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커스 그룹 연구방법을 적용한 초산모의 산후조리원 이용 경험 분석
Experiences of Sanhujori Facility Use among the First Time Mothers by the Focus Group Interview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1 no.3, 2015년, pp.184 - 196  

송주은 (아주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채현주 (중부대학교 간호학과) ,  박보림 (모유사랑클리닉)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Sanhujori facility use among the first time mothers in Korea. Method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focus group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24 first time mothers of 4 focus groups, who had given birth withi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만 후 여성들은 어떤 경험을 하는가? 분만 후 여성들은 급속한 호르몬 변화, 유즙 분비, 산후통,회음절개 부위 통증, 극심한 피로 등의 다양한 신체적 불편감과 신생아를 돌봐야 하는 부담 및 역할긴장 등의 정서적 문제들을 경험한다[1]. 우리나라의 경우 전통적으로 출산 후 적어도 3주 동안은 가족에 의해 산후조리라는 특수한 돌봄을 받으면서 신체적으로 회복되고 심리적으로 위로를 받으며 자녀양육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자연스럽게 습득함으로써 모성역할을 준비했다[1].
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자료분석을 포커스 그룹 결과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어떻게 분석하였는가? 본 연구에서 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자료분석은 포커스 그룹 결과의 분석방법[11]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녹음된 인터뷰 내용을 연구보조원이 필사한 후 필사된 자료의 정확성을 연구팀이 확인하였다. 둘째, 필사본을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문장을 분석단위로 하여 연구의 주요 질문별로 의미있는 진술들에 밑줄을 그어 표시하였으며, 인터뷰의 주요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셋째, 의미있는 진술과 표현 내의 주요한 내용을 분류하여 소범주화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소범주를 아우를 수 있는 대범주를 도출하였다.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던 전통적인 산후조리 방식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경우 전통적으로 출산 후 적어도 3주 동안은 가족에 의해 산후조리라는 특수한 돌봄을 받으면서 신체적으로 회복되고 심리적으로 위로를 받으며 자녀양육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자연스럽게 습득함으로써 모성역할을 준비했다[1]. 그러나 산업화에 따른 핵가족화와 산후조리방식에 있어서도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산후조리를 원하는 경향 증가와 같은 복합적인 이유로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던 전통적인 산후조리 방식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면서 산후조리원과 같은 상업화된 방식을 통해 산후조리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ong JE, Chang SB, Kim S. Childcare stress, postpartum depression, and postpartum fatigue between women who used and not used Sanhujory fac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 2008;12(1):33-46. 

  2. Seo YJ, Kim JH, Kim YH, Choi DB, Kang SH. A survey on the consumer price and services of postpartum care centers in Korea.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3. Kim YH. A study on the meanings of mothering through experience at a postpartum care center its alumni gatherings: With a focus on women from the lower middle class [master's thesis].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2.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status of Sanhujori facility in 2014 [Internet]. Sejong, Korea: Author; 2015 [cited 2015 May 18]. Aval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1&CONT_SEQ318438&page1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government efforts for Sanhujori facility user's damage prevention [Internet]. Sejong, Korea: Author; 2013 [cited 2015 May 18]. Aval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280682&page1 

  6. Choi JS. Satisfaction and demand of postpartum care program among the user in Sanhujoriwon (postpartum care center) [master's thesis]. Pocheon: CHA University; 2012. 

  7. Song JE, Park BL. The changing pattern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maternal adjustment between primiparas who used and those who did not use Sanhujory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4):503-514. 

  8. Kim MN, Choi SY. A comparative study of postpartum stress, postpartum depression, postpartum discomfort and postpartum activity, between women who used and those women did not used Sanhujori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3;17(2):184-195. 

  9. Kim SJ, Kim HJ, Lee KJ, Lee SO. Focus group research methodology. Seoul: Hyunmoonsa; 1999. 

  10. Krueger RA, Casey MA.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2009. 

  11. Krueger RA. Analyzing & reporting focus group results. Focus group kit. New York: Sage; 1997. 

  12. Lincoln YS, Guba EG.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1985. 

  13. Lee YS. A study on the neonate-rearing experience and awareness of mothers in postpartum care centers [master's thesis]. P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2. 

  14. Ahn SH. Canonical correlation between Korean traditional postpartum care performance and postpartum health sta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1):37-46. 

  15. Bae GM, Lee IS.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n postpartum symptom among Korean, Korean resident in America and American.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0;23(2):131-144. 

  16. Jung JJ, Kim DI. A study on the cognition of puerperants in postpartum and maiden girls about postpartum care.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6;19(4): 117-130. 

  17. Negron R, Martin A, Almog M, Balbierz A, Howell EA. Social support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Mother's views on needs, expectations, and mobilization of support.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2013;17(4):616-623. 

  18. Kamalifard M, Yavarikia P, Babapour Kheiroddin J, Salehi Pourmehr H, Iraji Iranagh R. The effects of peers support on postpartum depression: A single-blind randomized clinical trial.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13;2(3):237-244. 

  19. Nabulsi M. Why are breastfeeding rates low in Lebanon? A qualitative study. BMC Pediatrics. 2011;11(75):1-6. 

  20. Galbally M, Lewis AJ, McEgan K, Scalzo K, Islam FA. Breastfeeding and infant sleep patterns: An Australian population study. Journal of Pediatrics and Child Health. 2013;49(2):147-152. 

  21. Tikotzky L, de Marcas G, Har-Toov J, Dollberg S, Bar-Haim Y, Sadeh A. Sleep and physical growth in infants during the first 6 months. Journal of Sleep Research. 2010;19(1):103-110. 

  22. Brown CR, Dodds L, Legge A, Bryanton J, Semenic S. Factors influencing the reasons why mothers stop breastfeeding.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4;105(3):179-185. 

  23. Heinig MJ. Addressing maternal fatigue: A challenge to inhospital breastfeeding promotion. Journal of Human Lactation. 2010;26(3):231-232. 

  24. Hunter LP, Rychnovsky JD, Yount SM. A selective review of maternal sleep characteristics in the postpartum period. Journal of Obstetrics,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09; 38(1):60-68. 

  25. Dabritz HA, Hinton BG, Babb J. Maternal hospital experiences associated with breastfeeding at 6 months in northen California county. Journal of Human Lactation. 2010;26(3): 274-285. 

  26. McGuire E. Maternal and infant sleep postpartum. Breastfeeding Review. 2013;21(2):38-41. 

  27. Doan T, Gay CL, Kennedy HP, Newman J, Lee KA. Nighttime brestfeeding behavior is associated with more nocturnal sleep among first-time mothers at one month postpartum. Journal of Clinical Sleep Medicine. 2014;10(3):313-319. 

  28. Mercer RT, Walker LO. A review of nursing intervention to foster becoming a mother. Journal of Obstetrics, Gynecology, and Neonatal Nursing. 2006;35(5):568-582. 

  29. Rudman A, Waldenstrom U. Critical views on postpartum care expressed by new mothers. BMC Health Service Research. 2007;5(7):178. 

  30. Chae HJ, Kim S. Effects of maternal role practice education on becoming a mothe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1;17(1):52-6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