids of canned white asparagus (Asparagus officinalis). Acta Hortic. 950:241-245. 

  11. Haynes, R.J. 1987. Accumulation of dry matter and changes in storage carbohydrate and amino acid content in the first 2 years of asparagus growth. Sci. Hortic. 32:17-23. 

  12. Heo, B.G., S.U. Chon, Y.J. Park, J.H. Bae, S.M. Park, Y.S. Park, H.G. Jang, and S. Gorinstein. 2009.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Korean wild vegetables on different human tumor cell lines. Plant Foods Hum. Nutr. 64:257-263. 

  13. Jia, Z., M. Tang, and J. Wu.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y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555-559. 

  14. Kawaguchi, K., T. Mizuno, K. Aida, and K. Uchino. 1997. Hesperidin as an inhibitor of lipases from porcine pancreas and pseudomonas. Biosci. Biotechnol. Biochem. 61:102-104. 

  15. Kim, E.J., J.Y. Choi, M. Yu, M.Y. Kim, S. Lee, and B. H. Lee. 2012.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337-342. 

  16. Ku, Y.G., D.J. Woolley, A.R. Hughes, and M.A. Nichols. 2007. Temperature effects on dormancy, bud break and spear growth in asparagus (Asparagus officinalis L.). J. Hortic. Sci. Biotechnol. 82:446-450. 

  17. Lee, E.J., K. S. Yoo, and B.S. Patil. 2010. Development of a rapid HPLC-UV methods for simultaneous quantification of protodioscin and rutin in white and green asparagus spears. J. Food Sci. 76:C703-C709. 

  18. Lee, J.H., J.H. Bae, and Y.G. Ku. 2013. Effect of two male cultivars of asparagus with low temperature treatment on bud breaking and spear growth. Kor. J. Hort. Sci. Technol. 31: 141-145. 

  19. Lee, J.W., J.H. Lee, I.H. Yu, S. Gorinstein, J.H. Bae, and Y.G. Ku. 2014. Bioactive compounds, antioxidant and binding activities and spear yield of Asparagus officinalis L. Plant Foods Hum. Nutr. 69:175-181. 

  20. Lee, K. S., M. G. Kim, and K. Y. Lee.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lotus (Nelumbo nucifer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338-342. 

  21. Maeda, T., K. Honda, T. Sonoda, S. Motoki, K. Inoue, T. Suzuki, K. Oosawa, and M. Suzuki. 2010. Light condition influences rutin and polyphenol contents in asparagus spears in the mother-fern culture system during the summer-autumn harvest. J. Jpn. Soc. Hortic. Sci. 79:161-167. 

  22. Mosmann, T. 1983.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55-63. 

  23. Motoki, S., H. Kitazawa, T. Maeda, T. Suzuki, H. Chiji, E. Nishihara, and Y.Shinohara. 2012. Effects of various asparagus production methods on rutin and protodioscin contents in spears and cladophylls. Biosci. Biotechnol. Biochem. 76: 1047-1050. 

  24. Na, G.M., H.S. Han, S.H. Ye, and H.K. Kim. 2004. Physiologic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1:388-393. 

  25. Normington, K.W., I. Baker, M. Molina, J.S. Wishnok, S.R. Tannenbaum, and S. Puju. 1986. Characterization of a nitrite scavenger, 3-hydroxy-2-pyranone, from Chinese wild plum juice. J. Agric. Food Chem. 34:215-217. 

  26. Swann, P.F. 1975. The toxicology of nitrate, nitrite and N-nitroso compounds. J. Sci. Food Agric. 26:1761-1770. 

  27. Robb, A.R. 1984. Physiology of asparagus (Asparagus officinalis) a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the crop. N. Z. J. Exp. Agric. 12:251-260. 

  28. Rodriguez, R., S. Jaramillo, G. Rodriguez, J.A. Espejo, R. Guillen, J. Fernandez-Bolanos, A. Heredia, and A. Jimenez.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several asparagus cultivars. J. Agric. Food Chem. 53:5212-5217. 

  29. Seong, K.C., J.S. Lee, S.G. Lee, and B.C. Yoo. 2001.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by varieties and effects of rain shelter and mulching on the production of asparagus (Asparagus officinalis L.). J. Bio-Environ. Control 10:187-196. 

  30. Shao, Y., C.K. Chin, C.T. Ho, W. Ma, S.A. Garrison, and M.T. Huang. 1996. Anti-tumor activity of the crude saponins obtained from asparagus. Cancer Lett. 104:31-36. 

  31. Shou, S., G. Lu, and X. Huang. 2007. Seasonal variations in nutritional components of green asparagus using the mother fern cultivation. Sci. Hortic. 112:251-257. 

  32. Sinton, S.M. and D.R. Wilson. 1999. Comparative performance of male and female plants during the annual growth cycle of a dioecious asparagus cultivar. Acta Hortic. 479:347-353. 

  33. Sun, T., J.R. Powers, and J. Tang. 2007.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sparagus, broccoli and their juices. Food Chem. 105:101-106. 

  34. Tian, Q., E.G. Miller, H, Ahmad, L. Tang, and B.S. Patil. 2001. Differential inhibition of human cancer cell proliferation by citrus limonoids. Nutr. Cancer 40:180-184. 

  35. Wang, M., Y. Tadmor, Q.L. Wu, C.K. Chin, S.A. Garrison, and J.E. Simon. 2003. Quantification of protodioscin and rutin in asparagus shoots by LC/MS and HPLC methods. J. Agric. Food Chem. 51:6132-6136. 

  36. Wilson, D.R., S.M. Sinton, and C.E. Wright. 1999. Influence of time of spear harvest on root system resources during the annual growth cycle of asparagus. Acta Hortic. 479:313-319. 

  37. Woolley, D.J., E. Daningsih, and M. Nichols. 2008. Bud population dynamics and productivity of asparagus. Acta Hortic. 776:429-4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