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톳은 여러 생리활성이 알려져 있는 해조류로 본 연구에서는 톳의 활용 가능성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유산균의 종류를 달리하여 발효한 톳을 시료로 하고 추출물 단계에서 항염증 효과를 비교하였다. 유산균인 Weissella sp. SH-1과 Lactobacillus casei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톳 추출물은 무접종군에 비하여 높은 NO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유산균간의 비교에서는 Weissella sp. SH-1 접종군보다 L. casei 접종군에서 NO 생성 억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중요 염증 유발인자인 iNOS, COX-2 및 IL-6의 발현을 비교한 결과 Weissella sp. SH-1 접종군에 의한 iNOS 억제능이 높았으며 COX-2, IL-6 발현은 L. casei 접종군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유산균에 의한 염증 유발인자 억제능에 대한 MAPK 신호 전달 경로를 알아본 결과 ERK, p38, JNK의 인산화에 의해 항염증 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유산균 Weissella sp. SH-1과 L. casei를 이용한 발효는 염증 억제에 효과가 있는 유효성분의 추출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산균 Weissella sp. SH-1과 L. casei를 이용한 발효방법을 활용하여 기능성 식품소재 및 제품 개발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Hizikia fusiformis fermented with and without lactic acid bacteria was compared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mouse macrophages. The fermentation was done using Weissella sp. SH-1 and Lactobacillus casei in a mixture of gluco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들 신호 전달경로는 ERK, JNK와 p38의 인산화에 의해 활성화되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전사 및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23). 본 연구에서는 LPS로 유도된 세포에서 항염증 활성이 MAPK의인산화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유산균의 종류에 따라 다른 신호 전달 경로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를 이용한 항염증 소재 개발 연구의일환으로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톳 추출물의 NO 생성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발효 톳의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전 연구에서는 유기산 첨가 유무에 따른 유산균 발효가 톳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유기산의 첨가에 의해 항산화 및 NO 생성 억제 활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5,13,14).
  • 톳은 여러 생리활성이 알려져 있는 해조류로 본 연구에서는 톳의 활용 가능성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유산균의 종류를 달리하여 발효한 톳을 시료로 하고 추출물 단계에서 항염증 효과를 비교하였다. 유산균인 Weissella s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산균 Weissella sp. SH-1과 Lactobacillus casei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톳 추출물 중 iNOS 억제능이 높은 것은? casei접종군에서 NO 생성 억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중요 염증유발인자인 iNOS, COX-2 및 IL-6의 발현을 비교한 결과Weissella sp. SH-1 접종군에 의한 iNOS 억제능이 높았으며 COX-2, IL-6 발현은 L. casei 접종군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톳의 국내 분포지역은? 갈조식물 모자반과에 속하는 톳(Hizikia fusiformis)은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바닷말의 일종으로 우리나라의 서해안, 남해안 및 제주지역뿐만 아니라 일본과 중국 등지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1,2). 일반적으로 톳은 칼슘과 철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뿐만 아니라 천연 정미성분인 아미노산과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지속된 염증반응 시, 생성되는 것은?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대식세포는 인체 내 선천적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면역세포로 염증매개물질을 분비하여 초기 염증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1). 지속된 염증반응 시 염증반응을 촉진하는 cyclooxygenase-2(COX-2),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interleukin-6(IL6), tumor necrosis factor-α(TNF-α), IL-1β와 같은 cytokine들이 생성되며 이들은 관절염,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 등 각종 질병을 발생시킨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im HS, Choi EO, Park C, Choi YH, Hyun SK, Hwang HJ. 2011. Effect of Hizikia fusiforme extracts on antioxidant enzyme activity and vitamin E concentration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556-1561. 

  2. Lee DG. 2011. Bone protective effect of fermented Hiziki on ovariectomy-induced bone loss in rats.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uwon, Korea. 

  3. Kim JH, Song HS, Yang JY. 2012.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added with fermented extracts of Hizikia fusiforme. J Fd Hyg Safety 27: 473-478. 

  4. Song HS, Eom SH, Kang YM, Choi JD, Kim YM. 2011. Enhancement of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Hizikia fusiforme water extract by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Kor J Fish Aquat Sci 44: 111-117. 

