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육영재의 영재성 평가를 위한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 for Competition Intelligence of Sport Talented Childre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0, 2015년, pp.579 - 586  

김광회 (인하대학교) ,  김원현 (대덕대학교) ,  김도윤 (인하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어린 초등학교 2~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적이며, 체계적인 훈련을 지원하기 위하여 전국 권역별 대학교를 중심으로 체육영재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 2~6학년을 대상으로 기초체력 및 잠재력 검사를 통해 선발운영토록 한다. 하지만 현재 시행 중인 이러한 선발방법은 체육영재 학생들에 대한 질적 평가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측정시점에서의 체력, 체격요인에 의하여 상위 순위에 의하여 체육영재를 선발하는 방식으로써 대상 학생들에 대한 잠재적 능력의 평가 및 내재적 평가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윤영길(2011)의 경기지능을 바탕으로 체육영재의 잠재력을 평가할 수 있는 관찰방법에 기초한 영재성 판별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회에 걸친 전문가 협의를 통해 체육영재 판별을 위한 하위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하위요인을 바탕으로 현장 지도자들의 관찰방법에 기초한 훈련지능, 학습능력, 실천지능의 요인별 16개의 평가문항을 개발, 제시하였다. 제시된 평가문항은 체육영재 학생들의 질적 평가에 도움이 될 것이며, 아울러 체육영재 선발을 위한 내재적 평가 방법으로의 활용도 기대해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ort talent development center have been operating in order to support sports gifted children of the training in the early finding and selecting potenti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sports. For this purpose, elementary students in grades 2~6 are selected through basal fitness and physique t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하여 2차 델파이 설문지 문항을 제작하였다. 2차 설문지는 기존의 윤영길(2011)[4]이 제시한 경기지능 이외의 수렴된 하위요인에 대해서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2차 설문지의 구성 및 자료 수집 방법, 분석은 1차 설문지와 동일하게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윤영길(2011)[4]의 경기지능을 바탕으로 체육영재의 잠재력을 평가할 수 있는 관찰기반의 판별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체육영재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1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윤영길(2011)[4]의 스포츠영재성의 경기 지능 및 하위 요소 타당도 검증과 함께경기 지능 외 필요한 하위요소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하여 1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윤영길(2011)[4]의 경기지능 하위요인들 [Table 1]에 대한 적합성 여부 의견을 묻는 5점 리커트식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윤영길(2011)[4]의 경기지능을 바탕으로 체육영재의 잠재력을 평가할 수 있는 관찰방법에 기초한 영재성 판별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 총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 결과에서 추출된 하위요인들의 평가를 위한 문항개발을 하고자 전문가 협의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협의의 내용은 체육영재 프로그램 중 지도자들의 관찰에 의한 평가방법을 위함이며, 아울러 시합보다는 종목별 훈련시간에 관찰이 이루어짐을 조건으로 체육영재 학생들의 학습능력과 실천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문항을 개발함에 그 목적이있다. 이를 위하 여 측정 도구개발을 위한 측정평가 박사 2명과 학습능력 및 관찰방법에 대한 자문을 위하여 스포츠교육학 박사 1 명을 포함하였으며, 아울러 대상자들의 전체적인 신체능력 평가를 위하여 운동생리학 박사 2명 등 총 5명의 전문가 자문위원을 구성하였으며, 구성현황은 다음의 [Table 2]와 같다.
  • 총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 결과에서 추출된 하위요인들의 평가를 위한 문항개발을 하고자 전문가 협의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협의의 내용은 체육영재 프로그램 중 지도자들의 관찰에 의한 평가방법을 위함이며, 아울러 시합보다는 종목별 훈련시간에 관찰이 이루어짐을 조건으로 체육영재 학생들의 학습능력과 실천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문항을 개발함에 그 목적이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포츠 영재를 발굴하고 양성하는 과정의 목표는 무엇인가? 스포츠 영재를 발굴하고 양성하는 과정은 조기에 우수한 선수를 선발, 교육시킴으로써 미래의 국가대표 선 수로 육성하며, 경기력을 극대화함으로써 국제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체육인재 육성재단에서는 어린 연령대(초등학생2∼6학년) 학생들 을 대상으로 과학적이며, 체계적인 훈련을 지원하기 위하여 전국 권역별 대학교를 중심으로 체육영재센터를 운 영하고 있다[1].
박정화(2010)는 다중지능이론을 근거로 하여 체육영재의 요인으로 무엇을 포함시켰는가? Gardner(1983)[13]는 영재의 다양한 특성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좀 더 넓은 관점에서 여러 종류의 지능 결과를 지능 프로파일로 표현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하였으며, 이러한 다중지능이론은 미국 등에서도 영재 판 별 및 교육과정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15]. 국내에서도 황미숙 등(2007)[15]은 이러한 다중지능이론을 근거로 청소년들의 신체운동지능 조사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윤영길(2011)[4], 장부영(2010)[5], 천경민(2010)[16], 이재무 등(2010)[17], 박정화 등(2010)[6]도 다중지능이론을 근거로 하여 체육영재의 요인으로써 모방력, 학습능력, 이해력, 분석력, 운동지능, 창의성, 과제집착력 등 다양한 요인들을 포함한 바 있다. 그 중 윤영길(2011)[4]은 체육영 재성으로써 다중지능이론을 바탕으로 신체적 체력적 조건뿐만 아니라, 대상자의 미래지향적 질적 요인을 포함 하여 신체지능, 경기지능, 과제집착력으로 영재성을 구분 하였다.
체육영재 정의성에 대한 범주화 내용을 포함한 평가방법이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금까지의 체육영재 판별방법은 1∼3차에 걸친 체격 및 체력평가, 심리평가 등을 통해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체육영재 학생들의 영재성 평가를 위한 조건으로써 질적 요인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는 1회성 혹은 단순 측정에 의한 과정 뿐만 아니라, 지속적 관찰 및 평가 등과 같은 평가과정이 필히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위해서는 선행연구들에서 제시한 체육영재 정의성에 대한 범주화 내용을 포함한 평가방법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 Y. Shin, Status and Prospect of Physical attraction ; Sports Talented Training Project Status and Challenges, Sport Science, Vol. 109, pp. 9-15, 2009. 

