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버 의류산업 활성화를 위한 노년 비만여성의 체형연구
Study on the body shapes of old aged obese women for the activation of the silver clothing industry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3 no.5, 2015년, pp.755 - 767  

성옥진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연구소) ,  김숙진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body-type characteristics of 340 old-aged obese women that had been on the rise as a part of efforts to activate the silver clothing industry. The subjects were in the age range of 60-79 and met some obesity requirements, including a Rohrer Index of 1.6 or higher, a BMI of 2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실버 의류산업 활성화의 일환으로 증가추세에 있는 60~79세의 노년 여성 중에 Rohrer 지수 1.6 이상, 체질량지수(BMI) 25 이상, 복부지방율(WHR) 0.85 이상을 만족시키는 비만여성 3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비만집단의 신체적 특징을 분석하고, 체형유형화를 통해 비만여성의 체형별 특징을 파악하여, 체형 특성이 반영된 패턴 제작이 가능하도록 의복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실버 의류산업 활성화의 일환으로 증가 추세에 있는 60~79세의 노년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자료(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4)를 토대로 하여 비만집단의 신체적 특징을 분석하고, 체형 유형화를 통해 비만여성의 체형별 특징을 파악하여, 체형 특성이 반영된 패턴 제작이 가능하도록 의복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있다.
  • 00 이상을 기준으로 비만을 표시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여러 가지 비만진단 기준 중에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비만기준을 참고로 하여 연구대상을 선정하고자 한다.
  • 최근에 발표된 ‘제6차 한국인인체치수조사’ 자료의 경우, 69세까지를 피험자로 선정한 반면에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자료’는 90세까지를 피험자로 선택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연령을 확대하여 연구하고자 제 5차의 자료를 선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대수명을 단축시키는 비만율에 대한 우리나라 상황은? 반면에 과체중이나 비만으로 인한 여러 가지 합병증은 이러한 기대수명을 단축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성인 비만율(BMI 25 이상)은 2005년 기준 남자 35.2%, 여자 28.3%로 꾸준한증가 추세에 있으며, 연령별로 비만 유병율을 살펴보면 남자는 40대와 50대, 여자는 50대와 60대에서 비만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6). 특히 여성의 경우, 노년기에 접어들면서 상반신이 굽거나 키가 작아지면서 비만으로 변화되는 경우가 많다.
한국의 고령화 문제의 특징은? 7로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고령화 진입속도는 미국, 프랑스 등 기타 선진국에 비해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고령인구 비율이 14%에서 20%로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8년에 불과할 정도여서, 고령사회를 대비한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게다가 2007년 세계보건기구(WHO)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한국남성의 평균기대수명은 75세, 여성은 82세로 남녀 평균수명의 차이로 인해 80세이상의 고령인구에서는 여자노인의 인구비율이 더욱더 높아진다고 하였다(Lee, 2009).
의료기술의 발달과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가 가져온 결과는? 의료기술의 발달과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로 인간의 평균수명은 연장되고, 노인인구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Statistics Korea(2011)에 따르면 2010년한국의 노령화지수는 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i, H. S., & Lee, J. H. (1995). Characterizing for age group of obese women's body shape for clothing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9(5), 842-852. 

  2. Choi, Y. L., Han, S. A., & Nam, Y. J. (2009).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oportion of the male body according to obes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8), 1306-1314. 

  3. Ha, H. J. (2002). A study on the apparel sizing system based o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lus-size women, by a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4. Kim, H. S., & Lee, M. H. (2008). A study on the body types of 40s, 50s, 60s of obes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4), 618-629. doi:10.5850/JKSCT.2008.32.4.618 

  5. Kim, H. S., Lee, S. Y., Kim, J. M., & Lee, J. H. (2012). Lower somatotype analysis of middle and older aged women: Focused on women in 40s to 6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2(3), 84-95. doi:10.7233/jksc.2012.62.3.084 

  6. Kim, J. S. (2010). Development of health status scale for abdominal obesity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4), 1095-1106. 

  7. Kim, S. A., & Choi, H. S. (2006). An analysis of body shapes in aged abdominal obese women for apparel patter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12), 1690-1696. 

  8.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6, December). Study on development of strategy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obesity. Retrieved March 7, 2015, from http://www.khidi.or.kr/board/view?linkId100368&menuIdMENU00085 

  9.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4). The fifth human body measurement report (Size Korea). Gwacheon: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10.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6, November 17). 2006 report of the academic research service for the body measurements of Korean people. Retrieved March 7, 2015, from http://sizekorea.kats.go.kr 

  11.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2, October). 비만치료 지침 2012 [Obesity treatmentguidelines 2012]. Retrieved March 21, 2015, from http://www.kosso.or.kr/general/ 

  12. Lee, H. J., Kim, J. Y., & Kim, J. (2006). A study on lower body somatotype for briefs design development of the elderly women (Part 2): Focused on the women in the 60s and 70s in Jeonbuk.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4(1), 79-92. 

  13. Lee, J. H. (1996).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body shape and apparel sizing system for obese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4. Lee, J. H. (2002). Fit of ready-to-wear apparel for adult women by somatotype.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12), 189-197. 

  15. Lee, J. Y., & Joo, S. Y. (2005). Size analysis of readymade clothing for elderly women and fit evaluation according to their body ty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8), 1092-1101. 

  16. Lee, S. S. (2009). A study on self-esteem and physic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2), 547-562. 

  17. Minstry of Health & Welfare. (2009, December 8). 2008 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발표 [200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sults released]. Retrieved March 10, 2015, from http://www.m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307&CONT_SEQ224021 

  18. Seok, H. J., & Kim, I. S. (2003). A study on the fit preference tendency for ready-to-wear by the age and obesity level of adult wom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1(9), 17-29. 

  19. Seong, O. J., & Ha, H. J. (2012). A study of middle aged obese men's body shapes: 35-55 years of age.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35(0), 39-50. 

  20. Statistics Korea. (2011, September 29). Elderly statistics. Retrieved January 29, 2015, from http://sgis.kostat.go.kr/publicsmodel/ 

  21. Yoon, H. J., & Choi, H. S. (2009). Upper body shape classifi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obes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8), 1262-1272. 

  22. Yoon, J. W., Yoon, H. J., & An, J. S. (2013). An analysis of upper-body shapes in obese women for apparel pattern desig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1), 130-137. doi:10.5805/SFTI.2013.15.1.1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