  5. Park SH, Lee SJ, Jeon MJ, Kim SY, Mun OJ, Kim M, Kong CS, Lee DG, Yu KH, Kim YY, Lee SH. 2014.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Hizikia fusiformis extracts. J Life Sci 24: 304-310. 

  6. Choi WS, Kwon HS, No RH, Choi GP, Lee HY. 2013. Enhancement of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fermented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s using Lactobacillus rhamnosu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9: 303-311. 

  7. Moon YG, Lee KJ Kim KY, Song CB, Jeon YJ, Heo MS. 2006. Characteristics of citrus by-product ferment using probiotics as starter. Kor J Microbiol Biotechnol 34: 158-165. 

  8. Hyon JS, Kang SM, Han SW, Kang MC, Oh MC, Oh CK, Kim DW, Jeon YJ, Kim SH. 2009. Flavonoid component chang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Citrus grandis Osbeck pe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10-1316. 

  9. Lee SY, Hyun JM, Kim SS, Park SM, Park KJ, Choi YH, Kim SH, Yu SN, Ahn SC. 2014. Anti-inflammatory effect of Citrus unshiu peels fermented with Aspergillus niger. J Life Sci 24: 750-756. 

  10. Ko WM, Lee DS, Jang M, Kim KS, Lee SH, Baek HY, Oh HC, Kim YC. 2013. A comparison of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ophorae Flos EtOH extracts at the different flowering stages on LPS-induced inflammation in RAW264.7 cells. Kor J Pharmacogn 44: 291-297. 

  11. Kim CM, Park YK. 2009. The effects of different extracts of Ostericum koreanum on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Kor J Herbology 24: 169-178. 

  12. Park SH, Kim JI, Jeong YK, Choi YH. 2011. Extracts of Allium fistulosum attenuates pro-inflammatory action in the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BV2 microglia cells. J Life Sci 21: 796-804. 

  13. Lee SJ, Lee DG, Park SH, Kim M, Kong CS, Kim YY, Lee SH. 2015.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in Sargassum siliquanstrum fermented by 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Biotechnol Bioprocess Eng 20: 341-348. 

  14. Mun OJ, Kwon MS, Bae MJ, Ahn BN, Karadeniz F, Kim M, Lee SH, Yu KH, Kim YY, Seo Y, Kong CS. 2015.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Hizikia fusiformis extract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casei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Korean Soc Biotechnol Bioeng J 30: 38-43. 

  15. Kim JG, Lee YW. 1998. Effect of Lactobacillus casei and a fermented milk on the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of Aspergillus parasiticus. J Fd Hyg Safety 13: 164-170. 

  16. Yoo KH. 2000. Deodorization of seaweed product off-flavors by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MS Thesis.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Kangwon, Korea. 

  17. Kim YJ, Son DY. 2014. Inflammatory mediator regulation of the Zizyphus jujube leaf fractions in the LPS-stimulated Raw264.7 mouse macrophage. Korean J Food Preserv 21: 114-120. 

  18. Noh KH, Jang JH, Min KH, Chinzorig R, Lee MO, Song YS. 2011. Suppressive effect of green tea seed coat ethyl acetate faction on inflammation and its mechanism in RAW 264.7 macrophage cel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625-634. 

  19. Jeong DH, Kim KBWR, Kang BK, Jung SA, Kim HY, Jeong HY, Bark SW, Ahn DH. 2012.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water extract of Sargassum fulvellum. Korean Soc Biotechnol Bioeng J 27: 325-329. 

  20. Han MH, Lee MH, Hong SH, Choi YH, Moon JS, Song MK, Kim MJ, Shin SJ, Hwang HJ. 2014. Comparison of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mong ethanol extracts of Sophora flavescens, Glycyrrhiza uralensis and Dictamnus dasycarpus, and their mixtures in RAW 264.7 murine macrophages. J Life Sci 24: 329-335. 

  21. Kong CS. 2014.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from Spergularia marina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Prev Nutr Food Sci 19: 261-267. 

  22. Kim SY. 2013. Anti-inflammatory effect of Stevia rebaudiana as a results of NF- ${\kappa}B$ and MAPK inhibition. M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Daegu, Korea. 

  23. Shin DB, Han EH, Park SS. 2014. Cytoprotective effects of phaeophyta extracts from the coast of Jeju Island in HT-22 mouse neuronal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224-2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