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차원적 종교성/영성척도 단축형 한국어판의 타당화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Brief Multidimensional Measure of Religiousness/Spirituality Scal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6 no.5, 2015년, pp.257 - 274  

윤혜영 (계명대학교 심리학과) ,  김근향 (대구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Fetzer/NIA(1999)에서 개발한 다차원적 종교성/영성 척도-단축형(Brief-Multidimensional Measure of Religiousness/Spirituality Scale; BMMR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대학생, 대학원생과 종교를 믿는 일반 성인 286명을 대상으로 BMMRS 영적 웰빙척도(Spiritual Well-Being Scale, SWS), 한국판 영성 척도(Korean Sprituality Scale, KSS), 펜실베니아 걱정질문지(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PSWQ),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IUS)를 실시하였다. BMMRS의 요인구조를 주축분해법, 사각 회전으로 분석한 결과, 기존 연구에서 제안되었던 긍정적 영적 경험, 부정적 영적 경험, 용서, 종교활동, 긍정적인 종교지지, 부정적인 종교지지 6요인 구조가 확인되었고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 적합도도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각 소척도의 내적일관성(.64~.97)과 검사-재검사 신뢰도(.72~.88) 역시 적절하였다. 이 결과는 한국판 BMMRS가 적절한 심리 측정적 지표를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에 향후 영성과 종교성 및 정신건강의 관련성 연구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validate Fetzer Institute & National Institute on Aging Working Group[NIA](1999)'s Brief-Multidimensional Measure of Religiousness/Spirituality Scale (BMMRS) in Korean adults. The Korean version of BMMRS, Spiritual Well-Being Scale(SWS), Korean Sprituality S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국내에서 진행된 대부분의 영성 연구들의 경우, 종교성에 초점을 두고 종교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경우가 많으므로 종교의 종류와 무관하게 활용할 수 있는 포괄적인 의미의 영성과 문화적 배경을 감안한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종교인을 표집하여 척도를 타당화 하였다. 또한 정신건강과 영성/종교성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국내에서 개발된 영성척도와의 상관관계뿐만 아니라, 영성과 관련된 정신건강 척도인 불확실성에 대한 두려움과 일상적인 불안 수준이 영성이나 종교성에 어떻게 관련되는지 함께 확인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적으로 영성과 종교성을 측정할 수 있는 BMMRS를 한국형으로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 영성과 정신건강의 관련성을 간략하게 개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 각각의 소척도들은 만족할만한 내적 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나타내었으며, 비교적 구분되는 하위 요인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자비는 타인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베푸는 삶을 말하는 것이며 이와 같은 보시를 실천하는 것이 행복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화적 배경의 영향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적 종교성/영성척도의 단축형과 기존의 영성척도들 외에 한국인을 위한 영성척도[17]와의 비교를 통해 한국에서 다차원적 종교성/영성척도를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어판 BMMRS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 신은 모든 세속적인 일들을 알고 있다(전지omniscience), 신은 다른 힘과 능력보다 뛰어나다(전능omnipotence), 신은 자비롭고 관대하다(omnibenevolence)와 같은 영성의 개념은 미래에 대한 안정감과 높은 수준의 정신건강을 가능하게 한다고 설명된다[45]. 이러한 선행 연구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영성이나 종교성이 불안이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어떻게 관련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통해 영성과 종교성을 변별하고자 시도하였다. 실제로 긍정적인 영적경험과 부정적인 영적경험을 변별 하는데 있어서, 걱정 수준이 매우 뚜렷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단순히 긍정적, 부정적인 영적경험이 아니라 자신과 타인에 대한 용서의 개념으로 영성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낮은 불안 뿐만 아니라 불확실성을 인내할 수 능력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성의 측정에 주목하고 그와 관련된 이슈들을 논의한 뒤, 여러 척도들 중에서도 Fetzer Institute and National Institute on Aging Working Group(FINIAW)의 ‘다차원적 종교성 /영성척도의 단축형(Brief-Multidimensional Measure of Religiousness/Spirituality Scale; BMMRS)’의 한국어판을 타당화하여 해당 척도를 국내 정신건강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0을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비정상성에 덜 민감한 주축요인방식(principal axis factoring)으로 요인을 추출하고, 요인 간 상관을 가정하여 사각회전(direct oblimin)을 실시하였다. 요인의 수를 결정할 때 아이겐 값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준거 및 변별 타당도 분석을 위하여 분석한 것은? 준거 및 변별 타당도 분석을 위하여 한국어판 BMMRS의 점수와 다른 영성척도 및 정신건강 관련 척도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Table 5). BMMRS의 긍정적 종교경험 및 종교활동, 용서, 긍정적인 종교적 지지와 관련된 하위요인은 영적 안녕 척도와 한국인을 위한 영성척도의 하위요인들과 비교적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부정적인 종교 지지와는 상관이 관찰되지 않았다.
긍정적인 영적경험이 높을수록 무엇이 낮게 나타났는가? 긍정적인 영적경험이 높을수록 걱정 수준이 낮았으며(r=.13, p=.
정신건강 분야에서 영성을 적용하고 연구하기 위해서는 영성에 대해 보다 엄밀한 과학적 방법론을 적용한 실증적 연구들을 수행하는 것이 영성의 개념화에 필요한 하나의 경험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고 한 이유는? 다시 말해, 이는 영성과 정신건강의 관계에 대한 일관되지 않는 연구결과들을 통합하기에 앞서 정신건강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영성에 대한 적절한 개념화와 그에 맞는 영성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록 영성에 대한 과학적 연구의 역사는 짧지만 영성은 심리학이나 정신의학 분야에서보다 종교계를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다양한 시각으로 다루어져 왔던 만큼 누적된 정보들을 반영한 합의된 개념화는 쉽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정신건강 분야에서 영성을 적용하고 연구하기 위해서는 영성에 대해 보다 엄밀한 과학적 방법론을 적용한 실증적 연구들을 수행하는 것이 영성의 개념화에 필요한 하나의 경험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K. H. Kim, "The considerations for application of spirituality in the mental health field",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Vol. 32, No. 1, pp. 213-230, 2013. 

