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바이오틱스와 유산균 제품의 균수 함량과 보존방법에 따른 변화 연구
Investigation of the Lactic Acid Bacteria Content of Probiotic and Lactic Acid Bacteria Products: a Study on Changes in the Preservation Method of Probiotic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3 no.6, 2018년, pp.474 - 482  

김영수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연구부 미생물팀) ,  황선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연구부 미생물팀) ,  김상태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연구부 미생물팀) ,  한나은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연구부 미생물팀) ,  김혜영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연구부 미생물팀) ,  김현수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연구부 미생물팀) ,  박광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연구부 미생물팀) ,  윤미혜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식품의약품연구부 미생물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2017년 국내에서 유통되는 유산균을 함유한 건강기능식품과 가공식품 120건에 대하여 프로바이오틱스 함량, pH와 산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건강기능식품 중 프로바이오틱스 5개 제품에 대한 보존방법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였다.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85건 중 2건이 표시량이하였고, 가공식품 35건은 모두 적합이었다.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의 프로바이오틱스수, pH, 산도 평균은 각각 $1.2{\times}10^{10}CFU/g$ (표시량: $3.4{\times}10^9CFU/g$), 5.35, 1.29%이었으며, 가공식품 중 유산균 함유량 표시 식품 17건의 유산균수 평균은 $5.8{\times}10^8CFU/g$이었다. 프로바이오틱스 5제품의 보존온도($-20^{\circ}C$, $4^{\circ}C$, $20^{\circ}C$, $40^{\circ}C$)와 보존기간(1, 3, 6개월) 경과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 함량 변화를 관찰한 결과, 보존기간 1개월에서 6개월 후 프로바이오틱스수 감소율은 평균 59%이었고, $4^{\circ}C$에서 가장 낮은 감소율과 $40^{\circ}C$에서 가장 높은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5개 제품 중 3제품에서 보존기간 1개월에서 3개월 경과 후 $40^{\circ}C$에서 70%이상 급격한 균수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의 보존온도와 보관기간에 따른 변화를 고려할 때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냉장보관을 권장하며 구입 후 되도록 단기간에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nd analyze probiotic contents, pH, and acidity of 120 samples of health functional and processed foods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distributed in 2017. The changes due to the preservation methods were also determined and analyzed in five probiotic produc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산도는 증가하 게 되고 pH는 감소하는 산성환경이 되어 이러한 환경에 견디지 못하는 유해균들은 그 수가 감소하게 되고 산성에서 생육이 잘 되는 유익균들은 더욱 증식하게 된다18) .그 러므로 유산균이 감소되어 젖산을 생성하지 못하게 되면 pH는 증가하게 되고, 산도는 감소하게 될 것이므로 유통 되는 제품의 유산균수와 함께 본 연구에서 산도와 pH를 조사하게 되었다
  • 유산균에 대한 생체시험에 관한 많은 논문들은 있지만 유통되어 판매되고 있는 제품의 품질에 대한 연구는 상대 적으로 미미한 실정이며, 2016년 본 경기도보건환경연구 원에서 실시한 유통 건강기능식품 중 프로바이오틱스 제 품 124건의 검사결과 3건이 부적합으로 판정되어 유통 제 품에 대한 안전성 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 서본연구에서는경기도내 유통 중인 유산균 함유 제품 중 건강기능식품과 쵸콜릿류, 음료류, 과자류 등 가공식품 의 유산균수를 조사하고, 보존온도에 따른 균수 변화를 조 사하여 올바른 보존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의 기능성을 보장하는데 유산균의 높은 장 도달률이 왜 중요한 요소인가? 대부분의 유산균은 편성혐기성 세균으로서 산소에 노출 될경우급격히사멸한다.유산균은섭취후위산에의해 90% 이상이 사멸되고, 위산에 생존한 유산균은 다시 담즙 산에의해사멸되는것으로알려져있다. 즉 유산균이 최종 목적지인 장에 도착할 확률은 5%정도에 불과하다10-11) . 그러므로 섭취된 유산균의 높은 장 도달율과 유통과정에 서 유통기한 내에 일정 생균수가 유지되는 것은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의 기능성을 보장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11).
프로바이오틱스의 정의는? WHO와 FAO는 프로바이오틱스를 “충분한 양을 섭취하 였을 때 건강에 도움이 되는 살아 있는 균”으로 정의1-2) 하고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생리작용을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으로 ‘살아 있는 상태’이어야 하고, ‘충분한 양’이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충분한 양’이란 프로바이오틱스의 기능성분의 수를 생균으로 100,000,000 CFU/g 이 상을 함유해야 한다.
유산균을 제조할 때, 제품의 품질을 유지를 위한 최선의 방법은? 한편, 유산균 제조공정은 크게 유산균발효,균체회수, 동결건조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발효 후 공정에서 산소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는 최선 의방법이다.이와더불어수분,온도조건등은제품의 저장과 유통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Ganguly, N.K., Bhattacharya, S.K., Sesikeran, B., Nair, G.B., Ramakrishna, B.S., Sachdev, H.P.S., Batish, V.K., Kanagasabapathy, A.S., Vasantha, M., Kathuria, S.C., Katoch, V.M., Satyanarayana, K., Toteja, G.S., Rahi, M., Rao, S., Bhan, M.K., Kapur, R., Hemalatha, R.: ICMR-DBT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of probiotics in food.. Indian J Med Res., 134, 22-25 (2011). 

