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의 부위별 영양성분 및 항산화효과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coreanum and Taraxacum officinale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0 no.3, 2015년, pp.362 - 369  

이재준 (조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과) ,  오희경 (장안대학교 건강과학부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aerial part and root) of Taraxacum coreanum and Taraxacum officinale. To identify the nutrient composition of different parts of Daedelion species, nutrient contents were analyzed. Crude ash, protein,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흰들레와 서양민들레간의 영양학적인 측면과 재배 육성학적인 측면을 고려한다면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의 개발 가치를 검토할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 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기능성 소재로서 흰민들레와 서양민들레의 개발가능성을 소개하고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개발들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기능성 식품 및 산업소재로서의 개발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Tr means trace.
  • 4)N.D. means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 분포하는 민들레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민들레의 뿌리, 잎, 꽃, 꽃줄기 등식물의 전체를 동양에서는 오랫동안 약용으로 사용하여 왔는데, 지상부를 건조한 것은 완하제, 강장제 등의 약제로 사용되었고, 뿌리 부위를 건조한 것은 해열, 이뇨, 해독제로 사용되고 있다(Kang & Kim 2001). 국내에 분포하는 민들레로는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좀민들레(Taraxacumhallaisnese), 산민들레(Taraxacum ohwianum), 토종민들레(T.mongolicum), 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로 구별된다. 다양한 민들레 중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민들레 품종으로는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와 흰민들레(Taraxacumcoreanum)로 구분 할 수 있다.
서양민들레와 달리 흰민들레가 갖는 특징은? 서양민들레(Taraxacumofficinale)는 유럽이 원산지로서 국내에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흑한기를 제외하고 연중 14회 개화하고 번식능력이 뛰어나서 재배학적으로 매우 경제적인 식물이다. 반면에,흰민들레(Taraxacum coreanum)는 토종민들레와 비슷하지만 꽃이 흰색인 것이 특징이며 연 1회 개화하며 자가불화합성으로 곤충에 의한 타가수정으로만 종자를 번식하고 그 증식률이 낮아 수익성이 높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점은 흰민들레의 이용성이 확대되고 유용물질이 밝혀져서 막대한 물량이 공급되어야 할 때 제약으로 작용되고 있다(Lee 1980; Park 1995).
민들레는 동양에서 어떻게 사용되어 왔는가? 민들레는 국화과(Compositae)의 여러 해살이 풀로서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포공영이란 한약재명으로 알려져 있다. 민들레의 뿌리, 잎, 꽃, 꽃줄기 등식물의 전체를 동양에서는 오랫동안 약용으로 사용하여 왔는데, 지상부를 건조한 것은 완하제, 강장제 등의 약제로 사용되었고, 뿌리 부위를 건조한 것은 해열, 이뇨, 해독제로 사용되고 있다(Kang & Kim 2001). 국내에 분포하는 민들레로는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좀민들레(Taraxacumhallaisnese), 산민들레(Taraxacum ohwianum), 토종민들레(T.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Kang MJ, Kim KS. 2001. Current trends of research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dandelion. Food Industry and Nutrition, 6(3):60-67 

  3. Kim HS, Yu Choon Hie. 1997. The effect of Ca supplementation on the metabolism of sodium and potassium and blood pressure in college women. Korean J. Nutr., 30(1):32-39 

  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3 

  5. Chae SK, Kang GS, Ma SJ, Bang KW, Oh MW, Oh SH. 2002. Standard food analysis. Jigu-Moonwha Sa, pp381-382 

  6. Choi KH, Nam HH, Choo BK. 2013. Effect of five Korean native Taraxacum on antioxidant activity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Korean J. Med. Crop Sci., 21(3):191-196 

  7.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 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gents. J. Biol. Chem., 12:239-249 

  8. Hertog MG, Hollman PC, Van de Putte B. 1993. Content of potentially anticarcinogenic flavonoids of tea infusions, wines and fruit juices. J. Agr. Food Chem., 41:1242-1246 

  9. Im DY, Lee KI. 2011b: Nitric oxide production inhibitory and scavenging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extracts from Taraxacum officinale and Taraxacum coreanum. Korean J. Med. Crop. Sci., 19(5):362-367 

  10. Kang MJ, Kim JB, Shin SR and Kim KS. 2000.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araxacum officinale consumed in Korea. Korean J. Soc. Food Sci., 16:182-187 

  11. Kang MJ, Kim KS. 2001. Current trends of research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dandelion. Food Indus. Nutr., 6(3):60-67 

  12. Kim HS, Yu CH. 1997. The effect of a supplementation on the metabolism of sodium and potassium and blood pressure in college women. Korean J. Nutr., 30(1):32-39 

  13. Korea Food and Drug Association. 2005. Food standards codex. Korean Foods Industry Association. Korea, pp 367-368 

  14. Kyeong Hee Choi, Hyeon hwa Nam and Byung Kil Choo. 2013. Effect of Five Korean Native Taraxacum on Antioxidant Activity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1(3):191196 

  15. Lee CB. 1980. Plant Flora of Korea. Hyangmoonsa. Korea, pp 783-784 

  16. Lee SH, Park HJ, Han GJ, Cho SM, Rhie SG. 2004a. A Study of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the dandelion by part (Taraxacum officinal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15(3):57-61 

  17. Lee SH, Park HJ, Kim YI, Rhie SG. 2004b. Comparison of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different varieties and parts of dandelion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15(2):101-107 

  18. Oh HK. 2013. Nut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ttive activity of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coreanum according to drying methods. J. Korean Diet. Assoc.,19(4):389-399 

  19. Oh SL, Kim SS, Min BY, Chung DH. 1990. Composition of free sugars, free amino acids,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tannin in the extracts of L. chinensis M., A. acutiloba K., S. chinensis B., A. sessiliflorum 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1)76-81 

  20. Osawa T. 1994. Novel natural antioxidants for utilization in food and biological systems. Post harvest biochemistry of plant food materials in the tropics. Japan Scientific Societies Press. Japan, pp 241-251 

  21. Park SH. 1995. Naturalized Plant Flora in Korea. Iljogak. Korea, pp 346-349 

  22. Racz-Kotilla, EG. Racz, Solomon A. 1974. The action of Taraxacum officinale extracts on the body weight and diuresis of laboratory animal. Planta Media., 26:212-217 

  23. Rice-evans CA, Miller NJ, Bolwell PG, Bramley PM and Pridham JB. 1995. The relative antioxidant activities of plant-derived polyphenolic flavonoids. Free Radical Research, 22:375-383. 

  2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1, 8th Revision food composition table,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5. Shin SR. 1999.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dandelion (Taraxacum dfficinale).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4):495-4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