  2. K. H. Kim, M. Ru, J. S. Kim,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subjective/spirituality well-being", Korean Clinical and Health Psychology Association Spring Congress Program and Abstract, May 1-2. Dea-Jeon: Convention Center. pp. 104-106. 2008. 

  3. K. H. Suh, K. G. Chon, "Spiritual well-being, life stress, and coping",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9, No. 2, pp. 333-350, 2004. 

  4. K. H. Suh, S. J. Chung, J. H. Koo, "Spiritual Well-Being, Life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Among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17, No. 3, pp. 1077-1095, 2005. 

  5. S. Mohr, N. Perround, C. Gillieron, P. Brandt, I. Rieben, B. Laurence, P. Huguelet, "Spirituality and religiousness as predictive factors of coutcome in schizophrenia and schizo-affective disorders", Psychiatry Research, Vol. 186, No. 2, pp. 177-182, 2011. 

  6. S. Rajakumar, C. Jillings, M. Osborne, P. Tognazzi, "Spirituality and depression: the role of spirituality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from depression", Spirituality and Health International, Vol. 9, No. 2, pp. 90-100, 2008. 

  7. J. Mattis, "Religion and spirituality in the meaning making and coping experiences of African American woman: A qualitative analysi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Vol. 26, No. 4, pp.308-320, 2002. 

  8. S. M. Kwon. "Positive Psychology", Hakjisa, pp. 30-36, 2008. 

  9. J. Firman, J. Vargiu, "Personal and transpersonal growth: The perspective of psychosynthesis". In: Boorstein S. editors. Transpersonal Psychotherapy, Albany: SUNY Press, pp. 117-142, 1996. 

  10. D. O. Moberg, "Subjective measures of spiritual well-being", Review of Religious Research, Vol. 25, pp. 351-364, 1984. 

