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용도가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과 우울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
The Complex Effects of the Purposes of Using Mobile Phones on Mobile Phone Dependency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0, 2015년, pp.471 - 482  

전상민 (호서대학교 산업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주요 용도인 가족연락용, 친구연락용, 개인오락용 수준이 휴대전화의 의존적 사용 정도와 우울에 어떠한 복합적인 구조적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수행을 위하여 제3차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의 초등학교 6학년 1,996명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족연락용 휴대전화 사용은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에 부(-)의 영향을, 친구연락용과 개인오락용 휴대전화 사용은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휴대전화의 의존적 사용은 우울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은 가족연락용과 우울 간 관계를 부분매개하고, 친구연락용과 우울 간 관계 및 개인오락용과 우울 간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e complex and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 the purposes of using mobile phones, and (b) the levels of mobile phone dependency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analyzed data from the 3rd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using...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종합하자면, 본 연구는 부모와 친구, 그리고 오락 차원에서의 휴대전화 용도를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의 원인 변수로, 우울을 결과 변수로 설정하고 이들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휴대전화 용도 →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 → 우울)를 검증하고자 한다.
  • 종합하자면, 본 연구는 부모와 친구, 그리고 오락 차원에서의 휴대전화 용도를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의 원인 변수로, 우울을 결과 변수로 설정하고 이들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휴대전화 용도 →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 → 우울)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 및 이로 인한 우울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학계와 업계, 교육기관에 제공하고, 초등학생과 부모, 교사에게 올바른 휴대전화 사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가족연락용, 친구연락용, 개인오락용 휴대전화 사용수준에 따라 휴대전화 의존성이 달라진다고 가정하고, 휴대전화 용도가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휴대전화의 의존적 사용이 우울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가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앞서 제시한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용도를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의 원인으로 설정한 관계와 종합하여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의 원인과 결과를 하나의 연구틀 내에서 분석함으로써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휴대전화의 의존적 사용이 우울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가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앞서 제시한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용도를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의 원인으로 설정한 관계와 종합하여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의 원인과 결과를 하나의 연구틀 내에서 분석함으로써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용도가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다. 이를 위하여 아래의 연구가설을 검정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용도인 가족연락용과 친구연락용, 개인오락용의 정도가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과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휴대전화 용도 →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 → 우울의 경로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하여 검정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일상 속에서 사용하는 휴대전화 용도에 따라 휴대전화 의존성이 달라지고, 결과적으로 우울로까지 이어질 수 있음을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검정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분석 결과,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용도에 따라 우울에 대한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의 매개역할이 달라졌고, 휴대전화 의존성 및 우울의 수준도 달라졌다는 결과가 도출되어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에 관하여 학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분석 결과,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용도에 따라 우울에 대한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의 매개역할이 달라졌고, 휴대전화 의존성 및 우울의 수준도 달라졌다는 결과가 도출되어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에 관하여 학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에 추가하여 본 연구는 그동안 청소년과 대학생, 성인을 대상으로 주로 진행되었던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 연구를 전국에 거주하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하여 초등학생의 양육과 교육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또 다른 의의가 있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1-1. 가족연락용 휴대전화 사용은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1-3. 개인오락용 휴대전화 사용은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2.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은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3-1. 가족연락용 휴대전화 사용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3-2. 친구연락용 휴대전화 사용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3-3. 개인오락용 휴대전화 사용은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이란? 본 연구는 이를 참고하여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을 휴대전화에 대한 과도한 의존으로 인한 강박, 내성, 금단, 생활장애, 집착 등으로 정의하고, 우울은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포함한 심리적 차원에서 걱정, 외로움 등으로 정의한다.
휴대전화의 어떤 특성을 지닌 채 다른 사람과 소통하는가? 휴대전화는 익명성과 은닉성, 그리고 개인성이라는 특성 때문에 다른 사람과의 소통 매체이면서 역설적으로 우울이라는 반대적 문제를 일으킨다[11, 24, 34].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은 우울 성향과 강한 정적 관계를 보였는데[10, 25], 고충숙[14]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휴대전화의 강박적 사용과 집착이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다고 제시하였다.
휴대전화를 과다하게, 그리고 의존적으로 사용하는 개념이 휴대전화 중독과 다른 이유는? 이것이 바로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을 휴대전화 중독으로 지칭하지 않는 이유이다. 왜냐하면,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은 일반적인 중독적 행동과 달리, 병리적 경향성을 내포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3, 25]. 휴대전화 의존적 사용은 현대사회의 대표적 기술 중독(technology addiction)의 한 유형으로 인터넷 중독을 대상으로 기술 중독을 처음 보고한 Griffiths[26]는 기술 중독을 병리적 중독의 개념이 아닌 행동적 중독의 개념으로 소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The Kukmin Daily,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addicted to smartphones increased. 2014.07.01. 

