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1 no.5, 2015년, pp.581 - 587
유은미 (국립암센터 생물의약품생산실) , 민성희 (세명대학교 한방식품영양학부)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Korean dandelion (Taraxacum coreanum). Water extracts, ethanol extracts and methanol extracts were used to examine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flavonoid content,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민들레는 과거 한방이나 민간에서 어떻게 불렸는가? | 최근 기능성 음료가 새로운 소비 유형으로 자리 잡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와 제품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참취, 신선초, 양파, 클로렐라, 감잎, 손바닥 선인장, 누에 등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에 관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Chung DO & Park YK 1999, Bae DK 등 2000, Kwon SC 등 2003, Kim SJ 등 2004, Kim JS 2004, Kim EJ 등 2011, Lee GD 2013, Song NE 등 2013). 민들레는 한방 및 민간에서 포공영(蒲公英:본초도경), 포공초 (蒲公草:당본초), 지정(地丁:본초연의), 백고정(白鼓丁:야 채보) 등으로 불리고 있는 다년생의 국화과 식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있다(Lee YE & Hong SH 2003). 민들레에 대한 연구도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서양민들레 잎과 뿌리의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서양민들레 추출물의 식중독 및 병원성 세균에 미치는 증식 억제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Kim KH 등 1998, Kang MJ & Kim KS 2001, Kang MJ 등 2002, Han EK 등 2011, Kim KM 등 2012, Min KC & Jhoo JW 2013). | |
민들레란? | 최근 기능성 음료가 새로운 소비 유형으로 자리 잡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와 제품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참취, 신선초, 양파, 클로렐라, 감잎, 손바닥 선인장, 누에 등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에 관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Chung DO & Park YK 1999, Bae DK 등 2000, Kwon SC 등 2003, Kim SJ 등 2004, Kim JS 2004, Kim EJ 등 2011, Lee GD 2013, Song NE 등 2013). 민들레는 한방 및 민간에서 포공영(蒲公英:본초도경), 포공초 (蒲公草:당본초), 지정(地丁:본초연의), 백고정(白鼓丁:야 채보) 등으로 불리고 있는 다년생의 국화과 식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있다(Lee YE & Hong SH 2003). 민들레에 대한 연구도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서양민들레 잎과 뿌리의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서양민들레 추출물의 식중독 및 병원성 세균에 미치는 증식 억제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Kim KH 등 1998, Kang MJ & Kim KS 2001, Kang MJ 등 2002, Han EK 등 2011, Kim KM 등 2012, Min KC & Jhoo JW 2013). | |
국내에서 민들레 추출물에 대해 어떤 연구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 민들레에 대한 연구도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서양민들레 잎과 뿌리의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서양민들레 추출물의 식중독 및 병원성 세균에 미치는 증식 억제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Kim KH 등 1998, Kang MJ & Kim KS 2001, Kang MJ 등 2002, Han EK 등 2011, Kim KM 등 2012, Min KC & Jhoo JW 2013). 항산화 물질이 함유된 식품은 항산화물질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자유라디칼이나 ROS(Reactive oxygen species)에 대한 생체방어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우리나라에서 오래 전부터 섭취해왔던 식물자원으로부터 항산화 효과가 있는 물질을 분리, 이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Choi SY 등 2005, Han EK 등 2010, Jang HS & Choi I 2012, Joo SY 2013). |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2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p 127-130
Bae DK, Choi HJ, Son JH, Park MH, Bae JH, An BJ, Bae MJ, Choi C. 2000. The study of development and stability of functional beverage from Korean persimmon (Diospyros kaki L. folium) leaf. Korean J Food Sci Technol 32(4):860-866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Cai H, Choi SI, Lee YM, Heo TR. 2002. Antimicrobial effects of herbal medicine extracts on Staphyl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0157:H7. Korean J Biotechnol Bioeng 17(6):537-542
Choi SY, Lim SH, Kim JS, Ha TY, Kim SR, Kang KS, Hwang IK. 2005. Evaluation of the estrogen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edible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4):549-556
Choi W, Shin DH, Chang YS, Shin JI. 1992. Screening of natural antioxidant from plant and their antioxidantive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24(2):142-148
Chung DO, Park YK. 1999. The study of softdrinks production and functional food in onions. Korean J Soc Food Sci 15(2):158-162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2):239-243
Han HS, Park JH, Choi HJ, Sung TS, Woo HS, Choi C. 2004. Optimization of roasted perilla lear tea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1):96-106
Kang MJ, Kim KS 2001. Current trends of research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dandelion. Food Ind Nutr 6(3):60-67
Kang MJ, Shin SR, Kim KW. 2002.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ter extract from dandelion (Taraxacum foooicinale). Korean J Food Preserv 9(2):253-259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Food Sci Technol 36(2):333-338
Kim JS. 2004. Preparation of chlorella drinks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Nutr 17(4):382-387
Kim KH, Chun HJ, Han YS. 1998.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 extract. Korean J Soc Food Sci 14(1):114-118
Kim MJ, Oh SL. 1999. Effect of pre-treatment methods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persimmon leaf tea.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4):435-441
Kim MS, Lee DC, Hong JE, Chang IS, Cho HY, Kwon YK, Kim HY. 2000. Antimicrobial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and Indonesian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4):949-958
Kim SJ, Kim CK, Kim GH.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Aster scaber and development of functional healthy drinks using its extract. Korean J Soc Food Cook Sci 20(3):310-316
Kwon SC, Cho JH, Jeong JH 2003. Development of functional drink using the Hericium erinaceum cultivated on the Angelica keiskei. Food Ind Nutr 8(3):45-51
Lee BY, Kim EJ, Choi HD, Kim YS, Kim IH, Kim SS. 1995.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oxthorn hot water extracts by roast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5):768-772
Lee SH, Park HJ, Kim YI, Lee SG. 2004. Comparison of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different varieties and parts of dandelion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15(2):101-107
Lee YE, Hong SH. 2003. Oriental medical food materials science. Kyomunsa, Seoul, Korea. pp 203-204
Lee YS. 2000. Studies of ligularia fischeri, perilla leave, taraxacum platycarpum and allium tubrosum rottler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Master's thesis. Hallim University. Chuncheon, Korea. pp 39-45
Min SH, Lee BR.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cultivated in Jecheon. Korean J Food Culture 22(3):336-341
Song NE, Yoo HD, Baik SH(2013) Preparation of functional beverage by using dandelion (Taraxacum mongolicum H.) extracts and its functional compon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6):733-741
Yoon SK, Kim WJ. 1989. Effects of roast condition on quality and yields of barley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1(4):575-582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