  11. R. I. Gorsuch, "Measurement: The boon and bane of investigating religion", American Psychologist, Vol. 39, No. 3, pp. 228-236, 1984. 

  12. K. I. Pargament, "Religious/spiritual coping, Fetzer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n Aging Working Group: Multidimensional measurement of Religiousness / Spirituality for use in Health Research. A report of a national working group supported by Fetzer Institute in Collaboration with the National Institute on Aging", Kalamazoo: Fetzer Institute, pp. 43-56, 1999. 

  13. D.A. MacDonald, "Studying spirituality scientifically: Reflections, considerations, recommendations", Journal of Management, Spirituality & Religion, Vol. 8, No. 3, pp. 195-210, 2011. 

  14. Fetzer Institute/National Institute On Aging Work group, "Multidimensional measurement of religiousness/spirituality for use in health research", Kalamazoo, MI: Fetzer Institute, pp. 1-10, 1999. 

  15. R. F. Paloutzian, C. Ellision, "Spiritual well-being scale", New York: Guilford Press, pp. 1-10, 1982. 

  16. G. W. Allport, J. M. Ross,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 and prejudi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 No. 4, pp. 432-443, 1967. 

  17. K. Y. Lee, C. H. Kim, D. W. Kim, Development of the Spirituality Scale,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15, No. 4, pp. 711-728, 2003. 

  18. C. E. Westgate, Spirituality wellness and depression,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 75, No. 1, pp. 26-35, 1996. 

  19. J. K. Kim, Gestalt Psychotherapy, Seoul: Hakjisa, 1995. 

  20. K. S. Kendler, X. Q. Liu, C. O. Gardner, M. E. McCullough, D Larson, C. A. Prescott, Dimensions of religiosity and their relationship to lifetime psychiatric and substance use disorder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 160, No. 3, pp. 496-503, 2003. 

  21. D. P. Yoon, E. K. O. Lee, Religiousness/spiritu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rural elderly whites, African Americans, and Native Americans,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Vol. 10, No. 1, pp .191-211, 2004. 

  22. L. G. Underwood, J. A. Teresi, The daily spiritual experience scale: Development, theoretical description,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preliminary construct validity using health-related data,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4, 1, pp. 22-33, 2002. 

  23. K. I. Pargament, H. G. Koenig, L. M. Perez, The many methods of religious coping: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RCOP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56, No. 4, pp. 519-543, 2000. 

  24. E. I. Idler, M. A. Musick, C. G. Ellison, L. K. George, N. Krause, M. G. Ory, D. R. Williams, Measuring multiple dimensions of religion and spirituality for health research conceptual background and findings from the 1998 General Social Survey, Research on Aging, Vol. 25, No. 4, pp. 327-365, 2003. 

  25. J. A. Neff, Exploring the dimensionality of "religiosity" and "spirituality" in the Fetzer multidimensional measure,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Vol. 45, No. 3, pp. 449-459, 2006. 

  26. C. Stewart, G. F. Koeske, A Preliminary Construct Valid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Measurement of Religiousness/Spirituality Instrument: A Study of Southern USA Samples, he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Psychology of Religion, Vol. 16, No. 3, pp. 181-196, 2006. 

  27. R. I. Piedmont, A. T. Mapa, J. E. Williams. A factor analysis of the Fetzer/NIA Brief Multidimensional Measure of Religiousness/Spirituality(MMRS], Research in the Social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Vol. 17, No. 1, pp. 177-196, 2006. 

  28. B. Johnstone, D. P. Yoon, K. I. Franklin, I. Schopp, J. Hinkebein, Reconceptualizing the factor structure of the brief multidimensional measure of religiousness/spirituality,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Vol. 48, No. 2, pp. 146-163, 2009. 

  29. B. Johnstone B, D. P. Yoon, J. Rupright, S. Reid-Arndt, Relationships among spiritual beliefs, religious practises, congregational support and health for individual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Brain Injury, Vol. 23, No. 5, pp. 411-419, 2009. 