  2. Yoon S.S., Park Y.S., Choi H.J.: Genetics and research revolutions in the lactic acid bacteria: focused on probiotics and immunomodulation. Curr. Top. LAB Probiotics., 1, 9-19 (2013). 

  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Health functional foods Codex Index. Korea, pp. 110 (2017). 

  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ood and Drug Statistical Yearbook. Korea, pp. 188-206 (2016). 

  5. Dekivit, S., Tobin, M.C., Forsyth, C.B., Keshavarzian, A., Landay, A.L.: Regulation of intestinal immune responses through TLR activation: Implications for pro- and prebiotics. Front Immunol., 18, 60-66 (2014). 

  6. Rolfe, R.D.: The role of probiotic cultures in the control of gastrointestinal health. J. Nutr., 130, 396-402 (2000). 

  7. Sara, F., Marta, M., Lucia, R., Franco, D., Sandra, T.: Bacterial composition of commercial probiotic products as evaluated by PCR-DGGE analysis. Int. J. Food Microbiol., 82, 59-70 (2003). 

  8. Hamilton-Miller, J., Shah, S., Winkler J.: Public health issues arising from microbiological containing probiotic microorganisms. Public Health Nutr., 2, 223-229 (1999). 

  9. Temmerman, R., Scheirlinck, I., Huys, G., Swings, J.: Culture independent analysis of probiotic products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ppl. Environ. Microbiol., 69, 220-226 (2003). 

  10. Raimundo, G.A., Maria, J., Pozuelo, F., Santiago, A., Maria, I.M., Daniel, B., Fernando, B., Rosa, C.: Molecular analysis of yogurt containing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 in human intestinal microbiota. Am. J. Clin. Nutr., 87, 91-96 (2008). 

  11. Chang B.Y., Han J.H., Cha B.S., Ann S.H., Kim S.Y.: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 for enhancing the probiotics functions. J. Food Hyg. Saf., 30, 295-301 (2015). 

  12. Gardiner, G.E., O'Sulivan, E., Kelly J.: Comparative survival rates of human-derived probiotic Lactobacillus paracasei and L. salivarius strains during heat treatment and spray drying. Appl. Environ. Microb., 66, 2605-2612 (2000). 

  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n Food Codex Index, Korea, pp. 208-209 (2017). 

  1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Health Functional Food Testing Method. Korea, pp. 399-407 (2017). 

  15. Colum, D., Lisa, M., Sarah, F., Liam, O., Sile, O., Maria, F., Darrin, M., Gerardine, T., Gerald, F., Charles, D., Barry, K., Eamonn, M., Gerald, C., Fergus, S.: Probiotics: from myth to reality. demonstration of functionality in animal models of disease and in human clinical trials. Anton. Leeuw., 76, 279-292 (1999). 

  16. Rolfe, R.D.: The role of probiotic cultures in the control of gastrointestinal health. J. Nutr., 130, 396S-402S (2000). 

  17. Park S.J., Kim D.H., Park N.S., Kim S.S.: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ation product of ginseng by lactic acid bacteria (FGL). J. Ginseng. Res., 30, 88-94 (2006). 

  18. Ouwehand, A.C., Salminen, S.E.: Probiotics: an overview of beneficial effects. Antonie van Leewenhoek : IJMCM., 82, 279-289 (2002). 

  19. Kroger, M., Weaver, J.C.: Confusion about yogurt compositional and otherwise. J Milk food Technol., 36, 388-394 (1973). 

  20. Duitschaever, C.L., Arnott, D.R., Bullock, D.H.: Quality evaluation of yogurt produced commercially in ontario. J Milk Food Technol., 35, 173-175 (1972). 

  21. Davis, J.G.: Laboratory control of yogurt. Dairy Ind., 35, 139-144 (1970). 

  22. Ahn S.I., Chung I.A., Chung W.S., Jhoo J.W., Kim G.Y., Jeon J.T.: Changes in lactic acid bacteria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yogurt made with high pressure processing treated milk.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 889-893 (2016). 

  23. Varongsiri, K.S., Pittaya, C., Paweena, R.: Survival of immobilized probiotics in chocolate during storage and with an in vitro gastrointestinal model. Food Bioscience 16, 37-43 (2016). 

  24. Lim Y.S., Hong S., Shin Y.K., Kang S.H.: Changes in the vi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during storage of freeze-dried yogurt snacks. J. Milk Sci. Biotechnol., 33, 203-207 (2015). 

  25. Carvalho, A.S., Silva, J., Ho, P., Teixeira, P., Malcata, F.X., Gibbs, P.: Effects of various sugars added to growth and drying media upon thermotolerance and survival throughout storage of freeze dried Lactobacilli delbrueckii ssp. Bulgaricus. Biotechnol. Progr., 20, 248-254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