  2. H. S. Kim, T. C. Kim, Y. K. Yun, S. H. Choi, The Conception of sports gifted children and Criterion,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olicy Research, 2008. 

  3. Y. K. Yun, Y. O. Choi, Y. M. Park, The conceptual prerequisites for understanding gifted sports.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Sports Science Institute of South Korea, Vol. 26, No. 1, pp. 135-147, 2008. 

  4. Y. K. Yun, Sport Talents for Sport Talented,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Vol. 22, No. 4, pp. 17-32, 2011. 

  5. B. Y. Chang, Growth and Frustration for the Sport Talented,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2010. 

  6. J. H. Park, H. S. Choe, J. H. Lee, Teachers' Perceptions on Developing Tools for Identifying Physically Gifted Students, Journal of The Research of Curriculum Instruction, Vol. 14, No. 2, pp. 317-334, 2010. 

  7. H. J. Lee, Y. M. Lee, Explore the role of foreign sports analysis and public education,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program,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olicy Research, 2008. 

  8. D. Y. Kim, D. H. Park, B. K. Lee, Y. J. Kim, K. H. Kim, The Relationship of Physique and Physical Fit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Vol. 22, No. 1, pp. 1645-1656, 2011. 

  9. B. K. Lee, Physical Growth : Variable of Physique and Physical Fitness Correlation According to Bone Age and Chronological Age in Athletically Gifted Children, Journal of Physical Growth and Motor Development, Vol. 22, No. 3, pp. 133-139, 2012. 

  10. Y. S. Kim, M. S. Lee, Psychological and Family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port Talented Children -Comparison with Non Sport Talent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Vol. 26, No. 1, pp. 53-65, 2012. 

  11. E. J. Kim, J. K. Kim, N. J. Lee, M. S. Lee, Self-esteem item goodness-of-fit in sports talented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22, No. 3, pp. 487-494, 2011. 

  12. Renzulli, J. S., & Delocourt, M. A. B., The legacy and logic of research on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persons, Gifted Child quarterly, Vol. 30, No. 1, pp. 20-23, 1986. 

  13. Gardner, H.,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Y: Basic books, 1983. 

  14. Thomas, A., In Their Own Way : Discovering and Encouraging your Child's Multiple Intelligences, NY: Penguin, 2000. 

  15. M. S. Hwang, Y. G. Lee, S. H. Oh, Preliminary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Bodily Kinesthetic Intelligence Scales (K-BKI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Science, Vol. 19, No. 1, pp. 13-27, 2007. 

  16. K. M. Cheon, The Influence of Bodily Kinesthetic Intelligence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Exercise Flow of Adolesce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Vol. 15, No. 2, pp. 79-92, 2010. 

  17. J. M. Lee, K. H. Lee, J. H. Lee, The Comparisons of Multiple intellig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among Sport talented, Academically talented and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19(4), pp. 609-622, 2010. 

  18. J. D. Ahn, Sport Psychological Application's Instance for the Kinesthetic Gifted Children's Selection and Upbringing,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0, No. 10, pp. 440-450, 2010. 

  19. Bentzen, W. R., Seeing young children: A guide to observing and recording behavior(3rd ed), New York: Delmar Publishers, 1997. 

  20. A. Y. Kim, Observational research methods, Seoul:Kyoyookbook, 2007. 

  21. H. H. Kim, J. W. Kim, J. H. Heo, D. Y. Kim, S. J. Sung, Content Validity of Aphasia Screening Test Protocol,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 13, No. 3, pp. 353-380, 2008. 

  22. English, J. M., & Kernan, G. L., The prediction of air travel and aircraft technology to the year 2000 using the delphi method, Transport research, Vol. 10, pp. 1-8, 1976. 

  23. M. K. Kim, Korean Leisure Addiction Scale(KLAS) Development and Validation through Leisure Addiction Conceptualization, Graduate School Inha University, 2014. 

  24. G. J. Choi, Structuration of Swimming Giftedness Identification based,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2009. 

  25. H. M. Park, Multiplex intelligence difference analysis of sports gifted student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