  30. S. K. Harris, L. R. Sherritt, D. W. Holder, J. Kulig, L. A. Shrier, J. R. Knigh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rief multidimensional measure of religiousness/spirituality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Vol. 47, No. 4, pp. 438-457, 2008. 

  31. Gallup Korea. The religion of Koreans 1984-2014, p. 3, Seoul: Gallup Korea, 2015. 

  32. T. J. Meyer, M. I. Miller, R. I. Metzger, T. D. Borkovec,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 28, No. 6, pp. 487-495, 1990. 

  33. J. W. Kim, B. B. Min,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roblem solving in worry, Korean Psychology Association Annual Congress Program and Abstracts, August 20-22.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p. 83-92. 1998. 

  34. K. Buhr, M. J. Dugas,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English version,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 40, No. 8, pp. 931-945, 2002. 

  35. H. K. Choi, The dysfunctional effects of chronic worry and controllable-uncontrollable treats on problem-solving, The Korean Jounr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2, No. 2, pp. 287-302, 2003. 

  36. S. Cheung, J. Lee, H. Park, J. Kim, D. Bai, K. Lee, J. Sagong, C. Song, J. Bai.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spiritual well-being scale, J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Vol. 40, No. 2, pp. 230-242, 2001. 

  37. F. J. Floyd, K. F. Widaman, Factor analysis in the development and refinement of clinical assessment instruments, Psychological Assessment, Vol. 7, No. 4, pp. 286-295, 1995. 

  38. B. Johnstone, D. P. Yoon, Relationships between the Brief Multidimensional Measure of Religiousness / Spirituality and health outcomes for a heterogeneous rehabilitation population, Rehabilitation Psychology, Vol. 54, No. 5, pp. 422-431, 2009. 

  39. N. Krause, Religion, aging, and health: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 52, No. 6, pp. 291-293, 1997. 

  40. J. Levin, Religious research in gerontology, 1980-1994: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Religious Gerontology, Vol. 10, No. 3, pp. 3-31, 1998. 

  41. K. I. Pargament, Spiritually integrated psychotherapy: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the sacred, pp. 3-28, New York: Guilford Press, 2007. 

  42. K. I. Maton, E. A. Wells, Religion as a community resource for well-being: Prevention, healing, and empowerment pathways, Journal of Social Issues, Vol. 51, No. 2, pp. 177-193, 1995. 

  43. H. C. Stevenson, Managing anger: Protective, or adaptive racial socialization identity profiles and African American manhood development, Journal of Prevention & Intervention in the Community, Vol. 16, No.1-2, pp. 35-61, 1997. 

  44. D. H. Rosmarin, S. Pirutinsky, R. P. Auerbach, T. Bjorgvinsson, J. Bigda-Peyton, G. Andersson, E. J. Krumrei, Incorporating spiritual beliefs into a cognitive model of worr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67, No. 7, pp. 691-700, 2011. 

  45. S. Cotton, M. E. McGrady, S. I. Rosenthal, Measurement of religiosity/spirituality in adolescent health outcomes research: Trends and recommendations,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Vol. 49, No. 4, pp .414-444, 2010. 

  46. D, G, Blazer. Spirituality and Depression. In Religious and Spiritual Issues in Psychiatric Diagnosis. pp. 1-22.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2011. 

  47. S. C. Cho, The Concept of Consilience in the Field of Psychiatry, Jounr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51, No. 6, pp. 349-358, 2012. 

  48. L. Peterson, A. Roy, Religiosity, anxiety, and meaning and purpose: Religious consequence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Religion, Personality, and Mental Health, Vol. 27, No. 1, pp. 49-62, 1985. 

  49. H. B. Bosworth, K. S. Park, D. R. McQuoid, J. C. Hays, D. C. Steffens, The impact of religious practice and religious coping on geriatric depres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 18, No. 10, pp. 905-914,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