  2. J. H. Lee, A study on the use of cellular phones b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Youth Culture Publishes Forum, Vol. 24, pp. 106-134, 2010. 

  3. S. J. Jang, S. W. Song, and M. A. Cho, The effects of mobile phone dependency, deceived parenting attitude, attachment to peer on school life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18, No. 12, pp. 431-451, 2011. 

  4. S. Jun,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overuse/addictive use of mobile phones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Adap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nd multiple group analysis across gender.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 52, No. 3, pp. 301-311, 2014. 

  5. M. Dimonte and G. Ricciuto, Mobile phone and young people: A survey pilot study to explore the controversial aspects of a new social phenomenon. Minerva Pediatrica, Vol. 58, pp. 357-363, 2006. 

  6. R. Ling, We will be reached: The use of mobile telephony among Norwegian youth. Information Technology & People, Vol. 13, No. 2, pp. 102-120, 2000. 

  7. J. Wiart, A. Hadjem, N. Gadi, I. Bloch, M. F. Wong, A. Paradier, D. Lautru, VF. Hanna, and C. Dale, Modeling of RF head exposure in children. Bioeletromagnetics, Vol. 26, No. 7, pp. 19-30, 2005. 

  8. Y. A. Jang. and J. H. Park, The effect of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internet use among school-aged childre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 16, No. 6, pp. 1131-1140, 2007 

  9. C. Augner. and GW. Hacker, Associations between problematic mobile phone use and psychological parameters in young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57, No. 2, pp. 437-441, 2012. 

  10. D. S. Bickhan, Y. Hswen, and M. Rich, Media use and depression: exposure, household rules, and symptoms among young adolescents in the USA.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60, No. 2, pp. 147-155, 2015. 

  11. A. Bianchi. and J. G. Phillips, Psychological predictors of problem mobile phone use. CyberPsychology Behavior, Vol. 8, No. 1, pp. 39-51, 2005. 

  12. J. Billieux, Problematic Use of the Mobile Phone: A Literature Review and a Pathways Model. Current Psychiatry Reviews, Vol. 8, No. 4, pp. 1-9, 2012. 

  13. J. Y. Park, G. A. Kim, and C. H. Hong,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cellular phone use motivation, peer relationships, emotional factors and cellular phone addictive us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31, No. 1, pp. 151-169, 2012. 

  14. C. S. Ko, The effects of addictive cell-phone use of adolescence on mental health. Forum For Youth Culture, Vol. 30, pp. 8-36, 2012. 

  15. H. Y. Koo, Factors influencing cell phone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by gender. Korean Parent Child Health Journal, Vol. 15, No. 2, pp. 60-70, 2012. 

  16. S. Y. Yang and Y. S. Park, A prediction model of cellular phone addiction tendency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 43, No. 4, pp. 1-16, 2005. 

  17. H. G. Lee, Exploration the predicting variables of the addictive mobile phone use of teenage: Comparison 20 and 30 ag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16, No. 1, pp. 117-153, 2009. 

  18. C. Yen, T. Tang, J. Yen, H. Lin, C. Huang, S. Liu, and C. Ko, Symptoms of problematic cellular phone use, functional impairment and its association with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in Southern Taiwan. Journal of Adolescence, Vol. 32, pp. 863-873, 2009. 

  19. S. S. Kumar, Mobile phone and adolescents-addiction a mindful check in!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Studies, Vol. 3, No. 1, pp. 42-46, 2014. 

  20. S. H. Han. and S. H. Lee, A survey on relationships between mobile-phone addiction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Vol. 12, No. 3, pp. 139-157, 2010. 

