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이 인식하는 전통음식과 약선음식에 관한 연구 -대구·경북지역 외식계열 전공자 중심으로-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of Traditional and Yaksun Foods - Focus o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service Daegu and Gyungbuk Area -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5 no.5, 2015년, pp.779 - 790  

백현영 (영남대학교 식품학부) ,  곽은정 (영남대학교 식품학부) ,  정현숙 (계명문화대학 식품영양학부) ,  정재홍 (신안산대학교 호텔조리과) ,  조연숙 (영남대학교 식품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wareness and preference relating to traditional food and yaksun food by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service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 This research carried out an investigation on 492 (male 257 and female 235) stud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식문화의 미래를 선도할 외식계열 전공 남녀 대학생들이 향후 관련 분야 종사 시 건강한 식문화의 정착 및 외식산업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바, 대구·경북지역 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식계열 전공 남녀 대학생들의 전통음식과 약선음식에 대한 인식정도와 정확한 실태파악을 통해 개발방안과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 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식계열 전공 남녀 대학생들의 전통음식과 약선음식에 대한 인식 실태를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음식과 약선음식을 외식산업이나 가공식품으로 계승․발전시키고, 대중화를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 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식계열 전공 남녀 대학생들의 전통음식과 약선음식에 대한 인식 실태를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음식과 약선음식을 외식산업이나 가공식품으로 계승․발전시키고, 대중화를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3)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ases because no- response was processed as missing valu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약선음식은 어떤 이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인가? 약선음식은 건강기능식품과 달리 자연의 원리인 음양오행 이론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Park HJ 2009; Kim SY 2009), 스트레스를 받으며 살아가는 현대인들로 하여금 건강의 균형을 유지하고 질병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다(Cho SH & Kim HK 2010). 또한, 건강에 관한 관심 증대로 음식궁합, 몸에 좋은 기능성 요리들을 연구하는 요리연구가와 대체의학 차원에서 연구하는 학자들의 활동도 활발해져 일부 대학에서는 약선 및 약재관련학과가 개설되어 약선음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Lee SM 2006).
전통음식은 무엇을 말하는가? 전통음식이란 옛날부터 우리 민족의 생활여건에 가장 알맞게 창안되어 전통문화와 함께 발전해 온 음식이며, 특정지역의 특산물을 이용하거나, 그 지역에서 고유하게 계승되어온 비법으로 조리하여 발달된 음식을 말한다(Kwun SY & Yoon SJ 2006). 웰빙 트렌드의 핵심인 전통음식은 독특한 맛의 조화와 풍미, 화려하고 아름다운 색 및 각 지방마다 특색 있는 조리법으로 다양한 전래음식이 발전되어 왔고, 현대인들에게는 고열량이 아닌 무기질이나 비타민 등의 미량 원소를 섭취할 수 있는 전통음식이 건강식으로 주목 받으면서 옛날 우리 선조들이 즐겨 먹었던 음식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기 시작하였다.
전통음식의 장점을 살려서 약선음식을 개발할 때 남학생과 여학생은 각 각 어떤 부분에서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하였는가? 전통음식의 장점을 살려서 약선음식을 개발한다면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는 Table 10과 같다. 다양한 맛의 구성』이 남학생 103명(43.8%), 여학생 106명(41.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본 연구의 전통음식의 개선 시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의 『맛이 다양하여야 한다』로 나타난 결과와 같다. 그 다음으로 『영양적인 면』 남학생 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ok HJ (2005) A study on awareness of traditional food and dietary life behaviors of married women in parts of Seoul and Kyongki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 11-19. 

  2. Cho SH, Kim HK (2010) The influence of according to healthy tendency on propensity of the eating out customer's herbal food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3: 115-135. 

  3. Cho SK (2010) Recofnition of Korean yaksun cuisine and further education according to lefestyle. MS Thesis Sookmyyung women's University. Seoul p 7. 

  4. Cho JO (2005) A study on traditional food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With som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pp 64-82. 

