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railtyHL 통계패키지를 이용한 프레일티 모형의 변수선택: 유방암 생존자료
Variable Selection in Frailty Models using FrailtyHL R Package: Breast Cancer Survival Data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8 no.5, 2015년, pp.965 - 976  

김보현 (부경대학교 통계학과) ,  하일도 (부경대학교 통계학과) ,  노맹석 (부경대학교 통계학과) ,  나명환 (전남대학교 통계학과) ,  송호천 (전남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김자혜 (전남대학교병원 핵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통계적 모형에서 적절한 변수를 선택하는 것은 회귀분석에서 매우 중요하다. 최근 벌점 함수(예: LASSO 및 SCAD)와 함께 벌점화 가능도를 사용하는 변수 선택 방법들이 선형모형일반화 선형모형과 같은 단순한 통계 모형에서 널리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의 주요 장점은 중요한 변수를 선택하고 동시에 회귀계수를 추정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방법들은 0으로 회귀계수를 추정함으로써 중요하지 않은 변수를 삭제한다. 이 논문에서는 콕스 비례 위험 모형의 한 확장인 준 모수적 프레일티 모형에서 벌점화된 다단계 가능도(h-likelihood; HL)를 기반으로 적절한 변수를 선택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이를 위해 세 가지 벌점 함수 LASSO, SCAD 및 HL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변수선택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frailtyHL" R 패키지 (Ha 등, 2012)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함수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방법의 예증을 위해 전남대 의과대학 병원에서 수집된 유방암 생존자료를 이용하여 세 가지 변수 선택 방법의 결과를 비교하고, 이 변수선택방법들의 상대적 장 단점에 대해 토론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termining relevant variables for a regression model is important in regression analysis. Recently, a variable selection methods using a penalized likelihood with various penalty functions (e.g. LASSO and SCAD) have been widely studied in simple statistical models such as linear models and genera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생존분석모형에서 자주 사용되는 콕스 비례위험모형의 한 확장인 프레일티 모형(frailty models; Clayton, 1991; Hougaard, 2000)에서의 변수선택 방법들에 관하여 연구한다. 여기서 프레일티는 각 개체의 위험률에 승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관측 안되는 변량효과(unobserved random effect)를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회귀 모형 변수선택을 위한 다양한 고전적인 방법들의 단점은? 일반 회귀 모형에서는 전진선택법(forward selection), 후진 제거법(backward elimination), 단계적 선택법(stepwise selection)과 같은 변수선택을 위한 다양한 고전적인 방법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공변량의 개수가 클 때 과도한 계산이 요구되며 종종 높은 변동성을 주는 단점이 있다 (Breiman, 1996; Fan과 Li, 2001).
일반 회귀 모형에서 변수선택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회귀분석모형에서 적절한 변수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일반 회귀 모형에서는 전진선택법(forward selection), 후진 제거법(backward elimination), 단계적 선택법(stepwise selection)과 같은 변수선택을 위한 다양한 고전적인 방법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공변량의 개수가 클 때 과도한 계산이 요구되며 종종 높은 변동성을 주는 단점이 있다 (Breiman, 1996; Fan과 Li, 2001).
벌점화 방법의 주요한 장점은? 최근 고전적 회귀모형, 일반화 선형모형(generalized linear models; GLMs; Nelder과 Wedder burn,1972), 콕스의 비례 위험 모형(Cox’s proportional hazards models; Cox, 1972)과 같은 다양한 통계적 모형에서 벌점함수에 기초하여 벌점화 가능도를 이용한 변수 선택 방법이 폭 넓게 연구되고 있다.벌점화 방법의 주요한 장점은 중요한 공변량을 선택함과 동시에 공변량의 회귀계수를 추정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방법들은 0으로 회귀계수를 추정함으로써 중요하지 않은 변수를 삭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droulakis, E., Koukouvinos, C. and Vonta, F. (2012). Estimation and variable selection via frailty models with penalized likelihood, Statistics in Medicine, 31, 2223-2239. 

  2. Breiman, L. (1996). Heuristics of instability and stabilization in model selection, The Annals of Statistics, 24, 2350-2383. 

  3. Breslow, N. E. (1972). Discussion of Professor Cox's paper,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B, 34, 216-217. 

  4. Clayton, D. G. (1991). A Monte Carlo method for Bayesian inference in frailty models, Biometrics, 47, 467-480. 

  5. Cox, D. R. (1972). Regression models and life tables (with Discussion),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B, 74, 187-220. 

  6. Fan, J. and Li, R. (2001). Variable selection via nonconcave penalized likelihood and its oracle propertie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96, 1348-1360. 

  7. Fan, J. and Li, R. (2002). Variable selection for Cox's proportional hazards model and frailty model, The Annals of Statistics, 30, 74-99. 

  8. Ha, I. D. and Lee, Y. (2003). Estimating frailty models via Poisson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s, Journal of Computational and Graphical Statistics, 12, 663-681. 

  9. Ha, I. D. and Lee, Y. (2005). Comparison of hierarchical likelihood versus orthodox best linear unbiased predictor approaches for frailty models, Biometrika, 92, 717-723. 

  10. Ha, I. D., Lee, Y. and Song, J.-K. (2001). Hierarchical likelihood approach for frailty models, Biometrika, 88, 233-243. 

  11. Ha, I. D., Noh, M. and Lee, Y. (2012). frailtyHL: A package for fitting frailty models with h-likelihood, The R Journal, 4, 307-320. 

  12. Ha, I. D., Pan, J., Oh, S. and Lee, Y. (2014). Variable selection in general frailty models using penalized h-likelihood, Journal of Computational and Graphical Statistics, 23, 1044-1060. 

  13. Ha, I. D., Sylvester, R., Legrand, C. and MacKenzie, G. (2011). Frailty modelling for survival data from multi-centre clinical trials, Statistics in Medicine, 30, 28-37. 

  14. Hougaard, P. (2000). Analysis of Multivariate Survival Data, Springer, New York. 

  15. Lee, Y. and Nelder, J. A. (1996).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s (with discussion),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B, 58, 619-678. 

  16. Lee, Y. and Oh, H. S. (2014). A new sparse variable selection via random-effect model, Journal of Multivariate Analysis, 125, 89-99. 

  17. Lee, Y., Nelder, J. A. and Pawitan, Y. (2006). Generalized Linear Models with Random Effects: Unified Analysis via H-Likelihood, Chapman and Hall, London. 

  18. Legrand, C, Ducrocq, V., Janssen, P., Sylvester, R. and Duchateau, L. (2005). A Bayesian approach to jointly estimate centre and treatment by centre heterogeneity in a proportional hazards model, Statistics in Medicine, 24, 3789-3804. 

  19. Nelder, J. A. and Wedderburn, R. W. M. (1972). Generalized linear models,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 135, 370-384. 

  20. Ripatti, S. and Palmgren. J. (2000). Estimation of multivariate frailty models using penalized partial likelihood, Biometrics, 56, 1016-1022. 

  21. Tibshirani, R. (1996). Regression shrinkage and selection via the Lasso,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58, 267-288. 

  22. Tibshirani, R. (1997). The LASSO method for variable selection in the Cox Model, Statistics in Medicine, 16, 385-395. 

  23. Vaida, F. and Xu, R. (2000). Proportional hazards models with random effects, Statistics in Medicine, 19, 3309-33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