  21. J. Park, K. Kim, and C. Hong,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cellular phone use motivation, peer relationships, emotional factors and cellular phone addictive us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31, No. 1, pp. 151-169, 2012. 

  22. S. H. Jang, Explanatory of personal, family, school variables on cellular phone sddiction b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1, No. 1, pp. 291-310, 2011. 

  23. K. Kamibeppu and H. Sugiura, Impact of the mobile phone on junior high-school students' friendships in the Tokyo metropolitan area. Cyber Psychology & Behavior, Vol. 8, No. 2, pp. 121-130, 2005. 

  24. S. Y. Yang and Y. Park, A prediction model of cellular phone addiction tendency among adolescent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 43, No. 4, pp. 1-16, 2005. 

  25. J. H. Kim, The effects of parental factors, friend's factors and personal factors on the mobile phone dependency of youth mediated by mobile phone uses. The Korea Journal of Youth Welfare, Vol. 14, No. 3, pp. 97-120, 2012. 

  26. M. Griffiths, Internet addiction: Fact of fiction? The Psychologist, Vol. 12, No. 5, pp. 246-251, 1999 

  27. J. Y. Park, G. A. Kim, and C. H. Hong,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cellular phone use motivation, peer relationships, emotional factors and cellular phone addictive us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31, No. 1, 151-169, 2012. 

  28. J. Billieux, M. Van der Linden, and L. Rochat, The role of impulsivity in actual and problematic use of the mobile phone.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Vol. 22, No. 9, pp. 1195-1210, 2008. 

  29. S. Thomee, A. Harenstam, and M. Hagberg, Mobile phone use and stress, sleep disturbances, and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 A prospective cohort study. BMC Public Health, Vol. 11, No. 1, p. 66, 2011. 

  30. S. P. Walsh, K. M. White, and R. MD. Young, Needing to connect: The effect of self and others on young people's involvement with their mobile phones.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Vol. 62, No. 4, pp. 194-203, 2010. 

  31. S. H. Lee, H. S. Kim, E. Y. Nah, S. Y. Lee, S. N. Kim., and J. H. Bae, A study on the mobile phone use among adolescents and its effects, Seoul: Samsung Life Public Welfare Foundation, 2002. 

  32. E. L. Lee and K. E. Lee, The effects of parental factors, friend's factors, and psychological factors on the addictive mobile phone use of children. The Korean Journal Child Education, Vol. 21, No. 2, pp. 27-39, 2012. 

  33. Y. J. Jang and S. H. Kim, The impact of computer use on adolescents' social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An analysis of Korean Youth Panel Survey data.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Vol. 45, No. 1, pp. 67-96, 2008. 

  34. J. H. Ha, B. Chin, D. H. Park, S. Ryu, and J. Yu, Characteristics of excessive cellular phone use in Korean adolescents.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 11, No. 6, pp. 227-231, 2008. 

  35. S. S. Soh, M. K. Song, and C. S. Kim,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and School Adjustment on the Depression of Early Adolesc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17, No. 3, pp. 1-23, 2010. 

  36. Y. Oh, Impact of Internet game addiction on the melancholy, offensiveness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Youth Facilities and Environment, Vol. 6, No. 4, pp. 3-15, 2008. 

  37. S. Y. Choo and S. M. Lim, Tes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friendships and depression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17, No. 11, pp. 335-357, 2010. 

  38.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e, User guide for KCYPS panel data of the 1st-3th survey, http://archive.nypi.re.kr, 2013. 

  39. J. I. Kim, J. H. Kim, and H. T. Won, Korean manual of symptom checklist-90-revision. Seoul: Choong-Ang Aptitude Laboratory, 1984. 

  40. D. L. Bandalos and S. J. Finney, Item parceling issu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G. A. Marcoulides & R. E. Schumacker (Eds.), New developments and techniqu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p. 269-296). Mahwah, NJ: Erlbaum, 2001. 

  41. S. H. Hong,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19, No. 1, pp. 161-178, 2000. 

  42. H. I. Choi and J. H. Kim, A study on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 between experience of child neglect and smart phone addi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Vol. 44, pp. 127-153, 2013. 

  43. K. S. Lee, H. R. Ahn, and K. H. Lee, Factors associated with mobile phone overus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Vol. 20, No. 3, pp. 271-280,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