  5. Cho YS (2005) The study on the customer's and cook's perception of Han-Bang menu.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pp 1-3. 

  6. Han AR (2014) A study on how the university student's patterns in food purchase according to their food life style affects their purchasing behavior of convenience and processed foods. Ph D Dissertation Nambu University, Gwangju. pp 3-6. 

  7. Hong SK (2011) A Study on processed food purchas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urban housewives' food-related lifestyle. MS Thesis Kyonggi University, Suwon. pp 1-4. 

  8. Jang SO, Kim M, Lee YJ (2011) Research article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word-of-mouth communication and yaksun foods value, trust and use intention.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4: 359-382. 

  9. Jin YH, Cho JO (2007) The effect of the next generation's recognition of traditional food on the popularization of foodservice industry.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3: 1-11. 

  10. Kim DN (2008) A study on beavior of eating out fusion food and traditional food. MS Thesis Kyonggi University, Suwon. pp 43-45. 

  11. Kim JJ (2009) Survey on breakfast of workers and college students in Gyeongnam area : Masan, Jinhae, Changwon. MS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pp 71-73. 

  12. Kim JS (2008) The study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investigation by age of Korean traditional food. M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pp 26-29. 

  13. Kim JU (2012) The effect of attributes of yaksun food on perceived value, attitude and buying intention of customer. MS Thesis Uiduk University, Gyeongju. pp 9-11. 

  14. Kim YA (2010) Research on dietary life and recogni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Gwangju city for globalization of Namdo traditional food. M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pp 1-3. 

  15. Kim SY (2009) Mechanical properties and functionality from a concoction of ingredients for food and nutrition.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5: 13-27. 

  16. Kwun MK, Cha EJ (2004) A study of Korean medicinal cuisine in it's efficiency. Korean J Medicinal Cuisine 1: 54-64. 

  17. Kwun SY, Yoon SJ (2006)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Chinese at Seoul residence. Korean J Food Culture 21: 17-30. 

  18. Kang JH, Kim JE (2009) A survey of the perception of the superior factors to of Korean traditional foods by college students with food related majors. Korean J Food Culture 24: 155-163. 

  19. Lee BR (2009) Survey on the perception of yaksun(medicated diet) among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in the Chungbuk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882-890. 

  20. Lee BS (2009) Perception and preference on Korean traditional foods: Comparison by generation, focusing on the Busan region. MS Thesis Youngsan University, Busan. pp 81-82. 

  21. Lee HS (2010) A study on the actual intake condition, preference, and recognition for the traditional food of male? female university students : Focused on the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Kyungbuk.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Kyungsan. pp 1-3. 

  22. Lee JS, Kim SJ (2010) A comparative study on 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 classified by age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5: 351-360. 

  23. Lee SG (2007) A study on the food habits and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breakfast frequency for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Daegu area. M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eagu. pp 51-55. 

  24. Lee SM (2006) Acknowledgement of herbal foods in foodservice industry. The Korea Contents Society 6: 65-73. 

  25. Lim MK, Kim MR (2012) Utilization status and swareness of adults regarding yaksun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208-218. 

  26. Oh HS (2005) A survey on perception of the four characteristics of some Korean dishes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 Community Liveing Science 16: 3-15. 

  27. Park HJ (2009)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ceived value and risk perception on satisfaction and loyalty in yaksun food & beverage. Ph D Dissertation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pp 8-11. 

  28. Park KT, Kim Dw (2003) Studies development of functional herbal food based on yaksun.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9: 191-202. 

  29. Park SH, Choi ME, Kim ML, Park SJ, Jung JJ, Kim NY, Kang MS, Kim SO, Choi SW, Kim TS, KOH DH (2011) Health Food Based on Oriental Medicinal Theory. Jigu publishing, Korea. pp 12-24. 

  30. Sim KH (2011) A survey on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Korean herbal foods according to dietary behavior in lifestyle.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7: 39-58. 

  31. Yang S (2007) Doho Medicinal Culinary Arts. Baeksan, Korea. pp 17-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